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5 17:04:26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정(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문화3. 분석4. 비판
4.1. 시스템의 부재4.2. 뇌물의 위험
5. 타 문화와 비교6. 영어 유사 표현7. 그 밖의 용법8. 기타

1. 개요



큰 틀에서 사랑의 한 종류라고 볼 수 있으며, 애정, 연민, 동정, 애착, 유대 같은 감정들이 포함되는 정서적/심리적 유대라고 할 수 있다.

이타성이 동반되며, 대가를 기대하지 않는 이타적인 기부(물질적이든 심리적이든)라 설명하기도 한다.

2. 문화

과 함께 한국 국민성을 대표하는 키워드로 자주 꼽힌다. 다정하다, 정이 들다, 정 떨어지다, 미운 정, 고운 정, 정 없다 등 일상생활에서도 많이 쓰이고 사람의 성격을 뜻하는 단어로도 많이 쓰인다.

'정'은 적절한 수준이면 이타성이 되지만, 과하면 오지랖이 되거나 부정부패와 연결되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한반도의 농촌사회를 보면 품앗이, 두레 등도 정의 일종이다. 오늘날에도 남아있는 학연, 지연, 서비스[1] 등 역시 정의 일종이다.

보통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 감정이지만, 사물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아끼는 물건에 가지는 애착이나, 그러한 물건을 어떠한 이유로 인해 잃게 되었을 때[2] 느끼는 안타까움이나 슬픔과 같은 감정도 '정'의 범주에 들어간다. 가령, 오랫동안 애지중지하며 잘 타고 다니던 자동차를 폐차한 뒤 느끼게 되는 아쉬움이나 공허한 마음이 바로 차에 정이 많이 들었기 때문인 것이다.

3. 분석

심리학적으로 정은, 그 사람에 대한 감정이 아닌 그 사람과 자신에 대한 관계에 대해 갖는 애착같은 것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A는 B와 10년을 투닥이며 지내왔는데, B가 사라지는 것에 대해 쓸쓸함이나 싫은 반응 같은 것을 느낄때 사람들은 A가 B에게 미운 정이 들었다고 표현한다. 허나 이것은 B가 아닌 A가 B에 대한, 그러니까 투닥이는 상대라는 관계에 대한 애착이지, B라는 인간 자체에게 애착을 갖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물론 이 둘을 구별하여 생각하는 것이 어렵다. 쉽게 생각해 자기의 편견과 관련 없이 그 사람이 어떤 모습을 보여주든지간에 받아주고 이해할 수 있을지 떠올려 보면 된다. 자기 안에서 그 사람에 대한 이미지가 깨졌다고 실망하면 그 정은 자신의 편견이나 환상이 만들어 낸 것에 불과하다. 정말 참된 정을 갖고 좋은 인간 관계를 맺고 싶다면 있는 그대로의 상대를 인정하고 배려하는 것이 좋다.

4. 비판

4.1. 시스템의 부재

나쁘게 보자면 정해진 체계가 없이 사사로운 감정에 따라 일을 처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가령 식당에서 단골에게 정으로 반찬을 푸짐하게 퍼 주는 아줌마를 생각해 보자. 이 말은 반대로 생각해보면 그 식당에 처음 온 낯선 손님은 같은 돈을 내고도 더 적은 양의 반찬을 먹고 있다는 뜻이 되는 것이다.

이처럼 정에 의존하는 사회란 인맥의 도움을 받는 이들에게 있어서는 더할 나위 없이 좋지만, 이러한 '혜택'을 받지 못하는 이들은 간접적으로 '차별'을 받게 되는 것이나 다를 바가 없다.

그렇지 않고 모든 사람들에게 많은 양을 주는 식당은 재료 수급이나 매출 절감 등을 통해 가성비를 개량한 것이다. 이 역시 손님에게 정이 있어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적지는 않으나 이러한 것은 정이라고 잘 부르지 않는다.

4.2. 뇌물의 위험

공과 사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다는 것도 문제이다. 공직자가 사적으로 부탁을 받으면 정이 많은 게 아니라 뇌물, 청탁일 뿐이다. 실제로 뇌물을 '정'이라고 은어로 부르던 시절도 있었다. '정'이라는 개념의 일종의 변질.

5. 타 문화와 비교

6. 영어 유사 표현

영어에서 '정'과 유사한 표현으로 다음의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정'은 한국어로도 말로 명확히 정의하기에 굉장히 어려운 개념이며 영어로 번역하는 것도 부분적인 번역일 뿐이다. 그 안에 담긴 특유의 한국적 정서를 전달하는 건 힘들다.

7. 그 밖의 용법

주자학에서 이야기되는 사단칠정, 심통성정 등에서의 정은 꾸준하게 형성되는 성격과 별개로 상황에 따라서 느껴지는 감정을 뜻한다.

판결문, 특히 형사 판결문에서 '그 정을 알면서~'라는 말이 자주 보이는데 여기서의 '정'은 사정이라고 바꿔 읽으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8. 기타

오리온그룹 초코파이가 언젠가부터 제품 이름에 이 말을 넣어서 '초코파이 情'이라는 이름으로 팔고 있다.

일본어에 쓰일 경우에는 '인연'이라고 번역되기도 한다.

심수봉의 그 때 그 사람에 따르면 사랑보다 더 슬픈 것이다.


[1] 서비스가 영어이기는 하지만 서구권에서의 '서비스'는 말 그대로 용역을 제공한다는 의미로만 사용되지, 식당 등에서 흔히 사용되는 '고객이 요청한 것보다 많은 양 혹은 고객이 따로 요청하지 않았던 물품을 호의에 의해 추가요금 없이 제공하거나, 정가보다 값을 깎아 준다'는 의미의 서비스는 영어권에는 없는 문화이다. 예시를 들어 보자면, 중국음식점에서 짜장면 보통을 시켰는데 곱빼기만큼 많이 주거나, 짜장면만 시켰는데 군만두를 무상으로 제공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2] 부득이한 사유로 매각 또는 폐기하게 된 경우, 노후화가 심해 폐기하게 된 경우, 의도치 않은 사고로 인해 멸실하게 된 경우 등이 있을 것이다.[3] 미국 등 한국에서 '외국' 하면 가장 보편적으로 떠올리는 영미권의 기원이 북서유럽 개신교권 국가인 영국이기 때문이다.[4] 이는 그만큼 북서유럽에서 기원한 영어권 사고방식으로 한국식 정이 일상적이지 않음을 한편으로 증명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