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11:16:18

전장의 크리스마스

전크에서 넘어옴
전장의 크리스마스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키네마준보.pn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18년 키네마 준보 12월 하순 특별호에 선정된 1980년대 일본 영화 베스트 순위.
1위 가족게임
<colbgcolor=#a0522d> 2위 지고이네르바이젠
3위 천황의 군대는 진군한다
4위 전장의 크리스마스
5위 그 남자 흉폭하다
6위 태풍 클럽
7위 전학생
8위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9위 패주겠어
10위 이웃집 토토로
출처
같이 보기: 올타임,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 ||


전장의 크리스마스 (1983)
Merry Christmas Mr. Lawrence

파일:1000014280.jpg
장르
드라마, 전쟁, 퀴어
감독
오시마 나기사
원작
로랜스 판 데르 포스트 - 소설 《The Seed and the Sower》
각본
오시마 나기사
폴 메이어스버그
제작
테리 글린우드
하라 마사토
조이스 헐리히
제프리 네더코트
오시마 에이코
래리 파
제레미 토마스
출연
데이비드 보위
톰 콘티
사카모토 류이치
기타노 타케시
잭 톰슨
촬영
나루시마 토이치로
음악
사카모토 류이치
제작사
네셔널 필름 트러스티 컴퍼니
안타레스-노바
오시마 프로덕션
테레비 아사히
브로드뱅크 투자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엣나인필름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쇼치쿠
파일:영국 국기.svg 팰러스 픽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엣나인필름
공동제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디어캐슬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1983년 5월 28일
파일:영국 국기.svg 1983년 8월 2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11월 20일[1]
상영 시간
123분 (2시간 3분 2초)
월드 박스오피스
$2,306,560 (최종)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예고편3. 등장인물4. 내용5. 음악6. 제작7. 여담

[clearfix]

1. 개요

오시마 나기사의 1983년 영화.

일본,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합작 영화로, 테레비 아사히가 제작한 첫 영화이다.

국내에는 번역된 책이 없지만 아프리카너인 로렌스 판 데르 포스트(Laurens van der Post)의 장편소설 《씨앗과 파종자(The Seed and the Sower)》를 원작으로 한 영화이다. 작가의 2차 세계대전 참전 중 자바섬(바타비아) 일본군 캠프에서의 포로 생활 이야기를 담았다. 문제는 이 작가의 사후에 허언증 의혹이 제기된데다 14살 소녀랑 관계를 맺어서 아기를 낳았다(...)는 사실[2]이 만천하에 밝혀져 발칵 뒤집혀진 적이 있다. 현지에서는 이제 소아 강간마로 기억되는 인물.

1983년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었다. 오시마 나기사의 명성과 데이비드 보위 주연으로 일본 영화계에 화제가 되어 칸 영화제 수상 기대가 컸으나 무관에 그쳤다. 정작 별 기대도 안한 나라야마 부시코가 황금종려상을 받았다.

2. 예고편

개봉 당시 예고편
국내 티저 예고편
국내 메인 예고편

3.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4. 내용

영화는 1983년 개봉 당시 국내에서 개봉하지 못했다. 1998년 일본 문화 개방 이전에 개봉한 영화이기도 하고, 일본 문화 개방 이후에도 다국적 영화일지언정 제작 과정에서 일본이 상당한 비중을 할애했는데다 태평양 전쟁을 다뤘기 때문이다.[11] 오랜 시간이 지나 2024년 11월 20일에 개봉했다.

태평양 전쟁을 배경으로, 군인으로서 국가에 대한 충성의 관념이 서로 다른 일본 군인과 영국 군인의 대비가 이 영화의 주요 소재다. 잭 셀리어스는 영국 군인으로, 일본군을 상대로 게릴라전을 벌이다 사로잡힌다. 그는 어떻게는 전쟁이 끝나면 집으로 돌아가겠다는 열망이 있어 포로수용소에서 탈출하기 위한 돌발행동으로 일본군 장교들에게 찍힌다. 존 로렌스는 일본군과 영국, 네덜란드 포로들을 이어주는 역할을 할 뿐, 정작 갈등 관계에서는 꽤나 떨어져 관찰자의 역할을 한다.

