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00:23:40

좀비고등학교/스토리 모드/리부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좀비고등학교/스토리 모드
파일:ZHS_Logo_Normal.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171717,#010101><colcolor=#fff,#ddd> 스토리 스토리(비판) · 설정 · 불새재단 · 좀비고등학교
등장인물 · 역할군 · 출현 좀비
스토리 모드 클래식(진격의 좀비 · 히어로즈 · 아포칼립스 · 디비전)
리부트(진격의 좀비)
콘텐츠 모드 · 래더 · 스킨 · 광장 · 장소
N주년 콘텐츠 엘프고 · 학교생활 · 은하고 · 마법고
부가 기능 상점 · 연구실 · 클랜 · 갤러리 · 업적
이벤트 메인 이벤트(할로윈 · 크리스마스) · 오프라인 행사 · 불새문화제
미디어 BGM · 픽셀드라마 · 코믹스 · 애니메이션
기타 평가 · 인게임 용어 · 역사
관련 사이트 공식 카페 · 마이너 갤러리
}}}}}}}}} ||

1. 개요2. 채널3. 시스템4. 에피소드 목록5. 도전과제
5.1. 일반 도전과제5.2. 추가 도전과제
6. 주요 변경점
6.1. 스토리6.2. 등장인물6.3. 좀비6.4. 역할군6.5. 기타
7. 엠블럼 공략8. 평가
8.1. 긍정적 평가8.2. 부정적 평가 및 문제점8.3. 복합적 평가
9. 여담

1. 개요

좀비고등학교의 스토리 모드 리부트에 관한 내용을 다루는 문서이다. 모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 설정과 스토리를 모두 갈아엎어 스토리와 게임 시스템이 차이가 있다.

기존 스토리 모드와 차이점이 매우 크다. 디비전까지는 역할군의 기본 공격력 및 좀비의 체력은 거의 동일했지만 리부트에선 역할군의 공격 방식과 데미지, 좀비의 특성까지 싹 다 뜯어고쳤다.

2. 채널

파일:리부트서버.png
리부트는 리부트 통합 채널에서 플레이 할 수 있다. 리부트 통합 채널은 기존에 나눠져 있던 자유 채널과 달리 하나의 채널로 운영되는 통합 채널이다.

채널이 하나로 운영되면서 모든 유저들이 한 채널에 모여 있어 모든 유저들의 대기방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고, 원하는 에피소드를 보다 빠르게 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자유 채널 혼잡도에 따라 인게임 환경이 불안정해지던 근본적인 문제도 해결하였다고 했지만 여전히 굉장히 심한 편이다. 좀비고의 단점은 전혀 해결이 안 된 편.

3. 시스템

3.1. 체력

파일:리부트업데이트_08.png
리부트에서는 플레이어가 좀비에게 입은 피해에 따라 4가지 상태를 가진다. 플레이어의 체력은 총 3단계이며 0이 되는 순간 조작할 수 없는 쓰러짐 상태에 빠진다.

디비전과 유사하게 쓰러짐 상태의 아군은 4초의 인터랙션을 통해 부상 상태로 구출할 수 있다. 쓰러짐 상태가 된 후 30초가 경과하면 게임오버 상태가 되며, 더 이상 구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파일:리부트업데이트_10.png
특정 맵, 보스전 진입 시 게임오버된 플레이어가 부활하며, 이때 모든 플레이어의 체력도 건강 상태로 회복된다.

3.2. 보급품

파일:진좀리부트보급품.png
보급품은 강화 재료와 제작 재료가 등장하는 오브젝트이다. 보급품은 주로 클리어 루트에서 조금 떨어진 다른 방에 배치된다. 이곳은 클리어 루트보다 난이도가 조금 더 높으니 주의해야한다.

ep1는 1개, ep2, ep3, ep4는 3개씩 얻을 수 있다.

맵에 배치된 보급품을 먹지 않아도 에피소드를 클리어하면 보급품을 하나 준다.

보급품에서는 특수 장비를 제작할 수 있는 도면[1], 특수 장비를 강화할 수 있는 강화 재료, 미네랄을 획득할 수 있다.

