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임은정(동명이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임은정(동명이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임은정(동명이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이인: }}}[[임은정(동명이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임은정(동명이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임은정(동명이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373A3C,#DDD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nopad> 참여정부 | ||||
초대 명동성 | 제2대 황선태 | 제3대 김희옥 | 제4대 선우영 | 제5대 이승구 | |
<nopad> 이명박 정부 | |||||
제6대 이복태 | 제7대 김종인 | 제8대 박한철 | 제9대 이재원 | 제10대 송해은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제11대 석동현 | 제12대 한명관 | 제13대 황윤성 | 제14대 송찬엽 | 제15대 박민표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제16대 봉욱 | 제17대 조희진 | 제18대 한찬식 | 제19대 조남관 | 제20대 고기영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21대 이수권 | 제22대 김관정 | 제23대 심우정 | 제24대 임관혁 | 제25대 황병주 | |
<nopad> 윤석열 정부 | <nopad> 이재명 정부 | ||||
제26대 박세현 | 제27대 양석조 | 제28대 임은정 | }}}}}}}}}}}}}}}}}} |
<colbgcolor=#1e4a71><colcolor=#fff> 대한민국 제28대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 임은정 林恩貞 | Im Eun-jeong[1] | |||
<nopad> | |||
출생 | 1974년 7월 14일 ([age(1974-07-14)]세) | ||
부산직할시 서구 동대신동 (現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 |||
등록기준지 | 경상북도 영일군 지행면 (現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 ||
현직 |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 | ||
재임기간 | 제28대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 | ||
2025년 7월 4일 ~ 현재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e4a71><colcolor=#fff> 가족 | 배우자 장성윤 [2] | |
학력 | 남성여자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 / 석사과정 수료) 전남대학교 대학원 (법학 / 석사과정 수료) | ||
종교 | 개신교 (예장통합) | ||
경력 | 제40회 사법시험 합격 제30기 사법연수원 수료 인천지방검찰청 검사 광주지방검찰청 검사 법무부 법무심의관실 검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 의정부지방검찰청 검사 서울북부지방검찰청 부부장검사 청주지방검찰청 충주지청 부장검사 울산지방검찰청 중요경제범죄조사단 부장검사 대검찰청 감찰정책연구관 법무부 감찰담당관 대구지방검찰청 중요경제범죄조사단 부장검사 국정기획위원회 정치행정분과 전문위원 (이재명 정부) 제28대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 |
1. 개요
대한민국의 검사.과거 광주 인화학교 사건의 공판을 맡아 ‘도가니 검사’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과거사 재심 무죄구형 검사로서 화제가 되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국정기획위원회의 정치행정분과 전문위원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2025년 7월 1일 사의를 표명한 양석조의 후임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으로 승진 임명되었다. 그간 정권에 찍혀 한직을 맴돌던 검사의 화려한 부활이라는 점에서 문재인 정부 초 윤석열의 서울중앙지검장 발탁에 비견되는 파격적인 인사다.
2025년 6월 30일 MBN 뉴스와이드: 이재명 정부 파워엘리트에 소개되었다.
2. 생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임은정/생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임은정/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경력
- 1998 제40회 사법시험 합격
- 2001 제30기 사법연수원 수료
- 2001 인천지방검찰청 검사
- 2003 대구지방검찰청 경주지청 검사
- 2005 부산지방검찰청 검사
- 2007 광주지방검찰청 검사
- 2009 법무부 법무심의관실 검사
- 2012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
- 2013 창원지방검찰청 검사
- 2015 의정부지방검찰청 검사
- 2017 서울북부지방검찰청 부부장검사
- 2018 청주지방검찰청 충주지청 부장검사
- 2019 울산지방검찰청 중요경제범죄조사단[3] 부장검사
- 2020 대검찰청 검찰연구관 (감찰정책연구관, 부장검사)
- 2021 법무부 감찰담당관 (차장검사)
- 2022 대구지방검찰청 중요경제범죄조사단 부장검사[4]
- 2024 대전지방검찰청 중요경제범죄조사단 부장검사
- 2025 국정기획위원회 정치행정분과 전문위원
- 2025.7. 제28대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
4. 저술 활동
2022년 7월 22일 첫 번째 단독 저서 《계속 가보겠습니다》를 출간했다. 내부자의 시선으로 검찰의 치부를 세상에 드러내 온 10년의 기록과 다짐이 담겨 있다. 2022년 7월 29일 다음-연합뉴스 임은정 검사 '계속 가보겠습니다' 정치사회 1위같은 해 9월 초판 인세 기부 1000만 원을 시작으로 3개월간 총 1억 1000만 원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부했다. 기부금은 공익신고자 보호, 취약계층 무료급식지원 등 복지 사업에 쓰였다. 2022년 12월 9일 다음-헤럴드경제 정의로운 여풍당당 임은정 검사, 고액 기부자 가입
2022년 12월 9일, 호루라기 재단은 임은정 검사가 검찰개혁 ‘중간보고서’ 『계속 가보겠습니다』(메디치미디어)의 인세 수익금 1억원을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기부한다고 밝혔다. 2022년 12월 9일 호루라기재단 (보도자료)임은정 검사, <계속 가보겠습니다> 인세 1억원 호루라기재단에 기부
2023년 4월 최동원기념사업회는 “대구지검 임은정 부장검사가 지난 16일 ‘최동원 야구교실에 써달라’며 1000만 원을 기부했다”고 밝혔다. 2023년 4월 24일 다음-스포츠서울 “최동원의 위대함, 생전에 알았으면” 임은정 검사, 최동원 야구교실에 1000만원 기부
2024년 8월, 한국시각장애인복지관(관장 백남식)과 극단 옐로우브릭 씨어터(대표 강수진)가 공동 기획한 무대 장면 해설 연극 ‘리투아니아’가 강동아트센터 소극장 드림에서 공연되었다. 2024년 8월 21일 미디어펜 시각장애인 위한 무대 장면 해설 연극, 무료로 즐긴다 이 연극은 임은정 검사의 <계속 가보겠습니다>의 인세 기부로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다. 2024년 8월 31일 임은정 검사 페이스북
2024년 10월 18일, 서울지방변호사회 회관에서 반딧불이기금 수여식이 열렸다. 반딧불이기금은 검찰 내부제보자 임은정 검사가 사랑의열매를 통해 지정기탁한 사업비로 조성되었으며, 공익제보로 인해 실직 등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보자에게 생활비를 지원한다.2024년 10월 21일 호루라기재단 홈페이지 (24반딧불이기금 수여식) 개최
5. 비판 및 논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임은정/비판 및 논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임은정/비판 및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사건 사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임은정/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임은정/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여담
- 더 킹의 안희연 검사의 실제 모델로 알려졌다.
