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14:47

작위 요구자/아시아/중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작위 요구자/아시아
1. 개요2. 등재 기준3. 현재 작위 요구자 목록
3.1. 촉한 황제3.2. 조위 황제3.3. 마카오 영주3.4. 홍콩 영주3.5. 연성공3.6. 오주 황제3.7. 원나라 황제3.8. 쿠처 회부친왕

1. 개요

중국작위 요구자를 다루는 문서.

2. 등재 기준

이 문서는 상위 문서인 작위 요구자의 정의에 따른 중국의 현재 작위 요구자들을 나열한 목록 문서이다.
토론 합의에 따라, 근대 이후 공화국의 독재자가 직위를 자손에게 계승했거나 계승하려 시도한 경우는 등재하지 않는다. 단 근대 이후 공화국의 독재자라도 '몽골의 칸' 등 세습 군주의 칭호를 자칭한 경우는 등재한다.

3. 현재 작위 요구자 목록

3.1. 촉한 황제

관련 칭호 한나라[1] 황제
작위 요구자 류창(유강)
계승 실패 원인 263년 제국 멸망
촉한의 창업군주 유비의 60대손인 류창은 조상의 출세 이전 삶처럼 청두시에서 돗자리와 짚신을 만들어 팔고 있다고 한다.

3.2. 조위 황제

관련 칭호 위나라[2] 황제
작위 요구자 차오쭈이(조구의)
계승 실패 원인 265년 제국 멸망
차오쭈이는 자신이 조조의 70대손이라는 사실을 밝히며 조위의 황제위 요구자가 되었다. 차오쭈이가 가지고 있는 조씨 가문 족보에는 조조의 후손이기도 한 차오쭈이의 조상이 차오쭈이가 사는 동북 지방으로 이동하게 된 경로가 기록되어 있다.

3.3. 마카오 영주

파일:포르투갈령 마카오 휘장.svg
관련 칭호 포르투갈 국왕
알가르브 국왕
브라간사 공작
마카오 영주
작위 요구자 두아르트 피우
전임자 두아르트 누누
후임자 아폰수
계승 실패 원인 1834년 폐위
1910년 왕정 폐지
1999년 포르투갈에서 중국으로 영유권 반환
1999년에 마카오중국에 반환된 것은 현 포르투갈 공화국 정부에 의한 것이고, 1910년에 폐위된 옛 포르투갈 왕실과는 무관한 얘기이므로, 따로 중국의 마카오 영유를 인정한다고 발표하지 않은 이상에야 포르투갈 왕위 요구자가 그대로 마카오 영주위 요구자가 된다.

3.4. 홍콩 영주

파일:영국령 홍콩 국장.svg
관련 칭호 하노버 국왕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국왕
홍콩 영주
작위 요구자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5세
전임자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4세
후임자 에른스트 아우구스트[3]
계승 실패 원인 1901년 왕조 단절 및 교체
1997년 영국에서 중국으로 영유권 반환
1841년에 영국아편전쟁의 결과로 홍콩을 할양받아서 영국령 홍콩이 수립되자, 당시 영국의 여왕이었던 빅토리아 여왕청나라 황제에 의해 홍콩의 영주로 임명되는 형식으로 홍콩의 명목상 통치자가 되었다. 이때 영국 왕실하노버 왕조였고, 1997년에 있었던 홍콩 반환윈저 왕조의 군주인 엘리자베스 2세의 치세에 있던 일이므로, 하노버 왕조 측에서 이를 인정할 이유는 없다. 이에 따라, 하노버 왕위 요구자가 영국 왕위 요구자와 홍콩 영주위 요구자를 모두 겸하게 된다.[4]

3.5. 연성공

파일:종교표지_유교_검은색.png
관련 칭호 연성공
대성지성선사봉사관
작위 요구자 쿵추이창(공수장)
전임자 쿵더청(공덕성)
후임자 쿵유런(공우인)
계승 실패 원인 1935년 연성공에서 대성지성선사봉사관으로 칭호 개편
연성공은 전근대 중국에서 공자의 적통에게 수여한 작위로, 유교 문화권의 정신적 구심점 역할을 하였다. 마지막 연성공 쿵더청은 1935년에 연성공에서 대성지성선사봉사관이라는 근대적 관직명으로 바뀌어 더 이상 귀족 작위가 아닌 장관급 공직자의 예우를 받게 되었으며, 그의 아들 쿵웨이이가 아버지보다 먼저 죽어서 쿵더청 사후 대성지성선사봉사관 자리는 쿵더청의 손자이자 쿵웨이이의 아들인 쿵추이창이 물려받게 되었다.

