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10:47:46

LG 트윈스/2군

이천 LG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LG 트윈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퓨처스리그 로고 가로형.svgKBO 퓨처스리그
참가 구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북부리그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파일:고양 히어로즈 엠블럼.svg
남부리그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kt wiz 엠블럼.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상무 피닉스 야구단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파일:KBO 퓨처스리그 로고 가로형.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삼성 라이온즈 2군}}} ||
번외 구단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
* KBO 퓨처스리그는 한국야구위원회에 가입한 구단만이 참여할 수 있는 리그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을 비롯한 번외 구단과의 경기는 공식 기록에 반영하지 않는다.
과거 참가 구단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기본 정보 LG그룹 | LG스포츠 | MBC 청룡 | LG 트윈스 | LG 트윈스 2군
주요 인물 구단주 구광모 | 대표이사 김인석 | 단장 차명석 | 감독 염경엽 | 주장 김현수
경기장 1군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2군 LG 챔피언스 파크
이전 동대문야구장 · 구리 LG 챔피언스 파크
우승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1990 | 1994 | 2023
역사 정보 구단 역사 | 트레이드 | 1990년 한국시리즈 | 1994년 한국시리즈 | 1997년 한국시리즈 | 1998년 한국시리즈 | 2002년 한국시리즈 | 2023년 한국시리즈 | 역대 감독 | 사건·사고 | 암흑기(453566, 6668587667)
주요 정보 팀 특징 | 선수단 | 등번호 | 유니폼 | 팀 응원가 (서울의 찬가 · 서울의 모정) | 응원단장 | 엘튜브 | 치어리더 | 제휴카드
지역 연고 경기고등학교 | 경동고등학교 | 덕수고등학교 | 배명고등학교 | 배재고등학교 | 서울고등학교 |
서울디자인고등학교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성남고등학교 | 신일고등학교 | 장충고등학교 |
중앙고등학교 | 청원고등학교 | 충암고등학교 | 휘문고등학교 | 제주고등학교
역대 시즌 역대 시즌
현재 시즌 LG 트윈스/2024년
영구 결번 9 이병규 33 박용택 41 김용수
팬덤 정보 LG 트윈스 갤러리 | I love Twins | 유광잠바
라이벌전 잠실시리즈 | 엘꼴라시코 | 엘키라시코
기타 방화신기 | 간채골 | 보루갈 | 빅5 | 사랑해요 LG | 엘롯기 | 엘넥한 | 엘롯한 | 헬로키티 | 탈쥐효과 | 추격쥐 | 쥐평 | 엘나쌩 · 엘상바 클럽 | 아워게임 : LG트윈스 | 이 팀은 솔직히 | 메가트윈스포 | 용택아 나는 무서운 진실을 깨닫고 말았다
파일:LG 트윈스 워드마크.svg파일:LG 트윈스 원정 워드마크.svg
무적 LG! 끝까지 TWINS! }}}}}}}}}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LG 트윈스
LG Twins
창단 1983년([age(1983-01-01)]주년)
법인 설립 1983년 11월 7일([age(1983-11-07)]주년)
법인명 ㈜LG스포츠
업종명 스포츠 클럽 운영업
상장 유무 비상장 기업
기업 규모 대기업
구단명 변천 MBC 청룡 2군 (1983~1989)
LG 트윈스 2군 (1990~ )
모기업 LG
연고지 변천 경기도 이천시 (2014.07.~ )
경기도 구리시 (1990~2014.07.)
구단주 구광모
구단주 대행 구본능
대표이사 김인석
단장 차명석
감독 김정준
소속 리그 변천 단일리그 (1990)
북부리그 (1991~ )
블루리그 (2015)[1]
홈구장 변천 구리 LG 챔피언스 파크 (1990~2014.07.)
이천 LG 챔피언스 파크 (2014.07.~ / 874석)
1군 LG 트윈스
워드 마크 파일:LG 트윈스 워드마크.svg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퓨대기]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퓨대기]
퓨처스리그 우승 (5회)
북부리그 <colbgcolor=#ffffff,#191919> 1993년, 1997년, 1999년, 2020년, 2021년
프랜차이즈 구단 기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최고 승률 <colbgcolor=#ffffff,#191919> 0.772
2021년 85경기 57승 6무 22패
최저 승률 0.394
1991년 36경기 13승 3무 20패
최다 승 57승
2021년 85경기 57승 6무 22패
최다 패 51패
2012년 92경기 34승 7무 51패
}}}}}}}}} ||
1. 개요2. 역사
2.1. MBC 청룡 시절2.2. LG 트윈스 시절
3. 여담4. 홈구장5. 역대 감독6. 역대 성적

[clearfix]

1. 개요

LG 트윈스의 2군.

