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px" | <tablebordercolor=#5bb025> | }}} | ||||
[[틀:인천광역시 공항버스| 공항 ]] [[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광역 ]] [[틀:인천광역시 좌석버스|좌석 ]] [[틀:인천광역시 급행간선버스|급행 ]] [[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간선 ]] [[틀:인천광역시 심야버스|심야 ]] [[틀:인천광역시 지선버스|지선 ]] [[틀:인천광역시 마을버스|마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colbgcolor=#5bb025><colcolor=#fff> 동구 중구 | e음11 | e음12 | e음13 | e음15 | e음16 |
e음21 | e음22 | 506 | 510 | 1111 | ||
2201 | ||||||
미추홀구 | e음31 | 511 | 512 | 514-1 | 515 | |
515-1 | 516 | 517 | 518 | 519 | ||
520 | 566 | | ||||
연수구 | 순환41 | 순환42 | 순환43 | e음45 | 순환46 | |
521 | 522 | 523 | 4401 | 4402 | ||
남동구 | 순환51 | 순환52 | e음53 | 순환54 | e음55 | |
순환56 | 532 | 535 | 536 | 537 | ||
538 | 539 | 540 | ||||
부평구 | e음61 | 526 | 530 | 551 | 555 | |
556 | 557A | 558 | 560 | 561 | ||
562 | 564 | 564-1 | 565 | 567 | ||
568 | 569 | 570 | 571 | 574 | ||
579 | ||||||
계양구 | e음71 | 581 | 582 | 583 | 584 | |
584-1 | 585 | 586 | 587 | 588 | ||
590 | ||||||
서구 | 순환83 | e음84 | e음85 | e음86 | e음88 | |
e음89 | 591 | 592 | 593 | 594 | ||
595 | 596 | 701 | 702 | 9701 | ||
9901 |
1. 개요
성민버스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1.77km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인천광역시 지선버스 511번 | |||||
| |||||
기점 | [출발]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독배로317번길(삼거리)) [도착]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SK스카이뷰) | 종점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동(주안역환승정류장) | ||
종점행 | 첫차 | 05:20 | 기점행 | 첫차 | 05:45 |
막차 | 23:20 | 막차 | 23:45 | ||
평일배차 | 3~5분 | 주말배차 | 토요일 4~7분 / 공휴일 5~8분 | ||
운수사명 | 성민버스 | 인가대수 | 15대[1] | ||
노선 | (독배로317번길(삼거리) → SK스카이뷰104동 → 굴다리 → / SK스카이뷰 ← 인하대역 ←) - 인하대후문 - 학산소극장 - 용일사거리 - 주안2동치안센터 - 제일시장 → 교보생명 → 주안역환승정류장 → 도화IC → 이후 역순 |
3. 역사
- 남구[2] 1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당시에는 용현운수에서 운행하였다.
- 2002년 2월 1일에 지선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가 511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2년에 성민버스로 이관되었다.
- 한때는 주안역에서 인하대 방향으로 운행할 때 주안역과 롯데월드타워(오피스텔) 정류장 사이에 정류장이 하나도 없었을 정도로 급행 역할이 조금은 있었으나, 준공영제 도입 이후로 정차 정류장이 조금씩 늘어났다. 2007년 이후 추가된 정류장으로는 주안사거리(시외버스정류장) 등이 있다.
- 2014년 9월 1일에 2대가 증차, 15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 2016년 7월 30일 시내버스 개편에서 용현동 SK스카이뷰 입주대책에 따라 인천용학초등학교까지 연장되었다. 이 연장으로 인하대후문에서 인하대역을 연계하는 역할을 맡게 됐다. 배차간격이 3~5분으로 조정되었다.