3.3. 특수 장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좀비고등학교/스토리 모드/리부트/특수 장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스티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좀비고등학교/스토리 모드/리부트/스티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출현 좀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좀비고등학교/스토리 모드/리부트/출현 좀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직업군 별 추천 장비/스티커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좀비고등학교/스토리 모드/리부트/직업군 별 추천 장비/스티커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에피소드 목록

4.1. 진격의 좀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좀비고등학교/스토리 모드/리부트/진격의 좀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진격의 좀비는 기존 총 4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었던 것을 총 9개의 에피소드 구성으로 변경했고, 9개의 에피소드를 3개의 Act(막) 단위로 새롭게 구분했다.
<rowcolor=#fff>
Act
Act 1
Act 2
Act 3
에피소드 1 2 3 4 5 6 7 8 9
내용 0 1 2 3[추정] 3[추정]

5. 도전과제

기존 엠블럼과 비슷하게 획득 조건을 달성하면 보상을 획득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보상은 총 엠블럼 4개, 18가스, 180,000미네랄, 각 역할군의 강화재료 6개, 스티커가 있다.

진격의 좀비 Act 1은 일반 도전과제 44개, 추가 도전과제 20개로 총 64개의 도전과제가 준비되어 있다.

5.1. 일반 도전과제

5.2. 추가 도전과제

추가 도전과제는 현금을 주고 구매할 수 있는 컨텐츠 팩을 구매할 경우 해금되는 도전과제이다.

각 Act 별로 컨텐츠 팩이 존재하며, 진격의 좀비 컨텐츠 팩 기준으로 컨텐츠 팩을 구매할 경우 나중에 Act 2, Act 3가 추가되었을 때 추가 도전과제를 이미 해금된 상태로 즐길 수 있다.

컨텐츠 팩을 구매하지 않았을 경우 도전과제 설명과 클리어 조건을 열람할 수 없다.

진격의 좀비 Act 1에선 20개의 추가 도전과제가 있다. 전부 클리어할 경우 프리즘 스티커 4개, 일반 스티커 12개, 이모티콘 4개를 획득할 수 있다.

6. 주요 변경점

6.1. 스토리

6.2. 등장인물

6.3. 좀비

[ 펼치기 · 접기 ]
||<tablebgcolor=white><nopad> 파일:좀비디자인노트_02.png ||<nopad> 파일:좀비디자인노트_03.png ||
파일:좀비디자인노트_04.png 파일:좀비디자인노트_05.png
}}} ||
좀비들의 도트가 12세 이용가에 걸맞도록 좀 더 그로테스크하고 기괴하게 변경되었다. 전체적으로 크기가 줄어든 편이다.[21]

6.4. 역할군

역할군들의 일부 능력이 바뀌거나, 추가되거나, 삭제되었다.

6.5. 기타

7. 엠블럼 공략

게임 공략만 알아도 자연스럽게 클리어 가능한 엠블럼을 제외한, 따로 공략이 필요한 엠블럼만 작성한다. 엠블럼의 종류는 여기를 참고.

8. 평가

8.1. 긍정적 평가

또한 디비전을 제외한 이전 시리즈와 달리 중요 이벤트에 컷씬이 추가된 것도 좋은 평가를 받는다. 이 외에도 도트 연출도 이전보다 훨씬 개선되었고,[35]게임 플레이 도중 특성 위치에서 메신저 형식으로 발생하는 대화 이벤트 역시 전달 방식에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36]라운드가 끝나고 나서야 대화가 오가는 이전 방식보다 더욱 생동감을 부여하고 캐릭터들 간의 개성을 잘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재미도 있으며, 스토리를 직관적으로 해설하거나 단서를 주는 기능도 수행하고, 좀비고에서 처음 선보이는 참신한 방식의 스토리텔링이였기에 대체로 호평을 받는다.[37]

8.2. 부정적 평가 및 문제점

출시 당일부터 리부트의 최대 문제점.[38] 리부트 자체의 게임성과 별개로 출시 초창기에는 서버를 통합하였고 리부트 소식을 듣고 너무 많은 인파가 몰렸기 때문인지 게임 자체가 진행이 안되는 수준이였으며,[39]이후 추가적인 패치를 통해서 서버가 안정된 후에는 게임은 정상적으로 플레이가 가능했지만 여전히 버그와 랙 문제는 안 그래도 자주 지적 받는 좀비고의 다른 스토리 모드에서 발생하는 시스템 문제를 압도적으로 상회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난무하고 있는 사소한 버그는 고사하고 이 중에서는 게임 자체에 지장을 주는 심각한 문제들이 즐비하기 때문에 유저들의 불만은 계속해서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정리하면, 엪1 렙작 정도만 가능한 저레벨 단계(30렙 이하)에서는 레벨 업의 과정이 피로하고, 좀 더 효율이 높은 렙작이 가능해지는 고레벨 단계(30렙 이상)에서는 레벨별 보상이 너무 적어서 레벨 업을 할 이유가 없는 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레벨 간 보상이 전무한 공백 기간이 렙작의 피로를 심화시킨다. 레벨과 별개로 강해질 수 있는 특수 장비 또한 하자가 많다.