2. 역사

2.1. MBC 청룡 시절

1983년 MBC 청룡최정상 2군 코치를 선임하면서 2군을 관리했으나 다른 2군 구단들과 마찬가지로 대학팀, 한국실업야구팀과 경기를 가지고 1군 선수들 중 부진한 선수를 내리는 곳에 불과했다. 그후 1987년 9월 3일에 삼성 라이온즈 2군과 창단 첫 공식 2군 경기를 가졌고[4] 1988년에 류영수를 정식 2군 감독으로 선임하면서 본격적인 2군 체제를 만들었다.

2.2. LG 트윈스 시절

1990년에 퓨처스리그가 창설되고 이듬해에 북부리그에 편입되었다. 1993년에 퓨처스리그 북부리그 우승을 달성했고, 경기를 이유로 3팀만으로 구성된 북부리그로 치러진 1997년과 1999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암흑기에 접어들면서 유망주들을 긁어 모았지만 제대로 육성시키지 못해 많은 비판을 받았다.[5] 그리고 구리 LG챔피언스 파크의 낙후된 시설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자 대대적인 개편에 들어갔다.

2014년, 2군 훈련장 및 클럽 하우스경기도 이천시에 위치한 이천 LG챔피언스 파크로 바뀐 뒤에는 2군에서 선수들이 올라오는 등 인프라의 효과를 조금씩이나마 보고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박지규, 안익훈, 양석환, 서상우, 최승준, 채은성, 유강남 등이 있다. 다만 투수쪽은 윤학길을 필두로 코칭스태프가 부족하여 성장이 많이 더딘 상태이다.

그래서 2016시즌부터 구단 측은 2군에 피칭 아카데미를 신설, 이상훈을 원장으로 임명하고 투수 유망주들에 대한 육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피칭 아카데미는 큰 성과없이 2018년을 끝으로 폐지되었고 이상훈 역시 스스로 팀을 떠났다.

차명석 단장이 부임한 이후 빠른 군문제 해결 등으로 체질 개선에 나섰다. 2018년 9월 경찰 야구단에서 퓨처스리그를 완벽하게 폭격하고 전역한 홍창기류중일 감독의 지독한 주전 쓸놈쓸 야구 + 굳건한 주전 외야 4인방 때문에 2019 시즌 내내 퓨처스리그에 머물렀다. 그리고 홍창기는 시즌 후 질롱 코리아를 다녀온 뒤 2020 시즌 자신에게 주어진 기회를 놓치지 않으며 LG의 히트상품으로 발돋움했다. 엄청난 선구안과 컨택 능력을 바탕으로 리그 최고의 리드 오프가 되며 골든글러브까지 수상하는 간판 타자가 되었다. 또 2019 드래프트 대졸 신인 구본혁은 멀티포지션 수비력을 인정받아 1군에서 대수비로 입지를 다졌다.

2020년 북부리그에서 21년만에 우승했다. 김호은, 장준원 등이 두각을 보여 1군에 콜업되어 괜찮은 모습을 보였다. 거포 유망주 이재원이 퓨처스리그 홈런왕이 되었으며 타자 유망주 최대어로 꼽히던 신인 이주형은 부상으로 인해 많은 타석에 나가지는 못했지만 뛰어난 타격 재능을 입증했다. 투수 쪽에서는 손주영이상영이 좌완 선발 유망주로 좋은 모습을 보였고, 남호가 시즌 막판 대체선발로 좋은 모습을 보이며 구멍을 막았다.

2021년 문보경김재성, 이영빈, 이재원, 문성주, 이상영, 임준형 등이 1군으로 올라가고도 여전히 북부리그에서 14연승을 기록하며 7할대 승률로 완벽하게 독주했다. 결국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북부리그 우승을 달성함과 동시에, 상무 피닉스와 승-패가 동률인 상황에서 KIA 타이거즈가 상무를 꺾으며 2년 연속 퓨처스리그 전체 승률 1위를 달성했다. 이 무렵 LG 1군에서는 부진한 베테랑 선호 기조의 야구가 이어지고 2군 선수의 활용이 적어 팬들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2022년 문보경과 문성주, 그리고 이재원이 1군에서 맹활약하며 LG 2군 팜이 LG를 지속 가능한 강팀으로 만드는 원동력임을 완벽하게 입증했다.

3. 여담

파일:6aLGysw.png
여담으로 2008년에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을 꺾은 후에는 구리 챔피언스 파크LG 챔피언스 파크에 저 플래카드가 걸리게 되었다.

그리고 13년 뒤인 2021년엔 손주영을 필두로 국가대표에 2:0으로 앞서가자 엘팬은 '이러고도 올림픽 금메달 따면 손주영 메이저가자!!!', '엘지는 2군이 더 잘한다' 등등의 반응이 있었지만 결국 2:2로 끝났고 대한민국이 금메달은 커녕 동메달도 못따는 변비야구를 보여준 탓에 손주영은 묻혀버렸다.

