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15:42:50

태풍 클럽

'태풍 클럽'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역대 도쿄 국제 영화제
파일:도쿄국제영화제2.png
도쿄 그랑프리
제1회
(1985년)
제2회
(1987년)
태풍 클럽 노정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키네마준보.pn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09년 키네마 준보 창간 90주년 기념으로 선정된 올타임 일본 영화 베스트 순위.
1위 동경이야기
<colbgcolor=#a0522d> 2위 7인의 사무라이
3위 부운
4위 막말태양전
5위 의리없는 전쟁
6위 24개의 눈동자
7위 라쇼몽
백만냥의 항아리
태양을 훔친 사나이
10위 가족게임
들개
태풍 클럽
출처
같이 보기: 올타임,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키네마준보.pn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18년 키네마 준보 12월 하순 특별호에 선정된 1980년대 일본 영화 베스트 순위.
1위 가족게임
<colbgcolor=#a0522d> 2위 지고이네르바이젠
3위 천황의 군대는 진군한다
4위 전장의 크리스마스
5위 그 남자 흉폭하다
6위 태풍 클럽
7위 전학생
8위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9위 패주겠어
10위 이웃집 토토로
출처
같이 보기: 올타임,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 ||

}}}||
태풍 클럽 (1985)
台風クラブ
파일:태풍 클럽 국내 메인 포스터.jpg
<colbgcolor=#F3EBD6><colcolor=#4486D0> 장르 드라마, 학원물
감독 소마이 신지
각본 카토 유지
제작 미야사카 스스무
출연 미카미 유이치, 쿠도 유키, 미우라 토모카즈
촬영 이토 아키히로
편집 토미타 이사오
미술 이케야 노리요시
음악 사에구사 시게아키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 디렉터스 컴퍼니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M 인터내셔널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아트 시어터 길드, 도호
파일:일본 국기.svg A PEOPLE CINEMA (4K 복원판 재개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M 인터내셔널
개봉일 파일:도쿄국제영화제2.png 1985년 6월
파일:일본 국기.svg 1985년 8월 31일
파일:미국 국기.svg 1986년 12월 12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3년 9월 23일 (4K 복원판 재개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6월 26일
화면비 1.85 : 1
상영 시간 115분 (1시간 54분 47초)
제작비 ○○엔
월드 박스오피스 ○○
일본 박스오피스 ○○엔
대한민국 총 관객 수 ○○명
상영 등급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영륜 PG12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1]

1. 개요2. 포스터3. 예고편4. 시놉시스5. 등장인물6. 줄거리
6.1. 목요일6.2. 금요일6.3. 토요일6.4. 월요일
7. 삽입곡8. 평가
8.1. 평론가 평8.2. 단평
9. 흥행10. 수상 및 후보 이력11. 기타

[clearfix]

1. 개요

소마이 신지 감독의 1985년작 일본 학원 영화.

제1회 도쿄 국제 영화제 영 시네마 컴퍼티션 부문[2] 도쿄 그랑프리 수상작으로, 어느 마을의 중학교를 배경으로 태풍이 가까워옴에 따라 학교에 발이 묶이면서 점차 어둡게 변해가는 학생들의 모습을 그려냈다.

2. 포스터

파일:1985 태풍 클럽 포스터.jpg
파일:태풍 클럽 국내 티저 포스터.jpg
오리지널 포스터 국내 티저 포스터

3. 예고편

▲ 국내 30초 예고편
▲ 국내 메인 예고편
▲ 일본 오리지널 예고편
▲ 4K 복원판 예고편
▲ 북미 예고편

4. 시놉시스

한적한 마을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은 저마다의 고민을 품고 사춘기를 보내고 있다.
태풍이 다가오던 어느 날, 교실에 뜻밖의 손님이 들이닥치고, 예상치 못한 소동에 학생들은 동요한다.
비바람이 거세지던 밤, 몇몇 학생들이 우연히 학교에 남게 되는데, 고립된 사춘기 청소년들의 불안과 본능이 폭발한다.