8.3. 복합적 평가

9. 여담

리부트는 역할군을 성장시키며 특수장비를 사용하는 재미로 플레이하는 느낌이 강하다. 역할군이 정해져있지만 다양한 매커니즘이 재미를 주던 히어로즈와는 완전 반대되는 점. 허나 역할군 강화로 성공한 사례인 디비전이 있으니 추후 에피소드를 지켜봐야할 부분이다.

기존 스토리 모드는 좀비를 처치하면 점수가 쌓이고 곧 재화가 되며 쾌감을 느끼는 재미로 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처음엔 공식에서 이 부분을 간과해 좀비 처치에 아무 보상도 없던 적이 있다. 현재는 좀비 처치에도 보상이 추가되었다.


[1] 클리어 보급품 한정[추정] [추정] [엠블럼] [엠블럼] [엠블럼] [엠블럼] [강화재료] [강화재료] [강화재료] [강화재료] [이모티콘] [이모티콘] [이모티콘] [이모티콘] [16] 정황상 기존 스토리에서 "학교의 비밀을 알아내자"가 주 테마였던 진격의 좀비보다 오히려 히어로즈 일행이 학교의 비밀들을 모두 알아내고 악역들을 제압하는 등 주객전도된 모습을 보였기에 바뀐 것으로 보인다.[17] 이런 이유로 히어로즈 측의 스토리는 아예 사라지거나 예슬 준호가 아닌 다른 학생들이 주연이 될 것으로 보인다.[18] 이 컨텐츠는 리부트 출시 후 바로 출시되진 않고 리부트 출시 후 빠른 시일 안에 출시될 예정이다.[19] 곽준형임현지는 에피소드2 엔딩에서 위치트릴로지에게 붙잡힌 모습으로 처음 나왔다. 마찬가지로 일러스트가 변경되었다. 이후 합류하기는 하지만, 역할군은 존재하지 않으며 계세윤나르샤도 등장해 일러스트가 바뀌었다. 그리고 엔딩 일러스트에서 박찬영남선지가 뜬끔없이 등장했다. 배경은 진격의 좀비3로 보인다.[20] 남성 캐릭터들은 딱히 상관이 없었으나, 대부분의 캐릭터들 일러스트 변경 이후 여성 캐릭터들의 경우 최대한 노출을 줄이고 가슴이나 골반이 없었던, 소위 말하는 초등학생 같은 일자 몸매가 대부분이었다. 이 부분이 수정되면서 고등학생 같은 모습으로 수정된 것.[21] 크기가 플레이어의 스킨만큼 작기 때문에 잡몹들은 겹치면 잘 안 보인다.[22] 다만, 희망의 나비 스티커를 붙이면 자가치료를 할 수 있다.[23] 대신 일부 특수스킬의 각성 능력에 스턴이 있다.[24] 스턴 효과는 킬리 페퍼 스티커를 붙이면 스턴 효과가 추가되어 기존의 파이어맨처럼 쓸 수 있다.[25] 단, 기존의 비밀방 시스템도 계속된다.[26] 이것으로 돌진 플레이가 어려워졌다.[27] 다만 문제는 잠수유저나 튕겼는데도 캐릭터만 남아있는 경우 남은 팀원들은 그곳에 갇혀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초기에 게임을 시작하자마자 이동 불가능한 지점으로 옮겨지는 버그가 있었으며 마찬가지로 제한시간이 사라졌기에 시간이 다되어 탈출하는 것도 불가능하고 죽는 것조차 불가능하여 게임을 탈주하는 식으로만 끝낼 수 있는 사례도 있었다.[28] 예를 들어, 기존 진격의 좀비 에피소드 1 스토리에서, 뜬금없이 약물이 들어간 음식을 만드는 제조시설을 파괴한 후 교장을 잡으라는 부자연스러운 지시를 내리던 정동석은, 리부트 에피소드 2에서는 단순히 교장을 잡으라고만 말하고, 제조시설의 파괴는 남동진 일행이 교장실로 가던 도중 즉흥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또한 제조시설도 음식이 아닌 좀비를 제조하는 시설로 변경되어 파괴할 이유가 확실해졌다.[29] 다른 예시로는 기존 진격의 좀비 에피소드 2 스토리에서, 생태 학습 공원에서 지하 감옥으로 이동하는 과정이 너무 억지스러웠는데, 이 과정을 리부트 에피소드 3에서 쓰레기 처리장이라는 새로운 맵을 도입함으로써 어느 정도 해결하였다.[30] 두 캐릭터 모두 네임드 캐릭터이면서 학생들과 관계성이 짙고 리부트를 통해 시리즈에서 처음으로 주역 4인방과 대립하게 되었기 때문에, 이전 시리즈에서는 볼 수 없었던 이들 사이의 감정선을 유발하는 내용이 이벤트의 핵심 줄기를 이루어 상당히 흥미진진하게 진행될 수 있었다.