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19:50:33

정승윤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파일:정부상징.sv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부패방지 / 2008~현재)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초대
이영근
제2대
백운현
제3대
최현복
제4대
곽진영
제5대
박경호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6대
이건리
제7대
안성욱
제8대
박종민
제9대
정승윤
제10대
이명순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고충처리 / 2008~현재)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초대
박인제
제2대
김대식
제3대
박재영
제4대
김인수
제5대
권태성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6대
이정희
제7대
김태규
제8대
조소영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행정심판 / 2008~현재)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초대
김필규
제2대
오준근
제3대
홍성칠
제4대
이상민
제5대
김기표
<nopad> 윤석열 정부
제6대
정승윤
제7대
박종민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대한민국 제6·9대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정승윤
鄭勝允 | Chung Seung-yun
파일:정승윤선관위.jpg
출생 1969년 10월 3일 ([age(1969-10-03)]세)
경상남도 양산군 서생면
(現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현직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재임기간 제6대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행정심판)
2023년 1월 27일 ~ 2023년 3월 5일
제9대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부패방지)
2023년 3월 5일 ~ 2024년 12월 5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764><colcolor=#fff> 학력 금사국민학교 (졸업)
금사중학교 (졸업)
내성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법학[1] / 석사[2])
부산대학교 대학원 (법학 / 박사과정 수료)
병역 공익법무관 복무만료[3]
(1996년 4월 27일 ~ 1999년 4월 26일)[4]
경력 제35회 사법시험 합격
제25기 사법연수원 수료
부산지방검찰청 공익법무관
서울남부지방검찰청 검사
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청 검사
부산대학교 법과대학 행정법 교수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전임교수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상임위원 (이명박 정부)
국회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
제6대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겸 중앙행정심판위원회 위원장 (윤석열 정부)
제9대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윤석열 정부)
}}}}}}}}}

1. 개요2. 생애
2.1. 국민권익위 부위원장2.2. 2025년 재보궐선거
3. 비판 및 논란4. 선거 이력

1. 개요

대한민국의 법조인, 교육인 출신 정무직 공무원으로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과 사무처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이다.

2. 생애

1969년 10월 3일 경상남도 양산군 서생면(현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에서 태어났다. 1987년 2월 내성고등학교, 1992년 2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1993년 10월 제35회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1996년 2월 사법연수원제25기로 수료하였다. 1996년 4월 27일부터 1999년 4월 26일까지 부산지방검찰청부산고등검찰청에서 공익법무관으로 대체복무하였다. 1999년 2월 부산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법 전공으로 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9년 4월부터 2001년 2월까지 서울남부지방검찰청 검사, 2001년 2월부터 2003년 2월까지 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청 검사, 2003년 2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부산지방검찰청 검사로 재직한 뒤 퇴임하였다.

2004년 12월부터 2006년 8월까지 부산지방소속변호사회 소속 변호사로 활동했고, 2006년 8월 부산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2006년 9월 부산대학교 법과대학 행정법 전공 부교수부임하였고, 2009년 3월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전임교수가 되었다.

이명박 정부에서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상임위원, 국회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보수 후보로 부산광역시교육감 선거에 출마했으나 진보 성향의 김석준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2.1. 국민권익위 부위원장

윤석열 정부에서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겸 중앙행정심판위원회 위원장,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겸 사무처장을 지냈다.

2023년 4월 25일 네덜란드 내무왕국관계부 방문단과 접견해 한국의 국민생각함 개발 및 운영 노하우를 공유했으며# 같은 해 11월 1일 한국전력공사에서 '공직자의 반부패 의무와 법치주의 확립'을 주제로 특강을 했고# 12월 7일 2023년 하반기 공공재정 환수제도 이행실태 점검결과를 브리핑했다.

2024년 2월 1일 몽골 국회의원 등 방한단과 면담을 가졌다.# 3월 4일 유시춘 EBS 이사장에 대한 청탁금지법 등 위반 의혹 사건 처리 결과를 발표했다. 4월 17일과 25일에는 각각 '공직자 행동강령 전문가 및 관계기관 회의', '신고자 보호보상·공공재정·비위 면직자 취업제한 법령 설명회'에 참석했다.##

2024년 8월 13일 권익위 부패방지국장 대리의 사망으로 인해 부위원장 직에서 사의를 표했으나, 즉각 사의가 아닌 '순직 절차'가 완료될 때라는 조건을 걸었다. 통상 공무원의 순직 절차가 까다로워 6개월 가량[5]은 걸린다는 점을 고려하면, 당장은 나가지 않겠다는 말을 한 셈.

국정감사를 앞둔 9월 19일에 사표를 제출하여 '국감 회피용 꼼수'라는 비판을 받았으나 윤석열 대통령이 예상과 달리 사표를 수리하지 않아 10월 8일과 25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하게 되었다.#

2.2. 2025년 재보궐선거

2025년 2월 17일 2025년 4월 재보궐선거에서 열리게될 부산광역시교육감 재선거 출마 선언을 했다. 이후 3월 9일 '부산시 중도·보수 교육감 단일화 통합추진위원회'(통추위)의 단일후보로 선출되었다.

정승윤 후보는 국어영어 문해력 진단시스템 도입과 청소년 1만명 스타트업 인재 육성, 행정 업무 전담 교사제 신설, 등하교 알림 시스템 전면 시행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그러나 김석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3. 비판 및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승윤/비판 및 논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승윤/비판 및 논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승윤/비판 및 논란#|]][[정승윤/비판 및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선거 이력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align=center><rowbgcolor=#003764><tablebgcolor=#fff,#1c1d1f>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성향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14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광역시교육감 [[보수주의|
보수
]]
95,326 (6.07%) 낙선 (4위)
2025 재보궐선거
(교육감)
261,856 (40.19%) 낙선 (2위) [6]
역대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정승윤 6회 지선.jpg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6회 지선 (부산광역시교육감) 2025년 재보궐 (부산광역시교육감) }}}}}}}}}
역대 후보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파일:부산광역시교육청 휘장.svg 2025년 재보궐선거 부산광역시교육감 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5ba6,#ffc224> 기호 성향 이름 비고
진보 김석준 당선
보수 정승윤
최윤홍
2007 · 5678재보궐 }}}}}}}}}}}}

[1] 행정법 전공[2] 석사 학위 논문: 입법부작위에 대한 국가배상책임(1999. 2)[3] 소집해제[4] 병무청 공직자등의 병역사항열람 참조.[5] 이 마저도 서이초와 같은 특수한 경우이지, 순직 인정 비율이 50%가 되지 않고, 이로 인한 행정소송 절차까지 포함한다면 기간은 훨씬 길어진다.[6] 전임자 하윤수 당선무효로 인한 교육감직 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