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14:01:34

이석규(독립운동가)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동명의 인물에 대한 내용은 이석규(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동명의 인물:
이석규(동명이인)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000,#fff> 성명 운동계열 훈격
<colcolor=#000> 강태선 일본방면 건국훈장 애족장 (1990년 수훈)
김영관 광복군 건국훈장 애족장 (1990년 수훈)
오성규 광복군 건국훈장 애족장 (1990년 수훈)
이석규 국내항일 대통령표창 (2010년 수훈)
이하전 학생운동 건국훈장 애족장 (1990년 수훈)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이석규
李錫奎 | Lee Seok-gyu
파일:이석규 애국지사.jpg
창씨명 쿠니모토 샷케이(國本錫奎)[1][2]
출생 1924년 9월 8일 ([age(1924-09-08)]세)[3]
전라북도 전주군 조촌면 동산리
(現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조촌면 동산리)
본관 전주 이씨
배우자 나길수
자녀 2남 3녀
학력 광주사범학교 (퇴학)
서훈 대통령표창 수훈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4. 사건사고

[clearfix]

1. 개요

"내 인생에서 가장 보람찬 순간은 광복"
대한민국독립유공자. 2010년 대통령표창을 수여받았다.

2. 생애

1924년 9월 8일 전라북도 완주군 조촌면 동산리에서 태어났다.

1943년 3월 광주사범학교 재학 중 같은 학교 학생 17명과 함께 무등독서회를 조직하였다. 무등독서회는 월 2회 모임을 갖고 조국독립과 전통 역사관 확립에 힘쓰며, 연합군 상륙시 행동대원으로 봉기할 것 등을 강령으로 삼아 조국의 독립을 위해 노력하였다. 무등독서회는 약 1년 6개월 정도 꾸준하게 활동을 전개하였다. 하지만 1945년 독서회 회원이 붙잡히는 바람에 거사계획이 탄로나 대다수 회원들이 일본경찰에 체포되었다. 그도 역시 1945년 광주경찰서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고, 5월 4일 '사상사건' 피의자라는 이유로 광주사범학교에서 퇴학당하였다.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2010년에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2024년 1월 31일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이 이석규 지사 부부를 위문했으며 2024년 12월 5일에는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가 방문했다.

3. 대중매체

광복회 전북특별자치도지부 전북의 독립운동가 이석규
공훈전자사료관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이석규(李錫奎)

4. 사건사고


[1] 창씨명에 대한 전주 이씨의 경우는 조선 왕실의 일가라 하여 대개 국본(國本), 궁본(宮本), 조본(朝本) 등으로 창씨하였다.[2] 일본의 압력으로 인하여 창씨개명을 하였을 가능성이 높다.[3] 호적상 출생일은 1926년 9월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