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3 03:36:56

장미(담배)

🚬 담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디스 · 메비우스 · 던힐 · 말보로 · 카멜 · 레종 · 보헴 시가 · 에쎄 · 타임 · 다비도프 · 클라우드 나인 · 한라산 · 라일락 · 켄트 · 팔리아멘트 · 장미 · 아리랑 · 버지니아 슬림 · PEEL · KOOL · 블랙 스톤 · 럭키 스트라이크 · 더원 · 토니노 람보르기니 · · 아이코스 · 하모니 · 글로 · 세븐스타 · 블랙데빌 · 피스 · 캐스터(윈스턴)
}}}}}}}}} ||

파일:/pds/200707/20/86/a0010886_0207195.jpg

마지막 리뉴얼 디자인

1982년 9월부터 2011년 5월까지 KT&G가 생산한 국산담배. 슬림 사이즈 둘레에(일반적인 킹사이즈보다는 좀 가늘지만 에쎄같은 슈퍼슬림 담배보다는 좀 굵은 중간 둘레 사이즈. 라일락 담배나 심플 담배와 같은 굵기) 120mm 길이라는 매우 특이한 사이즈를 지녔으며 현재까지 생산된 담배 중에서 가장 길다. 때문에 편의점 담배 진열대에 유독 이 담배만 크기가 안 맞아서 억지로 집어넣어야 했다. 디자인과 이름에 걸맞잖게도 타르 9.0mg, 니코틴 1.0mg으로[1] 상당히 독하면서 오래 피우니 타르 니코틴 섭취량이 거의 일반담배 두 대를 연달아서 피운 정도였다. 개발당시 미국담배 모어(More)[2]벤치마킹했던 것으로 알려져있다.

원래는 장미라는 이름에서 오는 이미지와 가늘고 긴 외향 때문에 여성들이 선호하는 담배였으나 조훈현 9단이 이 담배를 피우며 대국하는 모습이 중계되면서[3] 오히려 남성 층이 더 선호하는 담배가 되었다고 한다.[4] 이외에도 마광수 교수, 전두환[5] 등도 이 담배를 선호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매품으로 목련이라는 담배도 있었다. 크기는 장미와 같으나 파란색 담배갑에 목련꽃이 그려져 있었다. 여담으로 초창기에는 담배중에서 아주 고가였다. 양담배가 많이 들어오고 여타 담배들 값이 오르면서 싼 담배가 되었다.


[1] 출시 당시에는 현재 발매중인 팔리아멘트 아쿠아5, 말보로 골드, 디스 플러스 등과 비슷한 타르 5.0~6.0mg, 니코틴 0.5mg였으나 관련기사, 이후 타르 9.0mg, 니코틴 1.0mg로 상향조정 되었다가, 후기에는 타르 7.0mg, 니코틴 0.7mg로 다시 낮췄다.[2] 양담배 수입 초기부터 90년대 후반까지 국내시장에 출시되기도 했으며 길쭉한 빨간갑에 담배색깔이 진한 갈색이었던게 인상적이었다. 그리고 상당히 독했다.[3] 당시 하루에 4~5갑을 피웠다고 한다. 조국수가 장미를 피우는 것도 독하면서 오래 피울 수 있어서라고. 하지만 제자인 이창호에게 패배하면서 타이틀을 하나도 가져오지 못하는 상황에 몰리자 당시 관행대로 제자에게 물려주고 은퇴하는 대신 제자를 이기기 위해 다시 체력관리를 시작했고, 이 때 금연에도 성공했다고 한다. 조훈현이 장미가 단종되려 하자 집에 1만보루를 사서 쌓아뒀다고 하는데 믿거나 말거나...평생 다 못피우는 양인건 그렇다 쳐도, 미개봉품이더라도 오래된 담배는 피울게 못 된다.[4] 페이퍼 2011년 9월호에 이와 관련해서 좀 더 자세한 정황이 실려있다.[5]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