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지상작전사령부 | ||
화력여단 · 정보통신여단 · 특수기동지원여단 · 지상정보여단 | |||
수도포병여단 | |||
I | 제1포병여단 · 제2기갑여단 · 제30기갑여단 · 제1공병여단 · 제1군수지원여단 | ||
II | 제2포병여단 · 제3기갑여단 · 제2공병여단 · 제2군수지원여단 | ||
III | 제3포병여단 · 제20기갑여단 · 제3공병여단 · 제3군수지원여단 · 제1산악여단 · 제23경비여단 · 제102기갑여단 | ||
V | 제5포병여단 · 제1기갑여단 · 제5기갑여단 · 제5공병여단 · 제5군수지원여단 | ||
VII | 제7포병여단 · 제7공병여단 | ||
육군본부 직할부대 | |||
수방사 | 제1방공여단 | ||
항공사 | 제1전투항공여단 · 제2전투항공여단 · 항공정비여단 | ||
특전사 | 제1공수특전여단 · 제3공수특전여단 · 제7공수특전여단 · 제9공수특전여단 · 제11공수특전여단 · 제13특수임무여단 | ||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제1공병여단 | 제2공병여단 | 제3공병여단 | |||
제5공병여단 | 제7공병여단 | 특수기동지원여단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제1공병여단 第1工兵旅團 The 1st Engineer Brigade | ||||||
조국통일의 선봉 천하제일 공병여단 | ||||||
창설일 | 1950년 9월 30일(제1102야전공병단) 1973년 3월 1일(제1공병여단) | |||||
상징명칭 | 독립문부대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상급부대 | 제1군단 | |||||
규모 | 여단 | |||||
역할 | 제1군단 공병지원 | |||||
여단장 | 준장 위정태(학군 31기)[1] | |||||
위치 | 경기도 고양시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공병여단이다. 창설 당시의 주둔지는 경상북도 경산시였으나, 1973년부터 경기도 고양시 일대에 주둔하고 있다.2. 상세
지상작전사령부 소속 제1군단 예하의 공병여단이다.여단 본부는 경기도 고양시에 있으며, 예하 대대는 고양시, 파주시, 양주시 등지에 산재해있다.
별칭은 독립문부대, 슬로건은 천하제일 공병여단. 경례구호는 충성.
6.25 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9월 30일 경상북도 경산시에 모체인 대령급인 제1102야전공병단이 창설되었다.
전쟁 중 북한의 평안도 순천시까지 진격했던 전력이 있으며, 그 후 1973년 3월 1일 경기도 고양시로 이전하여 1102야전공병단을 해체하고 준장급인 제1공병여단으로 재창설한 것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이 붙는 이름과는 달리 최초로 창설된 공병부대는 아니다. 부대명의 1은 단순히 1군단 소속이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참고로 최초로 창설된 공병부대는 수도방위사령부 제1113공병단.
1, 9, 25보병사단 신병교육대에서 지뢰나 야전공병 주특기를 받은 신병들이 후반기교육 없이 많이 배치되며, 육군훈련소 출신이라면 지뢰나 폭파 주특기를 받고, 공병학교에서 후반기교육을 받은 다음 자대로 전입하게 된다.
부대가 주요 국도변에 위치한 까닭에 유사시 경기도 서북부와 서울을 방어해야 하는 막중한 임무를 맡고 있다.
엄연한 전방부대이며, 훈련도 많은 편이다. 특히 공병훈련의 꽃이라고 불리는 M2 장간조립교 훈련과 폭파 훈련이 많다. 또한 비무장지대 지뢰 제거나 전방 지역의 불발탄 제거 작전에 자주 투입되는 부대이기도 하다.
이렇듯 전시에나 평시에나 고양시, 파주시, 양주시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부대로, 과거 자유로 건설, 제3 땅굴 역갱토 공사, 월남전 파병 등 굵직한 임무를 수행해낸 국가 발전의 초석이 된 부대이기도 하다.