5. 등장인물

6. 줄거리

6.1. 목요일

6.2. 금요일

6.3. 토요일

6.4. 월요일

7. 삽입곡

BARBEE BOYS - 「暗闇でDANCE」

한밤중 학교 수영장에서 춤을 추는 오프닝 장면에서 사용되었다.
BARBEE BOYS - 「翔んでみせろ」
P.J & COOL RUNNINGS - 「CHILDREN OF THE WORLD」[3]
P.J & COOL RUNNINGS - 「FEEL NO WAY」 #

8.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로튼토마토=typhoon_club, 로튼토마토_tomato=80, 로튼토마토_popcorn=,
IMDb=tt0088222, IMDb_user=7.0,
레터박스=typhoon-club, 레터박스_user=3.8,
야후재팬영화=, 야후재팬영화_user=3.3,
Filmarks=30238, Filmarks_user=3.7,
왓챠=md62VAd, 왓챠_user=3.8,
키노라이츠=68293, 키노라이츠_light=100, 키노라이츠_star=3.9,
CGV=88369, CGV_egg=,
롯데시네마=21257, 롯데시네마_user=,
메가박스=24036500, 메가박스_user=,
TMDB=108634, TMDB_user=66,
)]

세일러복과 기관총, 이사 등과 함께 소마이 신지 감독의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작품으로, 청소년들의 방황하는 심리를 자유분방하게 카메라가 움직이며 과감한 롱샷 롱테이크로 담아내는 소마이 신지 감독 특유의 스타일이 가장 잘 드러난 작품으로 평가 받는다.

종종 등장인물들이 이해가 되지 않는 돌발 행동들을 벌이거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수위 높은 장면들이 있기도 하지만[4][5] 오히려 그런 면모가 청소년들의 불안하면서도 돌출적인 심리와 잘 들어맞는다는 평을 받기도 했으며, 일본의 유명 영화 잡지 키네마 준보에서는 1980년대 일본 영화 베스트 10 6위, 나아가 올타임 일본 영화 베스트 10 공동 10위로 선정할 만큼 1980년대 일본 영화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높이 평가했다.

연기 측면에서도 호평을 받았는데 주연을 맡은 쿠도 유키[6]는 데뷔작 '역분사가족'과 이 작품이 연달아 좋은 반응을 얻으며 이 작품을 통해 딱 들어맞는 연기를 선보였다는 평을 받으며 주목받는 계기가 되었고, 이후 미스테리 트레인[7], 픽처 브라이드, 게이샤의 추억 등의 해외 작품에도 출연하게 된다. 우메미야 선생 역할을 맡은 미우라 토모카즈도 이전까지는 주로 모범적인 역할 위주의 연기를 했었는데, 이 작품을 통해 이전까지와는 정 반대되는 연기를 선보여 각종 연기 상을 수상하는 등 호평을 받았다. 배우로서는 흥하지 못했지만 조역으로 나온 후치자키 유리코도 이후 소녀혁명 우테나사쿠라 대전 시리즈 등 중견 성우로 자리잡았다.

8.1. 평론가 평

다음날이면 모든 게 조용히 사라지겠지만, 그렇다 한들
- 이자연 (★★★☆)
췌장이나 먹으며 연명하는 작금의 일본영화와는 비교를 불허한다.
- 이용철 (★★★★☆)
태풍으로 세계의 치부를 발가벗겨버리는 소마이 신지의 역작.
- 오진우 (★★★★☆)
푸른 독을 품고 몸부림치는 날에.
- 박평식 (★★★☆)
오래오래 힘을 잃지 않을 시대의 저기압.
- 김철홍 (★★★★☆)

8.2. 단평

이것이 시네마다.
- 허우샤오셴 #
소마이 신지 감독은 롱테이크를 통해 등장인물들과 배우들의 몸 안에 잠들어 있던 생명력을 이끌어내었다. 태풍 클럽은 (소마이 신지 감독의 영화들 중에서도) 그런 생명력, 특히 소년소녀들의 생명력이라는 것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영화라고 생각한다. 이 작품은 정말 유일무이한 감독의 유일무이한 영화다.
- 하마구치 류스케 #
내가 본 청소년 영화들 중에서도 가장 아름답고도 감동적인 작품중 하나다. 정말 파괴적인 영화. 이런 작품에서 창작 의욕을 자극받는다.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8] #
소마이 감독은 자기자신을 아이들의 눈 높이에 맞추고, 아이들의 머릿 속으로 들어가 어른의 관점에서 그 어떤 선입견도 가진 채 접근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바로 그점이 소마이의 영화들이 무척 솔직하면서도 때로는 난폭하고 놀라운 이유이다. 왜냐하면 실제 아이들은 "영화 속에서 아이들은 이렇게 할 것이다"는 제약에 맞아 떨어지게 행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일본의 영화 감독들 중에서도 가장 개인적이고 독창적인 사람 중 한명이다.
- 크리스 후지와라[9] #

9.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미국 캐나다|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미국 캐나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미정 미개봉 미정

[[틀:국기|
파일: 국기.svg
국가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미정 미개봉 미정

