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초대 손원일 | 제2대 박옥규 | 제3대 정긍모 | 제4대 이용운 | 제5대 이성호 | |
제6대 이맹기 | 제7대 함명수 | 제8대 김영관 | 제9대 장지수 | 제10대 김규섭 | |
제11대 황정연 | 제12대 김종곤 | 제13대 이은수 | 제14대 오경환 | 제15대 최상화 | |
제16대 김종호 | 제17대 김종호 | 제18대 김철우 | 제19대 김홍열 | 제20대 안병태 | |
제21대 유삼남 | 제22대 이수용 | 제23대 장정길 | 제24대 문정일 | 제25대 남해일 | |
제26대 송영무 | 제27대 | 제28대 김성찬 | 제29대 최윤희 | 제30대 황기철 | |
제31대 정호섭 | 제32대 엄현성 | 제33대 심승섭 | 제34대 부석종 | 제35대 김정수 | |
제36대 이종호 | 제37대 양용모 | ||||
※ 초대: 해방병단장/조선해안경비대총사령관 · 1대~2대: 해군총참모장 · 2대~현재: 해군참모총장 ※ 27대: 예비역 신분 박탈 | |||||
}}}}}}}}}}}}}}} |
이용운 관련 틀 | |||||||||||||||||||||||||||||||||||||||||||||||||||||||||||||||||||||||||||||||||||||||||||||||||||||||||||||||||||||||||||||||||||||||||||
|
<colbgcolor=#000080><colcolor=#FFF> 출생 | 1914년 |
평안남도 평양부 | |
사망 | 1987년 10월 19일 (향년 73세) |
미국 로스앤젤레스 | |
학력 | 도쿄고등상선학교 (졸업) |
군사 경력 | |
임관 | 특교대 6차 |
복무 | 일본제국 해군 |
1935년 ~ 1945년 | |
대한민국 해군 | |
1949년 ~ 1960년 | |
최종 계급 | 소좌 (일본제국 해군) 중장 (대한민국 해군) |
최종 보직 | 해군참모총장 |
주요 보직 | 해군사관학교 교장, 한국함대사령관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군인. 본관은 안악(安岳).15대 국회의원이였던 이건개가 동생 이용문의 아들이고, 이용운의 조카가 된다.
2. 생애
평양 출생으로, 1934년 도쿄고등상선학교(東京高等商船学校)를 졸업 후, 요코스카 해군포술학교를 수료했다. 이후 연합함대 소속 전함 항해사, 소해정 항해장, 구잠정 정장, 특설운송선 산코마루(三江丸)[1] 선장 등을 맡았고, 소좌까지 진급했다.[2]해방 후 1949년 대한민국 해군에 입대하여 중령으로 임명됐고, 1950년 대령으로 진급했다. 이후 해군사관학교 교장(1953년~1955년), 한국함대사령관(1956년~1959년)을 거쳐 정긍모에 이어 1959년에 중장으로 해군참모총장이 됐고, 1960년 부정축재 의혹으로 사임했다. 후임자는 이성호 제독이었다.
5.16 군사정변 이후 부정축재 혐의로 구속당했다가 해외로 망명했다. 1973년에 김대중 전 대통령이 미국 워싱턴에 망명해있던 당시에 한국민주회복통일촉진국민회의를 창설할 때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1975년 1월 24일자 일본의 주간지 '아사히·저널'에 이용운 명의의 "박 대통령을 규탄하는 수기"(朴大統領を糾弾する手記)가 게재됐다.# 이후 1978년 6월 박정희 정권에 대한 비난을 그만두겠다고 선언했다.
3. 기타
- 동생인 이용문(李龍文)은 대한민국 육군 소속으로 1948년에 육군의 첫 기갑연대장을 지냈다. 당시 한국의 특성상 기병부대가 필요하다여겨 대한학생마술연맹의 승마부원들을 설득해 1949년에 제2기병대대를 창설했다. 1952년에는 수도사단장(현재의 수도기계화보병사단)에 취임했고 남부지구경비사령관으로 재직하던 1953년에 37세로 순국했다. 박정희 대통령과 친분이 깊어 유족들을 박정희가 도와줬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