- 2016년 9월 1일 노선 부분조정에서 SK스카이뷰 P턴 구간을 양방향 운행구간으로 바꾸면서 회차구간 역시 5-1번의 회차점인 굴다리로 조정되었다. 이로써 왕복 길이가 소폭 길어져 배차간격 역시 4~5분대로 조정된다. 다만 실제로는 굴다리에서 바로 U턴 후 용정공원 앞에서 출발한다.[3]
- 굴다리 회차점 불법유턴 문제가 불거짐에 따라 2018년 9월 15일에 2016년 개편 당시와 마찬가지로 SK스카이뷰 P턴으로 재조정하였다. 이와 동시에 인가 상 기점이 인하대역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왕복길이가 다시 단축되어 배차간격이 3~5분 대로 조정되었다. 하지만 종점으로 인가된 인하대역 정류장이 버스 정차 외에는 주정차 금지구역으로 묶여있는데다 도로가 협소하여 단지 내로 진입하려는 차량들의 교통불편이 야기되어 실제로는 스카이뷰 정문을 지난 지점에서 정차한다.
- 민원 해결을 위해 기점만 SK스카이뷰아파트후문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8년 11월 24일부터 스카이뷰정문 다음에 있던 실제 정차지였던 곳이 정식적으로 '독배로317번길(삼거리)' 정류장으로 인가받았고 해당 정류장을 기점으로 두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22년 11월 26일부터 용학초등학교에 추가로 정차한다.
4. 특징
- 인가 대수는 15대로 인천광역시 지선버스 중에서는 가장 많다. 왕복 운행거리가 11km 정도에 불과한 것에 비하면 많은 수준이며 인천 지선버스 빗자루질의 끝판왕인 노선이다. 평일 운행횟수는 253회로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중 가장 많이 다니는 시내버스다.[4]
- 인하대생들이 주안역으로 이동할 때 제일 먼저 찾는 노선으로 빠른 교통수단이다. 비슷한 경로로 주안역에서 인하대후문으로 가는 13번도 있다. 정문으로 가는 5-1번도 있으나, 소요시간과 운임에서 차이가 있다. 인하대학교 자체적으로 운행하는 셔틀버스도 있으나, 주안역 환승장의 접근성이 더 나은 관계로 그걸 놔두고 이 노선을 타기까지 한다.[5] 그러나 주안역~인하대 후문 사이에서 승차하는 사람들은 등/하교시간대에는 얄짤없이 서서 가야 한다.[6] 그리고 하교 시간대에 16시에서 19시까지 인하대후문 정류장 줄은 답이 없다. 2대는 보내야 겨우 탄다.[7] 인하대후문~주안역까지 차가 막히면 30분 넘게 걸릴 때도 있으니 참고하면 된다. 하교 피크시간대에는 최악의 경우 대기시간 포함하여 주안역까지 1시간가량도 소요될 수 있다.[8][9]
- 버스가 줄줄이 이어지기 때문에 주안역에 입석줄과 좌석줄이 따로 생긴다. 버스 바깥쪽에 생긴 줄이 입석줄이고, 버스 가까이에 생긴 줄이 좌석줄이다. 바쁜 사람들은 입석줄에 서면 좌석줄 사람들이 모두 자리에 앉은 후 더 이상 타지 않을 때 입석으로 탑승할 수 있다.[10]다만 좌석줄 맨 끝이라 해도 버스 순환이 빨라 약 15분 정도면 버스에 탈 수 있기 때문에 정말 바쁘거나 지각위기에 처한 학생들만 입석줄에 선다.[11] 독배로로 노선이 연장된 후에는, 소수이지만 인하대후문에서 인하대역까지 타는 수요도 생겨났다.
- 한때 인하대 후문 정류장 바닥에 학생들이 캠페인 비슷한 차원에서 입석줄과 좌석줄을 구별하는 발자국 그림을 붙인 적이 있었다. 지금은 모두 제거되었다.
- 인하대 정문 앞에 인하대역이 있으나 여전히 건재하다. 서울이나 부천 등의 수도권 서부에서 인하대로 올 경우, 인하대역으로 가려면 인천역까지 가서 환승을 해야 해서 기존 루트에 비해 시간적 이점이 전혀 없기 때문.[12] 오히려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되자 서구 쪽의 통학 수요까지 주안역으로 몰려 혼잡도가 더 늘었다. 수인선으로 통학하는 경우는 안산이나 수원 등 수도권 서남부 지역 거주자들이 대부분인데, 이쪽은 수인선 개통 이전부터 3001번을 타는 것이 메인 루트였기 때문에 애초에 수요와는 무관하다. 단 인천 계양구 등 인천 1호선 이용이 편리한 지역에 거주하는 학생의 경우 인천 1호선-원인재역-수인선 루트를 고려할 수 있다.
