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시성의 지급시 이춘(宜春)에 대한 내용은 이춘시(장시성) 문서
, 조선국 추존 국왕 도조(度祖)에 대한 내용은 이춘 문서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e1c25> | }}} |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지급행정구 지급시 12, 지구 1 | 현급행정구 시할구 54, 현급시 21, 현 45, 자치현 1 | |
하얼빈시 성도 哈尔滨市 | |||
치치하얼시 齐齐哈尔市 | 젠화구 建华区 룽사구 龙沙区 톄펑구 铁锋区 앙앙시구 昂昂溪区 푸라얼지구 富拉尔基区 녠쯔산구 碾子山区 메이리쓰 다우르족구 梅里斯达斡尔族区 너허시 讷河市 룽장현 龙江县 이안현 依安县 간난현 甘南县 푸위현 富裕县 커산현 克山县 커둥현 克东县 바이취안현 拜泉县 | ||
지시시 鸡西市 | |||
허강시 鹤岗市 | 샹양구 向阳区 궁눙구 工农区 난산구 南山区 싱안구 兴安区 둥산구 东山区 싱산구 兴山区 뤄베이현 萝北县 쑤이빈현 绥滨县 | ||
솽야산시 双鸭山市 | |||
다칭시 大庆市 | |||
이춘시 伊春市 | |||
자무쓰시 佳木斯市 | |||
치타이허시 七台河市 | |||
무단장시 牡丹江市 | |||
헤이허시 黑河市 | |||
쑤이화시 绥化市 | |||
다싱안링지구 大兴安岭地区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color: rgba(0, 128, 255, .2)" | |||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 |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의 지급시 | |||||
[ruby(伊春, ruby=Yīchūn)][ruby(市, ruby=Shì)] | ᡳᡧᡠᠨ 이춘시 | Yichun City | Ичунь | |||||
시정부 소재지 | 헤이룽장성 이춘시 이웨이구 룽산제/훙쑹루 교합점 黑龙江省伊春市伊美区 笼山街与红松路交汇处 | ||||
지역 | 둥베이 | ||||
면적 | 39,017km² | ||||
하위 행정구역 | 4구 4현급시 1현 | ||||
시간대 | UTC+8 | ||||
인문 환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인구 | 878,881명 (2020) | |||
민족 구성 | 한족 97.87% | 조선족 0.73% 만주족 0.72% | 후이족 0.49% 몽골족 0.11% | 기타 0.08% (2020) | ||||
인구밀도 | 26명/km² | ||||
서기 | 쉬훙보(隋洪波) | ||||
시장 | 둥원친(董文琴) | ||||
GRDP | 전체 | $46억 3,028만 (2019) | |||
1인당 | $4,088 (2019) | ||||
상징 | 시화 | 진달래 | |||
시목 | 잣나무 | ||||
차량번호 | 黑F | ||||
행정구역 약칭 | 伊, 林 | ||||
행정구역코드 | 230700 | ||||
지역전화번호 | 0458 | ||||
우편번호 | 153000 | ||||
ISO 3166-2 | CN-HL-07 | }}}}}}}}} | |||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중국 헤이룽장성 북동부의 지급시. 자무쓰에서 서북쪽으로 150km, 하얼빈에서 동북으로 300km 떨어진 저산구릉 분지에 위치한다. 관할 인구는 88만 정도이다. 만주지역 답게 급격하게 인구가 줄있는 지역이다. 이춘시는 전체 면적의 83%가 산림 지대이기에 '숲의 수도'라는 의미인 린두(林都)라는 별명이 있다. 이름에 걸맞게 둥베이 지역 최대의 임업 지대로 소나무 등의 목재를 생산하며 목공업이 발달하였다. 이춘은 몽골어로 숫자 '9'를 의미한다. 분지 지형의 특성상 겨울에는 영하 30도를 밑돌 정도로 매우 춥고, 여름에는 영상 30도를 웃돌 정도로 더운 편이다. 동북쪽 60km의 우잉 국립공원이 주요 관광지이다.2. 역사