한국에서는 조금 껄끄러울 수 있는 내용이 있다. 조선인에 대해 당시 한국에서 용인하기 어려운 내용[12]이 있는데, 네덜란드군 포로 더용을 성폭행한 조선인 군속 가네모토(金本, )가 병사의 총검을 빼앗아 할복하는 장면이 있다. 이 부분이 조선인을 비하하려는 의도로 보일 수 있겠지만, 애초에 일본이 만든 영화의 독자적인 내용이 아니라 아프리카너 작가의 원작 <씨앗과 파종자(The Seed and the Sower)>에서부터 설정한 전개이다. 영화의 문맥에 맞게 객관적으로 바라본다면 비하라고 볼 수 없다. 가네모토가 할복할 때 더용도 혀를 깨물고 자살했다는 것은 이 둘이 감정적으로 교류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가네모토와 드용의 최후는 요노이와 로렌스의 운명을 암시하는 복선이기도 하다.

작가는 이 복선이 너무 작위적으로 보여질까봐 일본군 간수와 연합군 포로의 을 주인공들의 국적과 다르게 설정한 걸로 보여진다. 이 영화에서 가장 유명한 장면은 요노이와 셀리어스가 키스하는 장면으로, 실제 장면에서는 요노이가 포로를 처단하려다 셀리어스가 이를 막기 위해 요노이를 포옹하고 키스하는 돌출행동[13]이긴 하지만, 역시 둘의 감정적인 교류를 암시하는 장면이다. 비하 논란은 당시 한국에서의 동성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 때문에 오해받은 면이 크다. 결국 이 영화는 마치 제1차 세계 대전크리스마스 휴전을 은유하는 제목처럼, 태평양 전쟁에서도 감정적인 이해와 화해가 있을 수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게다가 오시마 나기사는 알아주는 극렬 좌파다. 이 영화 이전에는 '이윤복의 일기'를 가지고 어려웠던 한국의 상황을 들여다보며 반성하는 영화라든가, 재일 조선인 차별에 비판하는 영화도 찍었다. 이 영화도 객관적인 시각에서 보면 일본군의 포로에 대한 학대와 동성애에 대한 탄압 등을 고발하는 영화로 볼 수 있다. 일본 영화임에도 포로들을 폭행하고 자신들의 명령을 거역하는 포로를 죽이려는 등 일본군의 막장성을 드러내는 장면이 여러 번 나온다. 셀리어스를 놓친 죄를 묻는다든지 하는 장면 등에서는 할복을 강요하는 장면도 나온다.

5. 음악

가장 유명한 OST는 메인이자 영화 제목과도 같은 Merry Christmas Mr. Lawrence. 영화가 시작하자마자 오프닝 크레딧과 함께 나온다. 한국에서는 2024년 정식 개봉 이전까지는 어둠의 경로를 통해 구태여 찾아서 봐야 볼 수 있는 고전 영화였음에도, 제법 여러 군데에 많이 쓰여 익숙한 사람들이 많다. 2019년, 피치포크 선정 최고의 영화 음악 순위에 31위로 선정됐다. #

사카모토 류이치의 경우 이 영화를 통해 종합 아티스트로 발돋움을 하게 됐다. 이때만 해도 영화음악 제작에 대해 잘 모르고 시작한 것이었는데 경험을 살려 영화 마지막 황제아카데미상 음악상까지 수상했다.[14]

6. 제작

오시마는 이 영화의 캐스팅 문제로 적잖이 애를 먹었다. 제국주의에 반감을 가진 오시마는 처음부터 제국주의를 찬양하는 영화 '연합함대'와 '대일본제국'에 출연한 배우는 절대 안쓰겠다고 선을 그었는데, 줄어든 후보군 중에서 주연을 물색하다 보니 주연 4인방 중에 톰 콘티를 제외하고 무려 3명이 연기 초짜였다.

기타노 다케시의 회고에 따르면, 처음 오시마로부터 영화 출연 제의를 받았을 때 사카모토 류이치와 함께 감독을 찾아가서는 "어차피 나는 개그로, 사카모토는 음악으로도 충분히 먹고 살 수 있다. 우리는 영화 출연 같은 건 하고 싶지도 않다. 그래도 정 우리를 쓰고 싶다면 우리는 배우가 아니라 개나 고양이다 생각해 주시고 화를 내지도 말아 주시기 바란다. 화를 내면 우리는 바로 그만두겠다."고 엄포를 놨다. 그런 뒤 촬영하는데 현장에서 스타트 소리가 이미 났는데도 아무렇지도 않게 스태프들을 돌아보면서 "대사가 뭐였지?"하고 물어보는 등 촬영 내내 제대로 속을 긁었다. 오시마는 미리 약속한 게 있어 차마 화도 못 내고 괜히 주위 스태프들에게 막 화풀이를 해댔다는데, 기타노는 “생각해 보면 참 미안한 짓을 했다”고 술회했다.[15] 대신 조감독과 휘하 스태프들이 기타노와 사카모토를 어마어마하게 갈궜다나.

