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180C2><colcolor=#fff> DC 코믹스의 등장인물 제우스 Zeus | |||
캐릭터 창조 정보 | |||
출판사 | DC 코믹스 | ||
최초 등장 | Superman Vol. 1 #28 1944년 6월 ([age(1944-06-01)]주년) [dday(1944-06-01)]일째 | ||
창작자 | 제리 시걸, 아이라 야르브로 | ||
캐릭터 설정 정보 | |||
본명 | 제우스 Zeus | ||
이명 | 제우스 판헬레니오스(Zeus PanHellenios) 천상의 왕(King of the Heavens) 유피테르(Jupiter) 지크(Zeke) (가명) 블레이크 후퍼(Blake Hooper) (가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180C2><colcolor=#ffffff> 인간 관계 | ||
소속 | 올림포스 12신 샤잠의 후원신 | ||
가족 관계 | 우라노스 (할아버지) 가이아 (할머니) 크로노스 (아버지) 레아 (어머니) 헤라 (아내/자매) 포세이돈 (형제) 하데스 (형제) 헤스티아, 데메테르 (자매) 페르세포네 (데메테르의 딸, 시누이) 아폴로 (레토의 아들) 퍼스트 본 (헤라의 아들) 아레스 (헤라의 아들) 헤파이스토스 (헤라의 아들) 아르테미스 (레토의 딸) 아테나 (메티스의 딸) 디오니소스 (세멜레의 아들) 에리스 (헤라의 딸) 헤르메스 (마이아의 아들) 페르세우스 (다나에의 아들/사망) 헤라클레스 (알크메나의 아들) 다이애나 (히폴리타의 딸) 제이슨 (히폴리타의 아들) 레녹스 (아들/사망) 밀란 (아들) 시라카 (딸) 카산드라 샌즈마크 (손녀) | ||
생사 관련 | |||
현실 | 신들의 영역 (프라임 어스)
| ||
개인 정보 | |||
신분 | 이중 신분 없음 | ||
종족 | 신 | ||
국적 | 올림포스 | ||
직업 | 올림포스 만신전의 군주, 하늘과 폭풍의 신 | ||
근거지 | 불명
| ||
신체 특징 | |||
성별 | 남성 | ||
눈 | 파란색 | ||
모발 | 검은색 노란색 흰색 | }}}}}}}}} |
[clearfix]
1. 개요
DC 코믹스의 제우스.2. 특징
원전 신화와 마찬가지로 올림포스에서 군림하는 천둥신이자 신들의 군주로, 옆동네 오딘이 인기 히어로인 아들 덕분에 신들 사이에서도 위상이 좋은 것처럼, DC의 제우스 역시 핵심 히어로 원더우먼이 그리스 신화 계열 캐릭터기 때문에 지구의 신들 중에서는 강자급으로 묘사되는 편. 리부트 후에는 원더우먼이 본인의 딸이라는 사실까지 밝혀지면서 더 위상이 올라갔다.아예 우주를 관리하는 우주적 존재들의 모임인 퀸테산스(Quintessence)(다른 멤버는 팬텀 스트레인저, 하이파더, 간셋, 마법사 샤잠)에 지구 신들 대표로 참석할 정도. 다만 리부트 이후에는 퀸테산스가 등장할 때 제우스는 후술할 이유로 없었는지라 아내 헤라가 대신 나왔는데, 어째서인지 제우스가 복귀한 후에도 계속 헤라가 퀸테산스 멤버로 등장하면서 아내 앞에서 체면을 구기게 되었다.
그리고 작중에서는 도움이 되기 보다는 리부트 전이나 후나 일을 제대로 못해서 히어로들을 고생하게 만들면서 졸렬한 모습까지 보여주는 등 여러모로 문제가 많은 신이다.
3. 작중 행적
3.1. 리부트 이전
상당한 강자이지만, 원전 신화처럼 엄청난 바람둥이에다가 [1] 오만하고 변덕스러운 성격의 소유자라서 결코 선역은 아니며 오히려 아랫사람들을 피곤하게 만드는 꼰대 상사 스타일이다.
아마존의 창조자이자 수호신으로 행세하지만, 사실 고대신답게 남존여비적인 고리타분한 시선까지 있어서 아마존은 올림푸스의 여신들이 제우스 몰래 창조한 종족이라는 사실이 드러난다. 이 사실에 대해서 항상 언짢게 생각하고 있어 2000년대에는 전원 남자로 이루어진 가르가리안(Gargarean)이라는 아마존 성별반전 버전 전투종족을 창조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원더우먼이 오랫동안 인간 세상에 내려갔음에도 세상에 혼란이 진정되지 않자, 제우스는 그녀가 실패했다고 판단했다. 그는 점토로부터 죽은 아들 아킬레우스를 본따 올림피안(Olympian)이라는 투사를 빚어낸 후 아들 이아손을 부관으로 붙여주고, 가르가리안들을 이끌고 세상에 질서를 가져오도록 명한다. 물론 제우스의 생각과는 다르게 수많은 초인 전사들이 풀려나면서 세상은 더 혼란에 빠졌고 원더우먼만 뒷수습을 하느라 더 고생해야 했다.