3. 예하부대
3.1. 여단직할대
여단 직할대는 도하중대를 제외한 4개의 부대가 하나의 막사를 공유한다. 부대 바로 앞에 도시가 있고 지하철(삼송역)도 있어서 위치는 상당히 좋은 편이다.
- 본부대
본부대는 고양시에 위치해 있다.
병사 인원이 20명 내외인데 비해 일하는 간부는 극히 적어 병사들이 할 일이 아주 많다. 운전병이든 행정병이든 군종병이든 일단 끌고 가 작업을 시키는데, 내가 야전공병으로 온 거였나 하는 착각이 들 때가 있다. 그나마 조리병이 상황이 좋지만, 운이 나쁘면 유격이나 혹한기 같은 훈련에 같이 끌려갈 수도 있다.
본부 수송부는 수송정비반이기 때문에 일이 상당히 많다. 배차가 없으면 대부분 수송부에서 작업을 한다. 수송부 역시 간부가 사실상 수송관 한 명이기 때문에 병사들 일하는 게 힘들다. 운전병에 대한 환상이 깨지는 곳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여단 본부근무대 대부분이 겪는 일이라는 의견도 있다.* 통신중대통신중대는 고양시에 위치해 있다.* 도하중대리본부교를 운용하는 여단 직할 중대이다.* 정비근무대정비근무대는 고양시에 위치해 있다.* 장비중대장비중대는 고양시에 위치해 있다.
3.2. 제102공병대대 개척
제102공병대대는 양주시에 위치하고 있다.3.3. 제109공병대대 상승
제109공병대대는 고양시에 위치하고 있다.3.4. 제113공병대대 진격
제113공병대대는 고양시에 위치하고 있다.3.5. 제127공병대대 연결
제127공병대대는 파주시에 위치하고 있다.1965년에 주월한국군사원조단(비둘기부대) 예하 건설지원단 소속으로 월남전에 파병되어 육군 최초로 해외파병된 공병부대이다.
3.6. 제511교량대대 이음
제511교량대대는 고양시에 위치하고 있다.2023년 12월 1일부로 교량중대에서 교량대대로 개편되었으며 간편조립교를 운용한다.
북한군이 불법 남침을 시도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위치인 서부전선, 경기도 서북부에 주둔하고 있는 군부대 중 유일한 교량대대이기 때문에 절대 없어서는 안 될 부대이다.
훈련은 중부재인 교량을 구축하는 부대이기에 강도가 높고 위험한 편이다.
명실상부한 운전병의 무덤이다. 야수교에서 자대배치를 받고 운전병으로 전입오면 대대 내에 발에 치일 정도로 많은 보직이 운전병이다. 대대 내에 야전공병보다 운전병이 많으며 운전병이 많은 만큼 모든 공병 훈련에 다 참여한다. 교량훈련은 야전공병의 꽃인 만큼 많이 힘들고 허리 제대로 안 피고 들면 허리디스크가 터질 수도 있다. 전역할 때 보면 허리디스크가 생겨서 전역하는 사람도 있고 운전병은 자대에서 50km도 못 타고 나오는 전역자들도 많다. 본부중대(특수보직 중대)로 배치를 받는다면 그나마 강도 높은 훈련에서는 어느정도 제외되는 편이다. 취사병이라면 사실상 거의 모든 진 빠지는 훈련에서 빠질 수 있다.
대대 본부중대를 제외하고 3개의 중대가 있고, 총 인원은 적은 편이다.
