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8 15:25:56

전유광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777사령부 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

{{{#!wiki style="margin: 0"
파일:major general_white.png
||<tablewidth=100%><width=20%>
제00대

이인태 ||<width=20%>
제00대

윤빈영 ||<width=20%>
제00대

송운수 ||<width=20%>
제00대

전유광 ||<width=20%>
제00대

김재석 ||
제00대

김현섭
제00대

양전섭
제00대

박종선
※ 초대~현재: 소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e50017>
파일:제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e50017>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제1대
김상겸
제2대
원용덕
제3대
송호성
제4대
백선엽
제5대
이응준
제6대
이형석
제7대
민기식
제8대
장창국
제9대
김종갑
제10대
최홍희
제11대
김종갑
제12대
박병권
제13대
장도영
제14대
박병권
제15대
김종갑
제16대
박정희
제17대
황엽
제18대
이용
제19대
채명신
제20대
박원근
제21대
이규학
제22대
김익권
제23대
조문환
제24대
강창성
제25대
윤성민
제26대
정병주
제27대
구득현
제28대
김복동
제29대
이범천
제30대
정호근
제31대
유재구
제32대
신우식
제33대
신말업
제34대
윤학열
제35대
김봉찬
제36대
이석복
제37대
김석재
제38대
강신육
제39대
이장흠
제40대
안병한
제41대
변상복
제42대
김갑현
제43대
박노식
제44대
전종기
제45대
권혁순
제46대
박삼득
제47대
최병로
제48대
주창환
제49대
정진경
제50대
전유광
제51대
이상철
제52대
김흥준
제53대
윤기중
}}}}}}}}}}}}}}} ||
전유광
Jeon Yookwang
파일:전유광.jpg
복무 대한민국 육군
기간 1988년 ~ 2021년
임관 육군사관학교 44기
최종 계급 소장
최종 보직 777사령관
주요 보직 777사령관
제5보병사단
합동참모본부 정보융합실장
제50보병사단 제122연대장

1. 개요2. 내용3. 여담

1. 개요

대한민국 육군군인. 최종 계급은 소장이며, 777사령부 사령관을 역임했다.

2. 내용

천안고등학교(28회)를 졸업하고 1984년 육군사관학교(44기)에 입교하여 1988년 졸업과 함께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맡은 직책을 고려하면 직능은 정보로 추정된다.

주요 역임보직으로는 제50보병사단 제122연대장(대령),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정보융합실장(준장)이 있다.

2017년 9월 소장으로 진급하여 제5보병사단장으로 취임했고 2019년 5월 사단장 이임후 777사령부 사령관으로 영전했다. 2020년 5월 777사령관직을 김재석소장에게 이임했다.

3. 여담

남북 분단 이후 2018년, 사상 처음으로 MDL(철원 DMZ 화살머리고지)서 북측 지휘관과 악수와 대화를 통해 공동 유해발굴을 위한 남북도로 연결에 주된 역할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