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9 00:03:35
<colbgcolor=#c00d45><colcolor=#f0ad73> #!wikistyle="margin: -5px -10px; "
'''{{{#f0ad73 조선 이조판서}}}[br]정민공(貞敏公)[br]{{{+1 이종백}}}'''[br]'''李宗白''' |
출생 | 1699년(숙종 25) |
사망 | 1759년(영조 35) (향년 60세) |
본관 | 경주 이씨 |
자 | 사경(士庚) |
호 | 목천(牧川) |
시호 | 정민(貞敏) |
부모 | 부: 이형좌(李衡佐) - 충청도·공홍도관찰사 |
배우자 | 초배: 동래 정씨, 정석규(鄭錫圭)의 딸 재배: 광산 김씨, 김종석(金宗碩)의 딸 |
친척 | 백부: 이태좌(李台佐) - 좌의정 사촌형: 이종성(李宗城) - 영의정 사촌동생: 이종적(李宗迪) - 성균관 대사성 |
[clearfix]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경주.
1723년(경종 3) 문과에 급제하였고, 1730년(영조6) 8월 이조좌랑, 동년 12월 이조정랑이 되었다. 1732년(영조 8) 12월 영남감진어사(嶺南監賑御史)로 파견되었고, 1733년(영조 9) 1월 재해가 심하여 대동미와 군포를 감하기를 청하니 영조가 따랐고, 1735년(영조 11) 5월에는 북도(北道)에 범월(犯越)하여 산삼(山蔘)을 채취한 사건으로 40여 인이 사형당하게 되자 모두 죽일 수 없다 하여 등급을 나누어 처결하도록 심리어사(審理御史)로 파견되었다. 동년 12월 공홍도관찰사, 1737년(영조 13) 사간원 대사간을 역임했다. 1738년(영조 14)부터 3차례 성균관 대사성을 역임했고, 1745년(영조 21)부터 수차례 사헌부 대사헌을 역임했다. 1749년(영조 25) 평안도관찰사, 1751년(영조 27) 이조·호조참판, 1752년(영조 28) 도승지, 1756년(영조 32) 경기도관찰사를 거쳐 형조판서를 지냈다. 1757년(영조 33) 호조판서를 거쳐 1758년(영조 34) 8월 이조판서가 되었고, 동년 12월 홍봉한(洪鳳漢)과 함께 관서(關西) 지방 군역(軍役)의 창고를 신칙하고 이정(釐正)하는 구관당상(句管堂上)을 지냈다. 1758년(영조 35) 1월 졸하였다.
1794년(정조 18) 시호를 정민(貞敏)이라 하였다. 1900년(고종 37) 고종은 이종백의 사판(祀版; 위패)에 예관을 보내어 제사를 지내주고 사손(祀孫)은 녹용(錄用)하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