4. 과거부대
5. 출신인물
5.1. 여단장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여단장. |
역대 제1공병여단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초대 | 황오연 | 예) 준장 | 육사 2기 | 前 여단장 | |
00대 | 안무혁 | 예) 준장 | 육사 14기 | 前 여단장 | |
00대 | 이상돈 | 예) 소장 | 육사 27기 | 前 여단장, 공병감 | |
00대 | 박병희 | 예) 소장 | 육사 31기 | 前 국방시설본부장, 육군공병학교장, 제1107공병단장 | |
00대 | 안현석 | 예) 준장 | 육사 39기 | 前 대한민국 육군본부 시설실장 | |
00대 | 탁부영 | 예) 소장 | 육사 40기 | 前 국방시설본부장 | |
28대 | 윤영대 | 예) 준장 | 육사 42기 | 前 제2공병여단장 | [2] |
29대 | 강성수 | 예) 준장 | 학군 24기[3] | 前 합동참모본부 공병부장, 제1115공병단장, 제1보병사단 공병대대장 | [4] |
30대 | 고동준 | 예) 소장 | 육사 45기 | 前 육군본부 공병실장 | |
31대 | 임태규 | 예)준장 | 육사 46기 | 前 상무대 근무지원단장 | |
32대 | 김흥규 | 준장 | 육사 48기 | 前 여단장 | |
33대 | 위정태 | 준장 | 학군 31기 | 現 여단장 | 임기제 진급 |
5.2. 장교/부사관
5.3. 병
6. 기타
면회실 안에 치킨과 피자, 스파게티 등을 판매하는 베이커리가 있었고 2016년 1월부로 계약이 만료되었으나, 3월부터 새로운 사업자가 선정되어 다시 판매를 시작하고 있다. 메뉴는 치킨, 피자, 족발, 탕수육, 짜장면, 돈까스 등의 패스트푸드와 중식, 그리고 김밥, 순대, 라면같은 분식까지 판매한다. 병사들의 반응은 괜찮은 편. 가격과 맛 모두 평타 이상은 친다고 한다. 단.여단본부만.
2020년 기준으로 베이커리는 사라졌고, 여단본부 영내에는 PX와 병영식당 외의 취식이 가능한 시설은 없다.
고양시에 위치한 부대라 농구 시즌이 되면 희망 인원을 뽑아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의 홈경기를 보러 가기도 한다. 고양시 이동도서관이 격주로 수요일마다 오기도 한다. 또한, 5월 석가탄신일 시즌이 되면 불교 군종들과 몇몇 인원들을 뽑아 화정역부근에서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고양 연등 문화축제 지원을 가기도 했다.
종교시설은 영내에 법당과 교회가 있으며, 천주교 종교 행사 참석을 희망하는 인원은 군단 성당으로 가야 한다. 매주 일요일마다 각 대대로 버스를 보내 준다. 또한 위병근무자들의 애로사항이 상당히 많다. 그도 그럴 것이, 영내에 여단 본청만 있는 것이 아닌, 예하 한 대대와 시설단이 위치하고 있고, 위치 덕분에 민간인의 왕래도 많은 곳이기 때문이다. 물론 여단급 부대보다 상급 부대인 군단이나 야전군 위병 근무자들에 비하면 덜 하겠지만 나름대로 압박이 크다. 여단 본청에 근무하는 간부들, 예하 대대 간부들, 시설단 간부들과 군무원들, 군인 가족들 + 외래 민간인들까지 모두 상대해야 한다.
6.1. 근무환경
본부대나 이와 붙어있는 113대대 기준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까지 도보로 10분 거리에, 서울역까지는 지하철로 40~50분이면 충분히 도착한다. 부대 앞을 지나는 서울 버스와 고양시 버스, 파주시 버스가 많고, 인근에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지난다. 차로 4분 거리. 덕분에 휴가나 외출, 외박 나갈 때 매우 편리하다.외출, 외박 위수지역인 화정은 13분, 일산신도시, 라페스타쪽은 지하철로 22분 정도면 도착한다.
파주 금촌도 경의중앙선을 이용하면 40분 내외로 도착 가능하다. 위수지역은 2020년 개편으로 의왕/성남시부터 양주까지로 확장되었다.
2014년 9월부터 3개월 동기제를 실시하고 있다가, 2016년 4월 4일부터 6개월 동기제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실시하고 있다.