- 인천광역시 지선버스 중 승하차 인원 1위 노선이다. 인하대생 뿐만 아니라 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 정석항공과학고등학교, 인하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인하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학생들도 많이 이용하기 때문.[13] 따라서 등, 하교 시간엔 매우 혼잡하다. 특히 하교시간에 기계공고에서 주안역 방향으로 가는 버스를 타려면 앞문까지 사람들로 꽉차있어서 못타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 여러 우회노선으로 13번, 인하대역을 경유하는 38번, 516번, 518번이 있다. 굴다리에서 주안역까지는 5-1번도 이용할 수 있지만, 배차가 길거나 노선 굴곡이 심해 511보다 대체로 오래 걸린다.
- 2018년 2월 이후부터 허접하게 타이어 사이에 '511 타는 곳' 이라고 표시한 깃발을 없애고 앉아서 기다릴 수 있는 셸터를 세웠다. 이로써 주안역 환승정류장의 셔터는 모두 3개가 되는 것.
- 기사 교대를 기종점이 아닌 중간 정류장인 인하대후문 정류장에서 한다.
- 한때 하교 피크시간대[16]에 앉아가기 위해 '인하대역 4번출구'(정문 근처)정류장에서 승차하는 방법이 있었지만, 2018년 11월 24일 이후 더 이상 이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게 되어 앉아가려면 용현고가교 정류장까지 걸어가야 한다.[17]
- 인하대학교 측에서 운영하는 주안역-후문 간 셔틀버스가 이 노선의 혼잡도를 분산시켜 줬으나, 코로나 이후로 셔틀버스가 대거 감차되며 대면수업이 재개된 2022년 이후 혼잡도가 더 늘어났다. 피크타임[18]에는 수업 시간 30분 전에 주안역에 도착해도 지각이 사실상 확정 수준으로 혼잡해졌다. 주안역행 역시 후문 전 정류장인 용현고가교에서도 멀리 걸어오는 불편함을 감수하고 오는 학생이 늘어나 줄이 생길 정도이다.[19] 2023년에 학교 측에서 셔틀버스를 증편하긴 했으나 코로나 이전 빗자루질 배차에 비하면 역부족이고, 수업 시간과 타이밍이 맞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제대로 이용하기도 힘들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인천광역시 지선버스 511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9년 | 14,170명 | - |
2020년 | 9,220명 | ▽ 5,490 |
2021년 | 9,531명 | △ 311 |
2022년 | ||
2023년 | ||
※ 하차인원 미포함 |
- 출처: 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
- 2020~2021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원격수업 전환으로 인하대학교 통학 수요가 감소하여 다른 노선들보다 타격을 많이 받았다.
4.2. 노선
인천광역시 지선버스 511번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주안역환승정류장 37617 | |||||
주안1동행정복지센터 04103 | <colbgcolor=#5bb025> | ← | <colbgcolor=#5bb025> | 교보생명 37357 | ||
도화IC 37356 | ↓ | ↑ | 주안사거리 37514 | |||
인천광역시종합건설본부 37325 | 제일시장 37316 | |||||
이상 회차 구간 | ||||||
대명아파트 37537 | ↓ | ↑ | 주안2동치안센터 37302 | |||
인천기계공고 37281 | 인천기계공고 37272 | |||||
용일사거리 37218 | ↓ | ↑ | 용일사거리 37584 | |||
제운사거리 37184 | 제운사거리 37177 | |||||
학산소극장 37173 | ↓ | ↑ | 학산소극장 37169 | |||
정석항공과학고 37170 | 정석항공과학고 37168 | |||||
인하대후문 37167 | ↓ | ↑ | 인하대후문 37165 | |||
