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939499><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틀:제주특별자치도 공항리무진| 공항 ]]ㆍ[[틀:제주특별자치도 급행버스|급행 ]]ㆍ[[틀:제주특별자치도 간선버스|간선 ]]ㆍ[[틀:제주특별자치도 지선버스|지선 ]]ㆍ[[틀:제주특별자치도 마을버스|마을 ]]ㆍ[[틀:제주특별자치도 순환버스|순환 ]]ㆍ[[틀:제주특별자치도 심야버스|심야 ]] |
1. 개요
제주특별자치도 시내버스에서 운용 중인 차량을 정리한 문서.2. 운용 차종
2.1. 현재 운용 차종
2.1.1. 현대자동차
- 뉴 카운티
- 카운티 뉴 브리즈 디젤
- 카운티 뉴 브리즈 전기버스: 제주시 공영버스, 서귀포시 공영버스에서 운용 중이다.
- 그린시티
- 그린시티 F/L
-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제주도 특성상 노선 포지션에 상관없이 좌석버스가 대부분이지만 2022년 이후로는 오산교통 등으로부터 중고차량을 반입하여 입석형 차량도 소수 생기게 되었다.
-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2021년까지 출고하였으며 2022년형부터 디젤 모델 단종으로 인해 더 이상 출고되지 않고 있다. 모두 일반간선이나 급행에만 투입되어서 전문형 차량만 존재한다. 즉 전중문형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은 제주전역에 단 한대도 없다.
- 일렉시티 전기버스: 극동여객, 금남여객, 동진여객, 삼영교통, 삼화여객, 서귀포시 공영버스, 제주여객에서 운용 중이다.
-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 삼화여객에서 2023년 6월 21일 제주특별자치도 최초로 도입했다.
-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F/L
2.1.2. 자일대우버스
- 자일대우버스 레스타
- NEW BS090
- NEW BS106
- NEW BC211: 동서교통(현 서귀포운수)가 전국 최초로 도입했으며, 현대 원메이크인 극동여객에는 없다.
- NEW BS110
- FXII116 크루징애로우: 제주여객에서 운용 중이다.
- FX116 하모니: 제주여객에서 운용 중이다.
- FXII120 크루징스타: 삼영교통에서 운용 중이다.
- FX120 에이스: 삼영교통에서 운용 중이다.
- BX212M 로얄 플러스: 삼영교통에서 운용 중이다.
2.1.3. 기아
2.1.4. KGM커머셜
- e-화이버드 전기버스: 서귀포시 공영버스, 서귀포운수에서 운용 중이다.
- NEW e-화이버드 전기버스: 삼영교통, 제주여객에서 운용 중이다.
- 스마트 110 전기버스: 삼영교통, 서귀포운수, 제주여객에서 운용 중이다.
2.1.5. 우진산전
- 아폴로 900 전기버스: 제주시 공영버스에서 운용 중이다.
- 아폴로 1100 전기버스: 삼영교통에서 2024년 11월 하순 전국 최초 양문형으로 도입했다.
2.1.6. BYD
- BYD eBUS-7: 우도사랑협동조합에서 운용 중이다.
- BYD eBUS-9(고상): 우도사랑협동조합에서 운용 중이다.[1]
- BYD eBUS-11: 2024년 10월 서귀포운수에서 5대 출고했다.
2.1.7. 볼보버스
- 볼보 B8RLE F/L 2층버스: 제주 버스 1111, 1113에서 운용 중이다.
2.2. 과거 운용 차종
2.2.1. 현대자동차
- 카운티
- 에어로타운
- 글로벌900: 서귀포 시영버스에서 많이 운행했다.
- FB485: 1980년대 초중반 구 한일여객에서 도입했다.
- RB520(L): 1980년대 말 구 한일여객 및 서귀포 구 영신여객에서 도입했다.
- 에어로시티 520 / 540(L)
-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L/SL): 도시저상형은 2002년 구 대화여객에서 중고로 구매했다.(1997년식)
- 슈퍼 에어로시티
- 뉴 슈퍼 에어로시티
- 에어로 600 : 금남여객에서 동.서회선 시외버스 직행노선으로 투입한적이 있다.
2.2.2. 자일대우버스
- 대우버스 BM090
- 대우버스 BS090
- 대우버스 BS090 F/L
- 대우 BF101: 1970년대 말~80년대 초중반 많이 도입했다.
- 대우 BR101: 1983년 삼영교통에서 100번 노선 운행개시와 함께 좌석버스로 도입했다.