[31] 장대한 이벤트의 경우 평소 좋아하는 선생님이였던 장대한을 어쩔 수 없이 상대해야 하는 학생들의 안타까움과 암담함이 잘 묘사되었고, 끝끝내 좀비 장대한의 한 쪽 팔에 대한 공식적인 언급이 없었던 이전 시리즈와 달리 이유리의 아이들을 헤치지 않기 위해 제조시설에 팔을 끼워둔 것 같다는 추측과 해당 추측을 뒷받침하는 자연스러운 전개를 통해(비로소 제조 시설이 파괴된 후에서나 장대한이 아이들과 대립한다. 이유리의 추측대로 팔을 제조 시설에 끼워놓았다면 제조 시설 안에 있었던 것도, 파괴되기 전까지 나오지 않았던 것도 납득이 될 수 있다.)떡밥 회수 측면에서 기존작보다 나은 모습을 보여주어 좋은 반응을 얻었다.[32] 이하나의 경우 학생들 모두에게 존경받는 보건선생님이였으나 자신 역시 처음부터 학생들을 실험 대상으로 이용할 생각이였다는 것을 밝히며 학생들에게 크나큰 배신감을 안겨주면서 학생들을 심적으로 괴롭히는 등 악역으로써의 면모가 부각되었지만 마지막에는 마치 본인의 행동을 돌려받듯 자신이 존경하는 구달수에게 배신당하여 좀비로 변하는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며 많은 플레이어들에게 충격을 선사했다. 구달수의 뜻밖의 돌연적인 행동에 당황했다는 의견이 대다수. 장대한 이벤트와 마찬가지로 감정선 활용도 수준급이였고, 해당 장면의 연출은 리부트에서 가장 호평 받는 연출로 꼽히며 인상 깊었다는 반응이 많다.[33] 대표적으로 기존 스토리에서 주역 4인방이 무기를 얻는 과정이 싹 사라져 버린 부분이다. 추후 추가적인 에피소드를 통해 설명할 방법은 있지만.[34] 그나마 김준호와 남동진의 경우 복도에 있던 소화기와 의자를 집어 썼다는 식으로 설명이 되지만, 석궁과 구급상자의 경우 설명이 어렵다.[35] 특히 에피소드 4의 이하나는 컷씬도 호평 받지만 도트 이미지만으로도 자신이 신뢰하는 구달수에게 배신당했다는 절망감과 좀비화 과정의 괴로움을 매우 잘 표현하여 호평 받았다.[36] 이유는 게임 플레이 도중에 이 메신저를 볼 만한 여유가 없다는 것. 이는 에피소드 1 이후부터 심화된다.[37] 다만 에피소드 1에서 오른쪽의 지름길을 통해 도착지점에 도달한 후 일반 동선을 따라 거꾸로 출발지점을 향해 가는 등 동선이 비정상적일 경우 정해진 위치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특성상 메신저 스토리의 흐름이 꼬이기도 한다.[38] 현재는 안정성을 찾기 시작했다.[39] "알 수 없는 에러입니다.", "서버가 혼잡합니다. 잠시 후 시도해주세요." 라는 문구가 무한반복되었다.[40] 원시 좀비의 경우 에피소드 3 후반부에만 출몰하는데, 사방에서 좀비가 튀어나오고 오염시설 파괴까지 해야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 갈 수 있는 에피소드 3 특성상 메딕 혼자 솔플로 후반부에 도달하기는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다. 즉 팀원의 협조가 당연히 필요한데, 이것도 팀원이 막타를 양보해준다면 몰라, 돌진작을 하는 에피3 특성상 양보하기 이전에 그냥 좀비들을 무시하고 지나칠 가능성이 높기에 어지간해선 힘들다.[41] 현재는 그나마 PVE 컨텐츠인 스토리 모드에 추가되었기에 큰 문제는 없지만, 만약 PVP 컨텐츠에 이런 요소가 추가된다면 지금까지 좀비고에서 내세우던 "무과금 유저도 즐길 수 있는 게임"이라는 타이틀이 깨지게 된다.[42] 특히 풀 메탈 피스트의 보스 테마가 Act 1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43] 다만 기존의 보스전 테마는 한층 어두워진 작품 분위기에는 상당히 이질적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19
, 2.8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