용현고가교 37550 | 용현고가교 37611 | |||||
인하대역3번출구 37127 | ↓ | ↑ | 굴다리 37142 | |||
인하대역 37596 | SK스카이뷰109동 37607 | |||||
SK스카이뷰 37601 | ↓ | ↑ | SK스카이뷰104동 37587 | |||
↑ | 인천용학초등학교 37676 | |||||
독배로317번길(삼거리) 37634 |
4.3. 사건 사고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주안역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시민공원역, 주안역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인하대역
6. 둘러보기
주안역 환승 정류장 경유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간선 | |||
지선 | 511[주] | |||
[주] 주안로상의 정류소에 정차 |
[1] 토요일 12대 / 공휴일 10대 운행.[2] 지금의 미추홀구.[3] 정확히는 SK스카이뷰 109동 정류장이다. 약간 부천 10번과 유사한데 굴다리에서 회차 후 SK스카이뷰 못 간 지점에서 앞차로 환승하는 형식이다. 실제로 여기서 BIS를 가동시킨 상태로 2~3대씩 대기중이다.[4] 2위는 36번이다.[5] 만약 9시 수업이 있다면 셔틀버스를 타는 편이 낫다. 그 시간대에는 대학생들뿐만 아니라 중고등학생까지 섞여서 헬게이트가 열려있는데다 차내 혼잡도도 어마어마하다. 셔틀버스의 배차간격이 조금 긴 정도인데다 짧은 거리라 해도 훨씬 더 편하게 갈 수 있기 때문에 역에서 정류장까지 좀 더 걸어가더라도 셔틀을 타는 편이 낫다. 또한 엄청난 대기줄 때문에 차를 2대 이상 보내야 하는 걸 감안하면 셔틀버스의 조금 더 긴 배차간격은 아무것도 아니다.[6] 차에 사람이 너무 많을 때는 중간정류장에서 벨 누르는 사람이 없으면 무정차 통과하는 경우도 있다.[7] 참고로, 인하대 이전 정류장인 용현동고가까지는 거리가 꽤 되니 여기까지 걸어가는 사이에 2~3대는 놓쳐버리는지라 그냥 서서 기다리는 게 낫지만 최근에는 후문에서 3대 이상 보내야 하는 경우가 많아 용현고가교 정류장까지 걸어가서 타는 학생이 많아졌다.[8] 이 정도면 주안역에서 열차를 타고 이미 서울 주요 도심까지 들어가고도 남는 시간이다.[9] 용현고가교 승차 학생의 증가로 후문에서 태울 수 있는 학생 수가 줄어들었다. 후문에서는 딱 차량 길이 정도의 줄만 태우고 출발하는 경우가 많다.[10] 무조건 좌석줄이 우선이다. 좌석줄이 더이상 움직이지 않고, 자기가 좌석줄 앞쪽(캐노피 안쪽)인데 입석으로라도 빨리 타고 싶다면 입석 대열에 그냥 끼어들어서 타도 된다. 이거 갖고 시비 거는 사람이 있다면 그냥 무시하자.[11] 입석줄에 서도 무조건 탄다는 보장이 없고, 입석줄에서 탑승할 타이밍을 잡는 게 은근 힘들기도 하다.[12] 인천역 급행 미정차+동인천~인천역 간의 긴 소요시간+수인선의 저주받은 배차간격. 주안역~인하대까지 보통 20분 정도 걸리는데, 수인선으로 돌아오면 30분 이상도 걸릴 수 있다.[13] 학생들 뿐만 아니라 용현동/도화동/주안동에 사는 일반 시민들도 많이 이용한다. 부평이나 부천, 서울로 가려면 이거 타고 1호선 타러 가는게 제일 빠르기 때문.[14] 기존 승하차 위치에서 주안로 방면으로 조금 더 나오면 된다. 즉 환승장 진입로 바로 앞이다.[15] 2018년부터는 아예 환승장 캐노피를 바뀐 위치로 옮겨버렸다. 그 전에는 그냥 '511 정류장'이라고 적힌 팻말만 세워 놨었다.[16] 보통 오후 3~6시[17] 캠퍼스 내에 이 정류장의 위치로 바로 나갈 수 있는 길이 없어서 정문으로 나온 다음 주차장을 끼고 돌아서 가야 한다. 거리가 꽤 되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캠퍼스와 정류장 사이에 공터가 있는데 여기가 인하대 사유지가 아니어서 캠퍼스와 담장으로 막혀 있다.[18] 오전 8시~9시, 9시 30분~10시 30분[19] 좌석을 대략 절반정도 채우면 후문 정류장 학생들 탑승을 위해 기사가 승차를 막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