9.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1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F3EBD6><colcolor=#4486D0><rowcolor=#4486D0>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24-06-26.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4-06-27. 2일차(목) -명 -위 -원
2024-06-28. 3일차(금) -명 -위 -원
2024-06-29. 4일차(토) -명 -위 -원
2024-06-30. 5일차(일) -명 -위 -원
2024-07-01. 6일차(월) -명 -위 -원
2024-07-02.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XX-XX-XX.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9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0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1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2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13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16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7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8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9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0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3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24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25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26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7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8일차(화) -명 -위 -원
}}}}}}}}}||

9.2. 북미 (미국·캐나다)

9.3. 중국

9.4. 대만

9.5. 일본

9.6. 영국

9.7. 기타 국가

10. 수상 및 후보 이력

11. 기타

[ 펼치기 · 접기 (스포일러) ]
* 태풍으로 인한 폭우로 시미즈 켄의 집 뒤편에 있는 절벽이 산사태를 일으켜, 시미즈 류조와 켄의 집이 함께 떠내려가는 장면. 1/2 사이즈의 세트를 제작하여 촬영했지만, 아이들이 살아 돌아오지 못할 것처럼 보인다는 이유로 사용되지 않았다고 한다.
  • 폭우를 맞은 타카미 리에가 코바야시의 아파트로 돌아온 후 장난감 총을 쏘며 고바야시에게 미카미 쿄이치의 이야기를 하는 장면. 쿄이치가 한 밤중의 교실에서 가만히 생각에 잠긴 장면과 컷백 편집으로 삽입되어 리에가 쿄이치를 어떻게 보고 있었는지가 밝혀지는 중요한 장면이었지만, 너무 설명적인 장면이라는 이유로 편집되었다고 한다.
  • 학교에서 뛰어내려 물속에 빠진 쿄이치를, 여자들이 쿄이치의 다리를 잡고 물속에서 빼내려고 하는 장면.



[1] 등급분류 결정내용: 주제의 이해도와 수용도를 비롯하여 두 여학생이 키스하는 장면 및 애정행위 하는 장면, 과학실의 약품을 등에 넣어 화상을 입힌 장면, 집단 폭행 장면, 발로 교실 문을 부수고 위협하는 장면, 음주와 흡연 장면, 극단적 선택을 하는 장면 등이 있으나 구체적이고 지속적으로 표현되지 않아 선정성 및 폭력성, 공포, 약물, 모방위험의 표현 수위가 다소 높으므로 15세이상관람가
(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폭력성_2021.svg파일:영등위_공포_2021.svg파일:영등위_모방위험_2021.svg)
[2] 현재는 경쟁 부문이 통합되어 있지만 초기에는 '인터내셔널 컴퍼티션'과 '영 시네마 컴퍼티션' 두 부문으로 분리되어 있었다.[3] 본 곡의 수록 앨범인 <Rising Up>가 LP판만 존재하며 현재까지도 정식으로 디지털화된 적이 없기 때문에, 유튜브 등지에서 찾을 수 있는 음원들은 전부 개인이 디지털화한 것이다. A면의 경우 수록곡 중 BEAT MAGIC REGGAE와 밑의 FEEL NO WAY만 온라인에서 찾을 수 있으며 나머지 두 곡 NATTY WALK와 MAKE MY LIFE SHINE은 로스트 미디어 상태다.[4] 소마이 신지 감독 본인이야 닛카쓰 사에서 로망 포르노를 찍은 적이 있을만큼 성적 수위에 거리낌이 없는 감독이지만 강간 시도 장면이나 학생들이 나체로 춤추는 장면 등 현재로서는 찍으면 심의에 걸릴 듯한 과격한 장면들이 제법 있다. 단, 오마치 미치코 역할을 맡은 오니시 유카가 밝히기를 태풍 속에서 나체로 춤추는 장면 같은 경우 실제로는 살색 속옷을 입고 촬영했다고 한다.#[5] 하지만, 바로 이런 장면 때문에 영화 완성 뒤에 촬영장소였던 사쿠시립 나카고미 중학교에서 재학생들 대상으로 상영하려던 계획이 취소되었다고 한다.[6] 동명의 성우와는 다른 인물이다.[7] 미국 인디 예술 영화계의 거장 짐 자머시 감독 작품이다.[8] 이 영화가 도쿄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에 상영되었을 때 심사위원 중 한명이었다.[9] 일본계 미국인 영화 평론가로, 영미권에서는 자크 투르뇌르오토 프레밍거 연구서를 써낸 것으로 유명하다.[10]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