- 대우 BV101: 1980년대 중반 구 대화여객을 비롯한 몇몇 업체에서 도입했다.
- 대우 BS105: 1980년대 말 구 대화여객 및 서귀포 구 영신여객과 구 영주운수 등에서 도입했다.
- 대우 BS106 하이파워(L): 구 대화여객에서 2002년에 시내저상형과 일반형(부산)을 중고로 구매했고.(1996~97년식), 구 서귀포교통은 무냉방형 시내일반형을 자체구매했다.
- 대우버스 BS106 로얄시티
- 대우버스 BS106 로얄시티 F/L
- 대우버스 BS110CN
- 대우버스 BS120CN: 삼영교통에서 제주도 최초로 도입한 저상버스다.
- 대우 BV113
- 대우버스 BH115E
- 대우 BH115H: 삼화여객, 삼영교통에서 운행했다.
- 대우버스 BH116
2.2.3. 아시아자동차
3. 여담
지역 특성상의 이유로 천연가스버스를 운용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저상버스를 도입하려면 전기버스로만 도입해야 한다.과거에 삼영교통과 제주시 공영버스에서 LPG 버스를 시험 운용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떨어지는 실용성과 정비 문제로 인하여 LPG 버스의 보급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뉴 슈퍼 에어로시티의 저상 차량을 운용하지 않는다. 디젤 모델이 출시되지 않았던 2017년 이전까지는 상술한 천연가스버스를 도입하지 못하는 문제로 인해 몇몇 회사에서 BS120CN과 BS110의 디젤 차량을 몇 대 출고한 게 전부이며, 디젤 모델이 출시된 2017년 이후로는 전기 저상버스가 도입되기 시작하여 에어로시티 계열의 저상버스가 들어오지 않았다.
뉴 슈퍼 에어로시티의 개선형 모델도 고상 전중문형은 들어온 적이 없다. 전기버스 도입이 많아진 것도 이유이지만, 결정적으로 차값 절감을 위해 노선 이동 후 그린시티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 듯 하다. 그 덕에 그린시티 개선형은 의외로 많은 편이다.
2017년 8월 대중교통 개편 전, 제주특별자치도의 버스 고급화 정책으로 인해 유니버스와 FX116 등의 고급형 차량과 준저상버스를 구매할 시 보조금이 지급되었던 적이 있었다. 따라서 제주특별자치도는 전라북도와 함께 준저상버스를 가장 많이 운용하는 지역이 되었다.
전기버스는 에디슨모터스가 강세였으나, 경영진 구속 사태 이후로는 현대자동차가 강세다. 삼화여객, 극동여객, 금남여객, 동진여객, 서귀포시 공영버스에서는 일렉시티만 굴리며, 삼영교통, 제주여객은 에디슨모터스와 현대자동차를 혼용, 서귀포운수는 에디슨모터스와 BYD를 혼용, 제주시 공영버스는 우진산전과 현대자동차를 혼용한다.
서귀포운수는 인천 시영운수와 더불어 에디슨모터스 중정비급 A/S 센터가 차고지 내에 위치하고 있는 두 회사다.
삼영교통은 대우차를 선호하며, 극동여객은 현대차를 선호한다. 위 두 회사를 제외하고는 현대차와 대우차를 어느정도 혼용하는 편이다. 자일대우버스 울산공장 조업중단 이후에는 삼영교통만 꾸준히 대우차를 뽑는 듯 했으나 동진여객과 삼화여객도 소량의 울산공장 재고차를 들여왔었다. 베트남 생산분은 삼영교통만 출고하였다. 현재는 삼영교통도 일렉시티를 도입하면서 대부분의 업체들은 현대차 위주로 출고하고 있다.
2022년 11월에는 에디슨모터스 사태로 삼영교통이 그린시티 신차, 서귀포운수가 그린시티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중고차를 도입했다. 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은 단종되었으며, 서귀포운수의 배터리 교체식 e-화이버드를 플러그인식 차량에 사용되는 배터리로 개조하는 중이었으나, 에디슨모터스의 공장 가동 중단 사태로 인해 부품 수급이 중단되어 개조 작업은 중지되었고, 개조되지 않은 차량 중 일부는 조기 대차했다.
2024년 10월 2일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및 일렉시티에 좌석형이 추가되면서 제주특별자치도에서도 일렉시티 좌석형을 도입할 것으로 보인다.
[1] 전국에서 유일하게 운용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