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루이 가세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 둘러보기 틀 모음 | |||
대표팀 | ||||
36대 | 43대 | 96대 |
프랑스의 축구 감독 | ||
| ||
<colbgcolor=#eeeeee><colcolor=#000000> 이름 | 장루이 가세 Jean-Louis Gasset | |
출생 | 1953년 12월 9일 ([age(1953-12-09)]세) | |
프랑스 옥시타니지방 에로 주 몽펠리에 | ||
국적 |
| |
신체 | 키 176cm | |
직업 | 축구 선수 (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 |
소속 | <colbgcolor=#eeeeee><colcolor=#000000> 선수 | 몽펠리에 HSC (1975~1985) |
감독 | 몽펠리에 HSC (1985~1998 / 수석 코치) 몽펠리에 HSC (1998~1999) SM 캉 (2000~2001) 파리 생제르맹 FC (2001~2003 / 수석 코치) RCD 에스파뇰 (2003~2004 / 수석 코치) FC 이스트르 (2005~2006) FC 지롱댕 드 보르도 (2007~2010 / 수석 코치) 프랑스 대표팀 (2010~2012 / 수석 코치) 파리 생제르맹 (2013~2016 / 수석 코치) 몽펠리에 HSC (2017) AS 생테티엔 (2017 / 수석 코치) AS 생테티엔 (2017~2019) FC 지롱댕 드 보르도 (2020~2021) 코트디부아르 대표팀 (2022~2024)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2024) 몽펠리에 HSC (2024~2025)[1] | |
국가대표 | 없음 |
1. 개요
프랑스의 축구 선수 출신 감독.2. 선수 경력
몽펠리에 HSC 의 원클럽맨이다. 1군에서 리그 230경기를 소화했으며 팀의 프렌차이즈 스타로 활약했으나 부상으로 31세에 은퇴하고 지도자의 길을 걷고 있다.3. 지도자 경력
3.1. 2016년 이전
은퇴직후부터 1997-98시즌까지 13년간 수석코치를 맡았다가 1998-99 시즌 총감독으로 부임하여 리그 8위의 성적을 냈으나 1999년 11월에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었다. 그리고 몽펠리에는 동 시즌 2부로 강등되었다가 01-02 시즌에 다시 승격하게 된다.이후 2부 리그에 있는 SM 캉 감독으로 부임했으나 00-01 시즌 리그성적 17위로 팀을 떠나고 루이스 페르난데스 사단으로 들어가서 파리 생제르맹과 RCD 에스파뇰 구단의 수석코치로 일했다.
2005년 초 리그 두 팀인 FC 이스트르에 중도 부임해 팀의 역사상 첫 리그 앙 승격을 달성했으나 이후 승격 후 첫 시즌인 2005-06 시즌 최하위를 면치 못하고 팀의 강등을 막지 못했다. 하지만 다음 시즌에도 유임되었는데 2006-07 시즌 초 부진하면서 결국 2006년 9월 감독직에서 사임했다. 2007년에는 몽펠리에의 레전드 로랑 블랑 감독의 부름을 받아 2016년까지 블랑의 수석코치로 일했다.
3.2. 몽펠리에 HSC
2017년 1월 , 몽펠리에 HSC 감독으로 부임했으나 5월에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었다. 16-17 시즌 몽펠리에는 15위를 기록했다.3.3. AS 생테티엔
오스카르 가르시아 감독을 따라 AS 생테티엔 수석코치가 되었다. 오스카르 감독이 경질되고서도 남아 있다가 12월 총감독으로 선임되었다. 18-19시즌에는 생테티엔을 리그 4위까지 올려놓았고 2018-19시즌 도중 리그앙의 65세 연령 제한에 걸려 은퇴를 선언하고 퇴임하였다.[2] 때문에 임시 감독직은 수석코치가 이어받았으며 18-19시즌 생테티엔의 리그 성적은 4위를 기록했다.3.4. FC 지롱댕 드 보르도
2020년 8월 지롱댕 보르도의 파울루 소자 감독이 사임하면서 보르도의 새 감독으로 취임했다.#2020년 여름 이적시장에서 국대 감독 시절 기용했던 아템 벤 아르파를 영입하여 중용하고 있다.
그리고 황의조, 야신 아들리, 아템 벤 아르파, 오타비우, 레미 우당 등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기존에 잘했던 베테랑 로랑 코시엘니와 브누아 코스틸의 활약으로 전반기에 중위권에 안착했으나 후반기에는 전반기보다 부진했다.
그 이유로는 기본적으로 빡센 리그앙에서 피지컬이 상대적으로 열세인 황의조를 원톱으로 너무 크로스만 올리는거 아니냐는 의견이 있다. 하지만 이거야 최근 투톱으로 바꾸고 좀 나아져서 괜찮다는 말이 있으나 가장 큰 문제는 황당한 용병술이다. 실제로 최근 경기를 보면 가세 감독의 용병술이 먹힌적이 한번도 없으며 경기를 역전하거나 한 적이 거의 없다. 특히 골을 넣고 자신감 올랐을 시간대에 황의조를 빼고 다른 선수를 투입하다가 2골을 먹혀서 역전당하는 등 용병술에 대한 지적이 상당히 많다.