3.2. 리부트 이후
3.2.1. 뉴 52
본편에서는 행방불명 상태로 나오며 신들이 서로 왕좌를 차지하고자 음모를 꾸미게 된다. 여기서도 별로 성격이 좋은 편은 아니었는지 신들은 틈만 나면 제우스의 뒷담화를 한다. 거기에 과거 헤라에게서 태어난 장남 퍼스트 본에 대해 '아버지의 왕좌를 차지하고 가족의 시체로 이를 둘러쌀 것이다'라는 예언을 듣자 갓난아기인 퍼스트 본을 죽여버리라는 아버지보다 나을 것 없는 냉혹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차마 자기 아들을 죽일 수 없었던 헤라는 아기를 몰래 지구의 야생에다가 버리고, 야수들 사이에서 크면서 세상과 신들을 증오하는 괴물로 자라난 퍼스트 본은 올림포스를 멸망시키는 재앙이 되어 돌아온다.
그 와중에 애먼 인간들을 임신시키는 바람둥이짓은 여전한 듯. [3] 또 졸라(Zola)라는 인간 여성에게 지크(Zeke)라는 아들을 임신시키자 배알이 꼴린 헤라는 왕좌의 라이벌이자 그토록 증오하는 사생아인 아기를 졸라와 함께 죽이려 들고, 원더우먼이 둘을 보호하러 나서며 본편 시리즈는 시작된다.
나중에 밝혀진 진실은...
- [스포일러]
- 사실 졸라는 인간이 아니라 아버지가 자신을 낳았듯이, 아기로 변모한 아버지를 처녀 상태로 태내에 품고 있던 아테나 여신이었다. 즉, 졸라의 아들 지크(Zeke)는 환생 제우스 본인이었던 것.
그리고 제우스가 굳이 자리를 비워 이 사단이 나게 만든 것은, 골칫거리였던 퍼스트 본 예언을 끝낼 뿐만 아니라 자신의 딸 다이애나가 신으로서의 운명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판을 깔아주기 위한 계획이었음이 밝혀진다.
작품은 퍼스트 본이 패퇴당하고 지크(제우스)가 왕좌에 다시 올라가면서 천상에 평화가 찾아오고 끝난다.
3.2.2. DC 리버스
그러나 #45에서 원더우먼이 파라다이스 섬을 정복하려던 다크사이드를 패배시키며 다시 영혼 상태로 다크사이드의 몸으로부터 풀려난다. 제우스는 딸이 자랑스럽다는 말을 남긴 후 사라진다.
그래서 스콧 스나이더 저스티스 리그에서 퀸테산스가 등장할 때 제우스는 이미 고인이 된 상태였는지라, 아내 헤라가 일원으로 대신 등장해야 했던 사정이 있다. [4] 2021년 원더우먼 시리즈에서는 부활해 다시 올림포스의 왕으로 복귀한 듯.
2023년 라자루스 플래닛 이벤트에서는 아예 마법이 세상에 넘쳐나는 틈을 타서 인간 세계를 침공, 필멸자들에게 본때를 보여주고자 하던 헤라를 제지하지만, 마법사 샤잠과 손을 잡고 쿠데타를 일으킨 아내 헤라에게 역으로 또 살해당하고 올림포스의 왕좌를 빼앗기는 수모를 당한다.
그런데 이후 연재된 2023년 샤잠 시리즈에서도 다른 후원자 신들(헤라클레스,아틀라스,헤르메스,아킬레우스+솔로몬 왕)과 함께 멀쩡히 살아있는 것으로 모습을 보인다. [5] 다만 자기들의 투사 빌리 뱃슨을 제멋대로 통제하려는 오만한 신이자 마블 패밀리의 적대자로 등장하면서 이미지를 또 구긴다. 헤라 역시 라자루스 플래닛에서 인간계를 침공하며 벌인 깽판 때문에 올림포스에서 추방되어서 올림포스는 현재 히폴리타랑 헤카테가 관리하는 것으로 추정.
4. 다른 매체에서
4.1. 실사화
- 스왐프 씽 (1990~1993)
- DC 확장 유니버스
자세한 내용은 제우스(DC 확장 유니버스) 문서 참고하십시오.
4.2. 애니메이션
- 원더우먼 (2009)
- DC 네이션: 샤잠!
4.3. 게임
5. 기타
[1] 딸 카산드라 샌즈마크에게 당신이 자기 아버지냐는 질문을 처음 들었을 때는 아니라고 거짓말로 얼버무리기도 했다.[2] 근데 다른 그리스 여신들도 파격적이다. 헤라는 맨몸에 공작의 깃털로 만든 망토를 걸치고, 아르테미스와 아프로디테는 아예 알몸으로 나온다. 헤라가 올림푸스에선 토가를 입는 걸로 봐서 그게 지상에 강림할 때 패션인 듯하다.[3] 작중 등장하는 동료들이 이렇게 탄생한 반인반신 사생아, 즉 원더우먼의 이복남매/자매들이다.[4] 다만 헤라도 신들의 여왕으로서 충분한 강자이기 때문에 호락호락한 여신은 아니므로 일원으로 나와도 무리는 아니다.[5] 정황상 빌리에게 남아있는 정수를 통해서 살아있는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