3.6. 오주 황제

파일:명나라 국새 인영.svg
관련 칭호 주나라[5] 황제
작위 요구자 우위룽(오우로)
계승 실패 원인 1681년 제국 멸망
삼번의 난 실패로 오주가 멸망하면서 오삼계의 장남인 오응웅의 직계 혈통은 단절되었으며, 오삼계의 남은 직계 후손들은 모두 오삼계의 또 다른 아들인 오응기의 후손이다. 현 황제위 요구자는 오삼계의 13대손이자 오응기의 12대손인 우위룽이다. 그는 중국의 고급 호텔 '평서왕부'가 조상인 오삼계의 작위였던 평서왕을 멋대로 이름에 썼다며 항의하기도 했다.[6]

오삼계 문서를 봐도 알 수 있듯이 오삼계가 한족만주족 양쪽에게 모두 배신자이자 기회주의자라는 평가를 받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오주의 역대 황제위 요구자들은 진지하게 오주의 재건을 원하는 모습을 보이는 일이 사실상 없다시피 하다. 만약 오삼계의 후손들 중 누군가가 진지하게 오주의 재건을 원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서로 앙숙인 한족 민족주의자들과 만주족들이 합심하여 그 사람을 욕할 것이다.

본 문단에 나와 있는 국새는 오주 국새가 아니라 명나라 국새인데, 오주의 국새가 어떻게 생겼는지는 전해지지 않으며 오주 자체가 명목상 명나라의 후신을 표방한 국가라서 편의상 명나라 국새의 이미지를 첨부한다.

3.7. 원나라 황제

파일:몽골 제국 및 원나라 문장.svg
관련 칭호 대칸
천자
원나라 황제
작위 요구자 스티브 조르첸 해럴드 보르지긴
후임자 단젠 보르지긴
계승 실패 원인 1368년 원나라 멸망
1388년 북원 멸망
1635년 대칸국 멸망
명나라 건국 과정에서의 몽골족 학살을 피해 몽골 고원으로 망명하여 북원을 세운 몽골 제국 보르지긴 왕조는 1388년에 조리그투 칸의 쿠데타로 조리그투 칸에게 대칸위가 넘어감과 동시에 원나라(북원) 황제 칭호가 폐지되고 훗날 오이라트에센 타이시가 대칸위를 찬탈하는 등 여러 혼란을 겪었다가 결국 청나라 아이신기오로 왕조에 대칸위를 넘겨주면서 다시는 몽골 제국 대칸을 배출하지 못하게 되었다. 오늘날 명목상의 몽골 제국 대칸위와 원나라 황제위를 요구하는 보르지긴 가문 사람은 스티브 조르첸 해럴드 보르지긴이다.

3.8. 쿠처 회부친왕

관련 칭호 쿠처 회부친왕
작위 요구자 다우티
계승 실패 원인 중국의 공산화에 따른 쿠처 회부친왕 작위 부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07
, 2.26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0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촉한이라는 명칭 자체는 후대인들이 붙인 것이며, 촉한의 실제 명칭은 그냥 한(漢)이었다.[2] 조위라는 명칭 자체는 후대인들이 붙인 것이며, 조위의 실제 명칭은 그냥 위(魏)였다.[3]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5세의 아들.[4] 홍콩 민주화 운동의 일환으로 홍콩 독립운동이나 영국으로의 재귀속을 희망하는 여론이 늘면서, 현재의 영국 국왕찰스 3세가 이 목록에 올라올 가능성이 생겼다. 허나, 아직 영국 정부와 왕실의 공식 입장은 홍콩의 민주화를 지지하는 수준에서 그치므로 찰스 3세는 공식적으로는 홍콩의 영주위 요구자가 아니다.[5] 오주라는 명칭 자체는 후대인들이 붙인 것이며, 오주의 실제 명칭은 그냥 주(周)였다.[6]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0207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