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23:33:49

전국연합학력평가/국어 영역/출제된 독서 소재/2학년

1. 개요2. 2013학년도3. 2014학년도4. 2015학년도5. 2016학년도6. 2017학년도7. 2018학년도8. 2019학년도9. 2020학년도10. 2021학년도11. 2022학년도12. 2023학년도13. 2024학년도

[clearfix]

1. 개요

전국연합학력평가 2학년 시험의 역대 기출 독서 지문들의 소재 목록이다.

중요한 지문은 굵은 글씨

2. 2013학년도

3월 학력평가

공통
A형:[27~30]:네 번째 지문, B형:[25~28]: 세 번째 지문(과학) - 우주 팽창에 대한 이론의 변천사

A형B형
6월 학력평가

공통
A형B형
9월 학력평가

공통
* [25~28] 네 번째 지문(과학) - 실험으로 알아보는 웅화반 식물의 꽃잎 경사면이 40°~60°인 이유

A형
* [16~18] 첫 번째 지문(인문) - 한국 풍수 사상의 변천사
* [19~21] 두 번째 지문(기술) - 적외선 방식의 불꽃 감지기
* [22~24] 세 번째 지문(사회) - 사회적 자본 연구를 통한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 탐색
* [29~30] 다섯 번째 지문(독서론) - 감상적 독해

B형
* [17~18] 첫 번째 지문(예술) - 나전 기법
* [19~21] 두 번째 지문(인문) - 하이데거가 주장한 불안의 의미
* [22~24] 세 번째 지문(사회) - 체험코드 이론
* [29~30] 다섯 번째 지문(독서론) - 최한기 - 인정(仁政)


11월 학력평가

공통
A형:[18~21], B형:[17~20]: 첫 번째 지문(사회) - 프리드만의 항상소득이론과 모딜리아니의 생애주기이론

A형
B형

3. 2014학년도

3월 학력평가
6월 학력평가
9월 학력평가

11월 학력평가

4. 2015학년도

3월 학력평가
6월 학력평가
9월 학력평가
11월 학력평가

5. 2016학년도

3월 학력평가6월 학력평가
9월 학력평가
11월 학력평가

6. 2017학년도

3월 학력평가
* [22~25] 첫 번째 지문(기술) - 다이내믹 스피커
* [26~28] 두 번째 지문(사회) - 금융 회사 고객들의 투자 성향
* [29~34] 세 번째 지문(인문) - 논증과 그 타당성 평가
* [35~36] 네 번째 지문(예술) - 섬유 예술

6월 학력평가
9월 학력평가
11월 학력평가

7. 2018학년도

3월 학력평가
6월 학력평가
9월 학력평가
11월 학력평가

8. 2019학년도

3월 학력평가6월 학력평가
9월 학력평가
11월 학력평가

9. 2020학년도

3월 학력평가
6월 학력평가9월 학력평가
11월 학력평가

10. 2021학년도

3월 학력평가
6월 학력평가
9월 학력평가
11월 학력평가

11. 2022학년도

3월 학력평가6월 학력평가의 심리학 이론
9월 학력평가
11월 학력평가

12. 2023학년도

3월 학력평가
6월 학력평가9월 학력평가
11월 학력평가

13. 2024학년도

3월 학력평가
6월 학력평가
9월 학력평가
10월 학력평가[6]
[중복] 1학년 2014학년도 9월 인문 지문과 제재 중복.[중복2] 1학년 2019학년도 3월 사회 지문과 제재 중복[중복3] 3학년 2017학년도 10월 인문+예술 융합 지문과 제재 중복.[4] 이 시험의 1컷을 79점으로 끌어내린 원흉이다.[5] 20.4%, 21.9%, 27.2%, 30%, 36.9%라는 충격적인 정답률과 학생들에게 시간 소모를 강요하여 시험지의 1컷을 77점까지 떨어뜨린 원흉이다.[6] 첫 고2 10월 학력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