그리고 기타노와 사카모토 모두 시사회에서 자기들의 미숙한 연기를 보고 너무 부끄러워 한동안 시사회장 내에서 얼굴을 못 들었다고(...) 오시마 나기사는 일본 내에서도 엄청나게 무서운 감독 중 하나로 소문이 자자했는데 의외로 기타노 다케시에 대해 그렇게 기분 나쁘게 생각하지는 않았는지 시사회에서 "다케시도 괜찮지 않나요?"라고 칭찬하거나, 후에 테레아사에서 출연진들을 출연시킨 특집 프로그램에도 같이 나왔다. 또한 유작 고하토에도 기타노 다케시를 다시 캐스팅했다. 배우도 부담스러워 했던 기타노 다케시가 훗날 HANA-BI기쿠지로의 여름 등에서 연기와 감독을 병행하며 세계적인 명감독 반열에 오른 걸 생각하면...

7. 여담

의외로 크리스토퍼 놀란이 좋아하는 영화이다. # 그래서인지 훗날 놀란의 영화 프레스티지엔 데이비드 보위가, 다크 나이트 라이즈오펜하이머에는 톰 콘티가 출연했다.
순위 제목 감독
1 우리들의 사랑 모리스 피알라
로베르 브레송
3 전장의 크리스마스 오시마 나기사
잔혹한 게임 장 클로드 브리소
5 코미디의 왕 마틴 스코세이지
해변의 폴린 에릭 로메르
7 비밀의 아이 필립 가렐
속임수 알랭 베르갈라, 장 피에르 리모쟁
항해사의 세 왕관 라울 루이즈
10 크래킹 업 제리 루이스
화니와 알렉산더 잉마르 베리만


[1] 2023년 12월 23일부터 25일까지 아트나인에서 선개봉했다.[2] 지인 부부가 항해 때문에 대신 간병해달라고 맡긴 아이인데다 출산한 후 관계를 일절 부정한 걸로 밝혀져 (그나마 양육비는 보냈다고 한다.) 이미지는 나락으로 떨어졌다. 문제의 사생아인 카리 모스터트가 공개적으로 언론에 직접 등판해서 폭로를 인증해서 더는 빼도 박도 못한다.[3] 중국인 포로를 심문하는 과정에서 라디오 반입 진범이 드러나자 하라가 독단적으로 로렌스와 셀리어스를 독방에서 풀어줬다.[4] 특히 로렌스는 몇번씩 왜 그리 셀리어스를 신경쓰냐고 요노이에게 물어본다. 셀리어스가 로렌스와 탈출하려다 요노이에게 걸리는데 요노이가 달려드는 군인들을 막아서자 "요노이가 셀리어스 네게 빠진 것 같은데?"라는 대사로 확인사살.[5] 기타노 타케시의 영화 데뷔작이다.[6] 이 부분은 마지막 장면과 영화 제목을 관통하는 복선.[7] 로렌스와 입장이 완전히 바뀌어 죽기 전날 밤인데 4년 전 술에 취했을 때의, 그 웃던 표정을 지어보인다.[8] 그럴 때마다 둘 사이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속만 태우는 로렌스의 표정이 진국이다...[9] 야자와 에이키치와 캐롤로 같이 활동했던 한국계 일본인 기타리스트, 배우로 본명은 박운환이다. 2014년에 폐암으로 사망했다.[10] 파워레인저 다이노차지에서 제노윙의 목소리를 담당했다. 2019년에 암으로 사망했다.[11] 물론 그 당시에도 한국 영화 잡지에서 소개하고 알음알음 삐짜판 불법복제 비디오로 돌려본 경우가 있었다.[12] 세칭 'B~C급 조선인 전범' 등으로 칭해지는 식민지 출신 육군 군속으로, 여기서 가네모토는 징집에 의해 강제로 끌려온 포로감시원으로 추청된다. 중간중간에 포로수용소에서 차트를 들고 팔에 붉은 별 완장을 찬 사람이 있는데, 이들도 조선인 포로감시원으로 인도네시아에서 '빈탄 부사르', 붉은 별이라 불렸다고 한다.[13] 화면이 미묘하게 흔들리는데 의도적인 연출이 아닌 촬영장비의 고장으로 생긴 현상이다. 하지만 재촬영 후 비교해보니 화면이 미묘하게 흔들리는 것이 좀 더 정확한 심리묘사의 대변이라고 생각한 오시마가 첫 촬영분을 채택했다. 이후 오시마는 '기적'이라고 주변인들에게 말했다고.[14] 마지막 황제도 전장의 크리스마스처럼 여러 나라가 합작한 영화이다. 사카모토가 배우로서도 출연했다.[15] 출처 기타노 다케시의 생각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