4. 홈구장

파일:건국대 야구장과 스타시티.png
건국대학교 야구장 (좌), 현재는 자양동 더샵 스타시티 (우)가 세워져 있다.
* 건국대학교 야구장: 1990년[6]
파일:external/image3.inews24.com/1273794244494_1_151828.jpg
* 구리 LG챔피언스 파크: 1991년 ~ 2014년 7월
파일:d1Lhz7I.jpg
* 이천 LG챔피언스 파크: 2014년 7월 ~ 현재

5.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30452><tablebg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2군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rowcolor=#fff> 1대 2대 3대 4대
최정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1984)
류영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감독대행
김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박현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1991)
박용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1996)
<rowcolor=#fff> 5대 6대 7대 8대
김영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1998)
이광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김인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감독대행
김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rowcolor=#fff> 9대 10대 11대 12대 13대
권두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김용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이광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5)
김인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김영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09)
<rowcolor=#fff>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김기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김영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노찬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2013)
김무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조계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rowcolor=#fff> 19대 20대 21대 22대 23대
김동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7)
송구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
황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2021)
김동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이종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rowcolor=#fff> 23대 24대 25대 파일:LG 트윈스 워드마크.svg파일:LG 트윈스 원정 워드마크.svg
황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서용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김정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

파일:23LG 수석코치 김정준.png
<colbgcolor=#c30452><colcolor=#fff> LG 트윈스 No.81
김정준
金廷俊 / Kim Jeongjun
(2024)
2024년 시즌 개막 당시만 해도 서용빈 전 kt 2군 감독을 새로운 2군 감독으로 선임했으나 2024년 5월 13일을 기해 보직 이동 인사가 단행됐고 김정준 1군 수석코치가 신임 2군 감독으로 임명됐다. 이로써 2001년 2군 감독을 맡았던 아버지 김성근과 함께 대를 이어서 LG 2군 감독 역임이라는 최초의 기록을 쓰게 됐다.

6. 역대 성적

연도 소속 리그 팀명 순위 경기수 승률 비고
<colbgcolor=#000000> 1990년 단일리그 LG 트윈스 2군 6위/8팀 62 27 5 30 0.474
1991년 북부리그 4위/4팀 36 13 3 20 0.394
1992년 4위/4팀 36 14 1 21 0.400
1993년 1위/4팀 36 16 8 12 0.571
1994년 2위/4팀 36 16 7 13 0.552
1995년 2위/4팀 60 30 3 27 0.526
1996년 2위/4팀 60 26 8 26 0.500
1997년 1위/3팀 76 41 6 29 0.586
1998년 2위/4팀 60 33 1 26 0.559
1999년 1위/3팀 60 33 5 22 0.600
2000년 3위/4팀 60 27 5 28 0.491
2001년 4위/5팀 60 28 9 23 0.481
2002년 4위/5팀 60 26 6 28 0.481
2003년 4위/5팀 66 28 2 36 0.438
2004년 2위/5팀 72 41 7 24 0.631
2005년 4위/5팀 76 32 6 38 0.457
2006년 2위/6팀 76 45 4 27 0.625
2007년 3위/6팀 84 42 5 37 0.532
2008년 2위/6팀 84 45 6 33 0.577
2009년 3위/6팀 89 45 10 34 0.506
2010년 3위/5팀 102 50 12 40 0.556
2011년 3위/5팀 102 50 9 43 0.490
2012년 5위/5팀 92 34 7 51 0.400
2013년 3위/5팀 92 43 9 40 0.518
2014년 2위/6팀 90 46 10 34 0.575
2015년 블루리그 4위/4팀 90 46 10 34 0.575
2016년 북부리그 3위/6팀 96 47 4 45 0.543
2017년 5위/6팀 95 41 6 48 0.461
2018년 5위/6팀 95 40 7 48 0.455
2019년 2위/5팀 88 39 13 36 0.520
2020년 1위/5팀 75 42 9 24 0.636
2021년 1위/5팀 85 57 6 22 0.772
2022년 2위/5팀 103 56 4 43 0.566
2023년 3위/5팀 89 44 2 43 0.506
2024년 -위/5팀
2025년 -위/5팀

[1] KBO가 2015시즌 퓨처스리그의 각 리그 이름을 블루리그(북부), 레드리그(중부, 신설됨), 옐로우리그(남부)로 정했는데 정작 시즌 들어가면서 해당 명칭은 사라지고 북부/중부/남부리그로 불리게 되었다. 중부리그는 2015년에만 운영되었다.[퓨대기] [퓨대기] 퓨처스리그 대학생 기자단 공식 계정[4] 경기는 MBC 청룡 2군이 패배했다.[5] 게다가 위치인 구리시 일대가 강남과 가까웠기 때문에 상당수의 선수들이 야구에 집중하지 못 하는 현상도 한 몫을 했다.[6] 서울특별시 자양동에 위치했던 야구장으로 경기도 이천시에 위치한 건국대학교 야구장(이종범 야구장)과는 별개의 야구장이다. 현재 자양동 더샵 스타시티의 자리가 당시 건국대학교 야구장의 자리. 잠실 야구장을 사용하려 했으나 잔디를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하지 않았고 구리 챔피언스 파크를 일부 개조하는 시기동안 건국대학교 야구장을 홈으로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