1890년대에 탄광촌으로 세워졌고, 만주국시절 본격적으로 개발되었다. 1950년을 전후로 급속히 발전하여 1958년 지급시가 되었다. 1964년부터 1979년까지는 이춘특구가 세워지기도 했다. 송화강의 지류인 탕왕강과 이춘강의 합류점에 자리한 시가지는 동서로 길게 뻗어 있고, 동쪽 7km 지점에 이춘 린두 공항이 있다.3. 교통
철도로는 탕린철도(汤林铁路)가 이춘시 전역을 커버한다. 고속철도는 다니지 않지만 하얼빈 등 대도시에서 출발하는 열차가 상당히 많다. 공항도 존재하는데, 이춘 린두 공항(伊春林都机场)이 2009년에 개항하여 베이징, 선양, 다롄, 하얼빈, 다칭으로 취항중이다.4. 경제
1차산업이 중심인 도시이며, 체르노젬 토양을 가진 곳이라 혹독한 기후에도 쌀이 자라난다. 2019년 기준 쌀 35만 2,000톤으로 이춘시 곡물 생산량 1위이며, 그 다음으로는 옥수수로 22만 5,000톤이 생산된다. 단, 옥수수는 생산량이 급감중인지라 원래는 옥수수가 최대 생산곡물이었지만 순위가 뒤집힌 것이다. 단 1차산업은 서서히 감소중이고 중공업과 발전산업이 급성장중이다. 광업의 경우에는 탄광촌으로 시작된 도시이지만 현재 석탄산업은 사장세이며, 대신 천연가스 채굴산업이 뜨고 있다. 상술하였 듯 중공업도 크게 성장중이며, 2019년 기준 야금산업 및 제철산업은 전년대비 51.4%가 상승하였고 에너지산업은 37.7%가 상승하는 등, 엄청난 규모로 중공업이 성장하는 중이다.5. 하위 행정구역
이춘시의 행정구역 | |||||
행정 구역 | (중국어 간체) | (중국어 정체) | 면적(km²) | 인구(`20) | 민족 구성(`20) |
이메이구 | 伊美 Yīměi | 伊美 ㄧ ㄇㄟˇ | 2,711.26 | 173,320 | 한족 98.25% 만주족 0.77% |
우추이구 | 乌翠 Wūcuì | 烏翠 ㄨ ㄘㄨㄟˋ | 2,424.07 | 72,259 | 한족 99.16% 만주족 0.44% |
유하오구 | 友好 Yǒuhǎo | 友好 ㄧㄡˇ ㄏㄠˇ | 3,001.48 | 54,302 | 한족 97.95% 후이족 0.96% |
진린구 | 金林 Jīnlín | 金林 ㄐㄧㄣ ㄌㄧㄣˊ | 2,235.69 | 60,466 | 한족 96.65% 후이족 1.59% |
톄리시 | 铁力 Tiělì | 鐵力 ㄊㄧㄝˇ ㄌㄧˋ | 3,762.64 | 225,960 | 한족 96.83% 조선족 2.02% |
자인현 | 嘉荫 Jiāyìn | 嘉蔭 ㄐㄧㄚ ㄧㄣ | 6,748.75 | 56,523 | 한족 97.78% 만주족 1.54% |
탕왕현 | 汤旺 Tāngwàng | 湯旺 ㄊㄤ ㄨㄤˋ | 2,141.91 | 33,245 | 한족 98.18% 만주족 0.76% |
펑린현 | 丰林 Fēnglín | 豐林 ㄈㄥ ㄌㄧㄣˊ | 2,971.16 | 62,214 | 한족 98.44% 후이족 0.83% |
다칭산현 | 大箐山 Dàqìngshān | 大箐山 ㄉㄚˋ ㄑㄧㄥˋ ㄕㄢ | 3,719.27 | 57,697 | 한족 98.66% 만주족 0.58% |
난차현 | 南岔 Nánchà | 南岔 ㄋㄢˊ ㄔㄚˋ | 3,084.05 | 82,895 | 한족 98.57% 만주족 0.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