- 2023년 연고전(임은정 입장에서는 고연전)에서 응원전을 펼쳤다. 93학번으로 고려대 법학과를 졸업한 임은정 검사는 한 라디오 방송에서 대학 시절 응원단인 ‘영타이거스(Young tigers)’ 활동을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임 검사의 고연전 깜짝 등장은 입학 30주년을 맞은 응원단 출신 졸업생들이 모이는 홈커밍 행사의 일환으로 전해졌다. 임 검사는 같은 학번 동문과 활짝 웃으며 응원가에 맞춰 응원 동작을 선보였다. 임 검사의 치어리딩 영상은 온라인상에서 화제가 되었다. 2023년 9월 11일 동아일보 고연전에 깜짝 치어리딩 나선 임은정 검사 “응원 사랑하기에…”
- 2025년 7월 1일 검찰 인사 발표에 따라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으로 승진하면서, 사법연수원 30기는 한 기수에 한 명 배출하기도 어려운 실정인 여성 검사장을 김선화 서울서부지검장, 이영림 춘천지검장, 정유미 창원지검장에 이어 무려 4번째로 배출한 기수가 되었다.
-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입지가 좁아져 한직을 전전하며 담당 사건 외에 언론 인터뷰, 책 출판, 사인회, 전시회 참여, 강연 등을 해왔다. 그러다 검찰개혁을 지향하는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뒤 서울동부지검장으로 파격 발탁되어 검사로서의 본업과 검찰개혁론 주장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 검찰 최초의 여성 검사장인 고대법대 81학번 선배인 조희진 이후로 오랜만에 서울동부지방검찰청에 부임한 여성 검사장이다.
- 동부지검장으로 승진한 이후, 안미현 서울중앙지검 평검사(사법연수원 41기)[5]는 이프로스에 "터널 밖으로 나갈 때 좀더 나은 곳으로 이어지도록 오늘을 바꿔보자는 검사장님 말씀의 의미를 모르겠다. 도대체 무엇을 어떻게 바꾸면 좀더 나은 곳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냐"라며 임은정 동부지검장을 직격하는 글을 올렸다. # 안미현은 "검찰이 변해야 하고, 개혁돼야 한다는 건 검사장님과 같은 생각이었지만, 제가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 지점은 '정치권력으로부터 독립된 수사와 인사'"라고 주장했다. 검사 출신인 김규현 변호사는 안미현의 발언과 관련해 "판사, 검사들은 '독립 독립' 하면서 자꾸 국민으로부터 독립하려 한다"며 "안 검사님 논리면 국군도 정치권력으로부터 독립되어야 하냐"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치권의 부당한 개입으로부터 독립성을 지키는 것과 아예 권력 자체로부터 독립하겠다는 건 전혀 다른 문제"라며 "정치권력으로부터 독립된 전권을 가진 결과물이 바로 윤석열이었다"고 꼬집었다.2025년 7월 9일 mbc "답장 안 보셔서" 공개 직격.. 안미현, 임은정한테 왜?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194973><tablebgcolor=#194973> | 임은정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194973><colcolor=#fff> 일생 | 생애 | |
비판 및 논란 | 비판 및 논란 | ||
사건 사고 | 사건 사고 |
[1] 동명이인인 여검사 임은정(任銀晶, 연수원 39기)이 있다.[2] 2013년 결혼[3] 이름만 보면 그럴듯하지만 중경단은 검찰 내 한직의 대표주자다. #[4] 차장검사에서 부장검사로 강등된 것으로 보일 수 있는데, 공식적으로는 부부장검사, 부장검사, 차장검사 3개를 묶어서 고검 검사라는 직급으로 분류한다. 보직이 부부장검사, 부장검사, 차장검사 급으로 암묵적으로 딱딱 나뉘어 있고 웬만하면 순차적으로 승진하는 것일 뿐. 즉 차장 보직에서 부장 보직으로 보내도 그건 좌천이지 강등은 아니며, 그래서 고검으로 가면 다 부장검사로 불린다.[5] 2018년 권성동 당시 자유한국당 의원이 연루됐던 강원랜드 채용비리 수사와 관련해 대검의 외압이 있었다고 폭로했던 인물이다. 해당 폭로로 참여연대에서 '의인(義人)상'을 받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