6.2. 여단가
(1절)
겨레의 힘찬 줄기 백두산까지
싸우며 건설하는 공병의 용사
남아의 끓는 피를 조국에 바쳐
우렁차게 진동하는 야전공병
(2절)
북한산 푸른 정기 압록강까지
독립문 빛난 기상 이은 건아들
사나이 붉은 정열 내 겨레 위해
영원무궁 전진하는 야전공병
(후렴)
한민족의 자랑이다 호국의 선봉
장하다 그 이름 제1 공병여단
- 제1 공병여단가
겨레의 힘찬 줄기 백두산까지
싸우며 건설하는 공병의 용사
남아의 끓는 피를 조국에 바쳐
우렁차게 진동하는 야전공병
(2절)
북한산 푸른 정기 압록강까지
독립문 빛난 기상 이은 건아들
사나이 붉은 정열 내 겨레 위해
영원무궁 전진하는 야전공병
(후렴)
한민족의 자랑이다 호국의 선봉
장하다 그 이름 제1 공병여단
- 제1 공병여단가
7. 여담
- 前 육군참모총장 김용우 대장이랑 조금 특별한 연이 있다. 김용우 대장이 중장이었던 제1군단장 시절에 여단장 이취임식 때 직접 참석해서 부대기를 이양해줬고[5] 김용우 대장의 부인인 간호장교 출신 박중희 여사가 제102공병대대의 군부대 교회인 기드온광현교회 신축 기부금을 상당수 기부를 했다.
- 2011년, 예하 109대대에서 폭우로 유실된 다리를 복구하기 전에 임시 교량으로 장간조립교를 구축해주었던 전력이 있으며, 여단에서는 여러 장비와 병력을 지원하는 등 수해 복구에 힘을 썼다.
- 여단 본부 주둔지는 '숫돌고개'라는 자연 지명으로 불리는 곳인데, 조선 시대부터 현대 시대에 이르기까지 전쟁의 역사가 있는, 군사지정학적으로 봤을 때 매우 중요한 지역이기도 하다. 다름이 아니라, 임진왜란 때는 명의 이여송, 왜의 고니시 유키나가가 맞붙은 벽제관 전투의 주무대이기도 했으며, 6.25 전쟁 때는 1.4 후퇴 이후 다시 38도선 위까지 밀려 올라간 중공군이 서울 재탈환을 위해 재공세를 펼쳤는데, 이미 서울을 수복하고 사기가 오른 연합군에게 이 곳 숫돌고개에서 막혀 1953년 휴전 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중공군이 서울을 쳐다보지도 못하게 한 중요한 지역이기도 하다. 이처럼 군사적 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이라,[6] 고양삼송택지개발사업으로 여단본부 주변 지역이 싹 다 밀리고 고층 아파트가 들어오는 와중에도 여전히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7]
- 여단 본부대와 113공병대대 영내는 드라마 푸른거탑의 촬영지 중 한 곳이기도 하다. 실제 병사들이 사용하는 식당, 생활관, 연병장 등에서 몇몇 에피소드의 촬영이 이루어졌다.
[1] 조선대학교[2] 2014.10.27 ~ 2015.12.01[3] 경희대학교[4] 2015.12.01. ~ 2016.12.16.[5] 원래 군단 직할여단 이취임식 임석상관은 군단장이 맞다[6] 위성지도를 조금만 보면 알 수 있지만, 이 곳 숫돌고개에서 막히면 서부 전선 지역에서 서울로 가장 빨리 진입할 수 있는 루트가 막혀버리는 것이라서 진격 속도가 매우 지체되며, 어렵게 이 곳을 돌파하더라도 지체된 시간으로 인해 다른 루트에서 반격, 기습 등의 위협 때문에 쉽게 전술을 펼치기 힘든 자리다.[7] 보통 이런 식으로 택지개발사업이 이뤄지면 기존에 있던 군부대는 택지사업부지에서 밀려나 더 야심한 산골로 들어가는 것을 생각하면 이례적이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