29R에서 34R까지 5연패를 하고 순위는 리그 17위까지 떨어졌으나 35R 스타드 렌과의 경기에서 세쿠 마라, 메흐디 제르칸, 톰 라쿠 등 젊은 선수들을 선발로 내보내 1:0 승리를 거두고 리그 15위로 반등했으며 이후에도 팀을 잘 수습한 뒤 12위로 시즌을 마쳤다.
2020-21 시즌 종료 후인 2021년 7월 28일, FC 지롱댕 드 보르도와 상호 합의하에 계약을 해지했다.
보르도팬들에게 많은 욕을 먹었던 그지만 21-22 시즌 보르도가 역대급으로 부진한 경기력을 선보이며 보르도팬들은 가버지를 부르는 중이다.
3.5.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보르도 감독직 사임 이후 한동안 휴식기를 가지다가 2022년 코트디부아르 대표팀 감독직으로 자리를 옮겼다. 본인의 커리어 첫 국가대표팀 감독직이자 코치로 넓혀봐도 2010년 프랑스 대표팀 코치직 이후 12년만에 국대팀 업무를 맡는 셈이다. 가장 중요한 미션은 역시 코트디부아르에서 개최하는 네이션스컵 우승이다.그러나 조별리그 2차전에서 나이지리아를 상대로 0:1로 지더니, 최종전에서 적도 기니에게 무려 0:4 대패를 당하며 1승 2패 승점 3점으로 조 3위로 밀려났다. 그나마 다른 조에서 미끄러진 팀이 나온 덕에 간신히 16강 막차를 타긴 했지만, 조별리그에서의 부진 탓에 2024년 1월 24일부로 대회 도중 전격 경질되며 코트디부아르 대표팀 감독직에서 내려오게 되었다.
심지어 가세 감독 경질 후 감독 대행을 맡게 된 현지인 코치 에메르스 파에가 16강에서 조별리그 전승을 기록한 세네갈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8강전에서 말리에게 연장전 끝에 2:1로 역전승했으며, 4강전에서 콩고민주공화국을 1:0으로 이기며 결승에 올라가더니 다시 만난 나이지리아를 상대로 연장 접전 끝에 2:1 역전승을 거두며 우승까지 차지해 가세 감독의 평판은 더욱 나락으로 떨어졌다.
3.6.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이후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에서 경질된 젠나로 가투소의 후임으로 내정되었다는 소식이 보도됐다. #그리고 2024년 2월 20일,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의 새로운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부임한 이후 치른 3경기에서 총 12골을 득점하는 등 화끈한 축구를 펼치고 있는데, UEFA 유로파 리그 8강전에서는 1차전에서 1:2로 패했으나 2차전에서 1:0으로 승리를 거두고 연장에 돌입, 승부차기 끝에 파우 로페스의 결정적 선방 두 번에 힘입어 UEFA 유로파 리그 4강에 진출하게 되었다.
시즌 종료 후, 감독 생활을 마무리짓는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마르세유의 후임으로는 로베르토 데 제르비로 확정되었다.
3.7. 몽펠리에 HSC 2기
2024년 10월 22일, 몽펠리에 HSC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2025년 4월 7일, 리그 최하위를 기록한 후 몽펠리에와 상호 합의 하에 계약을 해지하였다.
4. 같이 보기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트디부아르 참가 감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FFFFFF)" {{{#!wiki style="color: #08422d;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letter-spacing:-1px" | <colbgcolor=#08422d> A조 | 장루이 가세 → 에메르스 파에 ★ | 주제 페제이루 ☆ | 후안 미차 | 바시루 칸데 |
B조 | 후이 비토리아 | 크리스 휴튼 | 부비스타 | 시키뉴 콘데 | |
C조 | 알리우 시세 | 리고베르 송 | 카바 디아와라 | 통 생피에트 | |
D조 | 자멜 벨마디 | 위베르 벨뤼 | 아미르 압두 | 페드루 곤살베스 | |
E조 | 잘렐 카드리 | 에리크 셸 | | 콜린 벤자민 | |
F조 | 왈리드 레그라기 | 세바스티앵 드사브르 | 아브람 그랜트 | 아델 암루셰 | |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57 | 1959 | 1962 | 1965 | 1968 | 1970 1972 | 1974 | 1976 | 1978 | 1980 | 1982 1984 | 1986 | 1988 | 1990 | 1992 | 1994 1996 | 1998| 2000| 2002 | 2004 | 2006 2008| 2010| 2012 | 2013 | 2015 | 2017 2019 | 2021 | 2023 | 2025 | 2027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