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6 07:40:05

정화왕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70000> 추존 왕후
<rowcolor=#670000> 국조 후 의조 후 세조 후 대종 후
1
정화왕후
1
원창왕후
1
위숙왕후 한씨
1
선의왕후 류씨
<rowcolor=#670000> 안종 후 강종 후 원종 후 공민왕
1
효숙왕후 황보씨
1
사평왕후 이씨
1
순경왕후 김씨
4
왕대비 안씨
6
순정왕후 한씨
<rowcolor=#670000> 제후왕비
<rowcolor=#670000> 낙랑군왕비 문원대왕비 정간왕비 조선국왕비
1
죽방부인
2
낙랑공주 유씨
3
왕녀 유씨
1
문혜왕후 류씨
1
정간왕비
1
왕비 이씨
<rowcolor=#670000> 추존 공작비
<rowcolor=#670000> 영헌공 인숙공 인혜공 인효대공
1
순안비 황보씨
1
장경비 박씨
1
명예비 신씨
1
삼한국대비 왕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70000> 태조 태후 혜종 태후 [ruby(정종, ruby=定宗)] ~ 광종 태후 경종 태후
정화왕후 장화왕후 신명순성왕태후 대목왕후
원창왕후
위숙왕후
<rowcolor=#670000> 성종 태후 목종 태후 현종 태후 덕종 ~ [ruby(정종, ruby=靖宗)] 태후
태황태후

신정대왕태후
헌애왕태후
(천추태후)
신성왕태후 원성왕태후
효숙왕태후
선의왕태후
왕대비

문화대비
왕대비

순안왕대비
<rowcolor=#670000> 문종 태후 순종 ~ 선종, 숙종 태후 헌종 태후 예종 태후
원혜태후 인예태후 사숙태후 명의태후
<rowcolor=#670000> 인종 태후 의종 태후 명종 ~ 신종 태후 희종 태후
문경태후 공예태후 공예태후 선정태후
왕대비

선평왕후
<rowcolor=#670000> 강종 태후 고종 태후 원종 태후 충렬왕 태후
광정태후
태황태후

원덕태후
안혜태후 순경태후
상황후

성평왕후
<rowcolor=#670000> 충선왕 태후 충숙왕 태후 충혜왕 태후 충목왕 ~ 충정왕 태후
인명태후 계국대장공주 명덕태후 덕녕공주
<rowcolor=#670000> 공민왕 태후 우왕 태후 창왕 태후 공양왕 태후
명덕태후 인덕태후
왕대비

왕대비 이씨
왕대비

왕대비 안씨
순정왕후
국대비

삼한국대비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의조 왕후
정화왕후 | 貞和王后
생몰년 미상
이름 진의(辰義)[B]
부모 부친 - 보육(寶育)[B]/보육성인(寶育聖人)[C]
모친 - 덕주(德周)[B]
배우자 국조[A]/당숙종[B]
자녀 슬하 1남
아들 - 의조[B]
시호 정화왕후(貞和王后)[A][B][C]
1. 개요2. 각종 기록
2.1. 태조실록2.2. 편년통록 - 편년강목2.3. 이제현 논평

1. 개요

고려의 3대조인 국조 원덕대왕의 왕후. 태조 왕건의 증조모가 된다.

2. 각종 기록

정화왕후에 대한 기록은 《고려사》 <고려세계>에 기록된 《태조실록》, 《편년통록》, 《편년강목》, 이제현의 <논평>, 이 네 가지다. 이 중 《편년통록》과 《편년강목》은 같은 설화를 담고 있어 사실상 세 가지 기록밖에 없다.

《편년통록》과 《태조실록》, 《왕대종족기》, 《성원록》[11]의 내용 모두 《고려사》에 실려있다. 《태조실록》, 《왕대종족기》와 《성원록》은 현재 전하지 않으며, 《고려사》 <고려세계>엔 이렇게 기록이 이상하다보니 태조 왕건의 조상에 대해선 역사기록이 없어 상세하지 않다고 명시했다.

2.1. 태조실록

고려가 제작한 《태조실록》엔 국조의 비로 나온다. 그외 기록 무.

2.2. 편년통록 - 편년강목

고려 건국설화의 등장인물 가계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호경
강충의 어머니(전처) | 평나산신(후처)
강충
구치의
이제건 보육(손호술)
덕주
덕주
보육
진의
당숙종
진의의 언니 작제건
저민의(서해용녀)
강씨부인 용건
몽부인(성모천왕)
왕평달
도선 왕건 왕식렴
아랫첨자는 배우자를 나타낸다.
보라색 바탕은 혈연 관계가 없는 인물.
}}}}}}}}}

고려 태조 신성대왕의 증조할머니로, 의조의 어머니. 정명왕후(貞明王后)라고도 불린다.

설화에선 이름이 진의(辰義)라고 나온다.

《편년통록》에선 진의의 아버지가 국조 보육, 어머니가 덕주이다. 덕주는 진의의 큰아버지 이제건의 딸로 진의의 어머니는 진의의 사촌이기도 하다.

진의는 당숙종과 결혼하여 작제건을 낳았다.

《편년통록》에 실려있는 작제건 설화에 따르면, 당나라 숙종이 보육의 집에 머무를 때 그의 두 딸을 보고 아름다움에 반해 옷을 꿰매 달라고 하였다. 보육은 이전에 술사가 했던 말[12]을 기억하며, 이가 틀림없는 귀인이라 생각하고 딸과 인연을 맺어주기로 했다.

큰딸은 밖에 나가 없어 작은딸 진의가 옷을 꿰매 주어 인연을 맺고 아들을 낳으니 바로 태조 왕건의 할아버지인 의조 작제건이다.

2.3. 이제현 논평

이제현은 《왕대종족기》, 《성원록》을 인용해 보육과 국조 원덕대왕은 서로 다른 사람이라고 주장했다. 이제현은:

1. '보육성인(寶育聖人)'이란 사람이 이름 모를 딸을 낳았다.

2. '당숙종(唐肅宗)'이 이 딸과 사랑에 빠져 아들을 낳았다.

3. 이 아들이 바로 국조 원덕대왕이며 그의 아내는 '정화왕후'이다.

4. 그래서 '의조'는 정화왕후의 아들이다. 그러니 정화왕후는 '태조'의 증조모다.

사실 이제현의 주장대로 하면 얼추 맞는다. 당숙종이 태조의 직계 조상이란 설화는 그대로이다.
[B] 《편년통록·편년강목》[B] [C] 이제현 논평[B] [A] 《태조실록》[B] [B] [A] 《태조실록》[B] [C] [11] 《종족기》와 《성원록》은 이제현이 자신의 <논평>에 인용한 사서이다.[12] 술사가 와서 보육에게 대당 천자가 와서 사위가 된다 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