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0 23:20:24

이러쿵저러쿵(해리 포터)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파이브돌스의 미니 2집 앨범 타이틀곡}}}에 대한 내용은 [[Club Remix Time To Play]]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Club Remix Time To Play#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Club Remix Time To Play#|]]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파이브돌스의 미니 2집 앨범 타이틀곡: }}}[[Club Remix Time To Play]]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Club Remix Time To Play#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Club Remix Time To Play#|]]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bgcolor=black> 이러쿵저러쿵
The Quibbler
파일:이러쿵 저러쿵.jpg
유형 <colbgcolor=white,#1F2024>잡지
발행 월간
편집장 제노필리우스 러브굿

1. 개요2. 상세

1. 개요

이 학교 학생 모두가 네 인터뷰를 반드시 읽도록 만들기 위해 엄브리지가 할 수 있는 일이 단 하나 있다면, 바로 그걸 금지하는 거야!
- 헤르미온느 그레인저,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에서.
해리 포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공의 언론. 원문 'QUIBBLER'는 '애매한 말을 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상당한 초월 번역. 오역이 난무하던 해리 포터 시리즈 초창기 번역판에서 몇 안 되는 초월 번역 사례로, 번역을 새로 한 20주년 기념판에서도 그대로 채택했다.

2. 상세

루나 러브굿의 아버지인 제노필리우스 러브굿이 편집장인 잡지로, 7권에서 나오는걸 보면 가내수공업식 1인 미디어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자기 집에서 인쇄판을 돌리는 장면이 등장하기 때문. 리타 스키터가 5권에서 기고한 걸 보면 제노필리우스 외에는 정규 필진이 있다기보다는 그때그때 기고를 받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편집장이 전파계인지라 황당무계하기 그지없는 내용들, 더 심하면 리타 스키터의 찌라시 기사보다 더 못한 음모론이 실린다. 한번 읽어본 해리 포터"'시리우스 블랙이 실은 록 그룹의 리드 보컬인 스터비 보드맨'이라는 기사가 그나마 가장 정상인 축에 들어간다"고 평했다. 그야말로 전체적으로 좀 맛이 간 잡지이다. 마법사 세계에서도 제대로 된 언론 취급은 못 받는 듯하다.

하지만 5권에서 헤르미온느의 협박으로 리타 스키터가 작성한 볼드모트 부활에 대한 해리 포터의 인터뷰[1]를 실은 이후로 인지도가 높아진다. 이 탓에 교장 덜로리스 엄브리지"이 잡지를 소지하면 당장 퇴학을 시키겠다"는 조치를 발표하기까지 했지만, 오히려 이 때문에 더 유명해져서 판매량이 늘었으며 특유의 유머 감각으로 인기를 얻었다고 한다. 엄브리지가 무작위로 학생들을 불러세워 책과 주머니를 검사하여 잡아내려고 했음에도 이미 수많은 학생들은 그녀의 머리 꼭대기 위에서 놀고 있었는데, 교실, 복도, 화장실 등 학교 이곳저곳에서 모여 귓속말 등으로 인터뷰 내용을 서로에게 전달하는가 하면, 인터뷰가 실린 페이지를 다른 사람이 읽을 경우 교과서에서 발췌한 내용으로 보이도록 하는 마법을 걸어 놓거나, 다시 읽고 싶어질 때까지 마법으로 내용을 싹 지우기도 했다. 더 웃긴 것은, 명색이 교수라는 사람이 고작 학생들이 해 놓은 마법을 간파해 내지도 못했다는 것.# 교수들은 교육 법령 26조[2] 때문에 이 인터뷰에 대해 이야기할 수 없었지만, 그래도 간접적인 방식으로 해리를 지지해 주었다. 스프라우트 교수는 약초학 수업 시간에 해리가 물뿌리개를 건네준 일로 그리핀도르에 20점이나 주었고, 플리트윅 교수는 일반 마법 수업이 끝난 직후 활짝 웃는 얼굴로 설탕 생쥐 한 상자를 해리에게 몰래 쥐여 줬으며, 트릴로니 교수는 점술 수업 도중 흐느끼면서 해리는 결국 때 이른 죽음을 겪지 않을 것이며 오래오래 살면서 마법 정부 총리가 되고 아이도 열두 명이나 낳을 거라는 덕담 예언을 해 학생들을 놀라게 하기도 했다.

7권에서는 볼드모트마법 정부를 장악한 이후에는 공공연히 "해리 포터를 도와야 한다"고 주장하며, 예언자일보가 침묵하는 사건들을 다루면서 볼드모트에게 대항하는 유일하게 참된 언론으로 자리 잡게 된다. 작중 에드워드 통스더크 크레스웰에게 강력하게 추천하기도 한다. 이때가 역사에 남을 일을 한, <이러쿵저러쿵>의 최전성기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죽음을 먹는 자들이 루나 러브굿을 납치하고 제노필리우스 러브굿을 협박해서 처음으로 해리를 비판하는 기사를 실으려고 하는 찰나, 마침 해리가 제노필리우스 본인의 집에 등장한다. 제노필리우스는 해리를 유인하려다 실패하고, 죽음을 먹는 자들에게 폭발 테러를 시도한 것으로 오인받아 아즈카반으로 잡혀간다. 덕분에 언론으로서의 자존심은 나름대로 지켜진 듯하다.

참고로 문제의 폭발은, 실제로는 제노필리우스가 날린 기절 마법이 빗나가 '굽은뿔 스노캑'[3]의 뿔이라고 굳게 믿던 초 위험물인 에럼펀트의 뿔을 맞추는 바람에 폭발한 것이다.

해리 포터 일행도 굳이 제노필리우스 러브굿을 탓하지 않았다. 볼드모트가 마법사 세계를 완전히 장악한 상황에서 그들의 적인 해리의 편을 든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데도 오히려 그때까지 소신껏 보도한 것이 굉장한 일이다. 게다가 딸이 죽음을 먹는 자들에게 납치된 상황에서 이성적 사고를 하기는 어려웠을 테니. 외려 해리는 딸을 위해 그런 일을 한 제노필리우스의 모습에서 자신을 지키다 돌아가신 어머니 릴리 포터의 모습을 떠올려 차마 공격하지도 못했다. 러브굿의 집을 탈출할 때도 자신의 모습을 대놓고 죽음을 먹는 자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알리바이를 만들어주고, 이후에도 그가 배신하려 했다는 사실을 묻어두어 그의 명예를 지켜주기까지 했다.


[1] 해리 포터,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이름을 말해서는 안 되는 그 사람과 그가 돌아온 날 밤의 진실[2] 죽음을 먹는 자들아즈카반 집단 탈옥 사건 이후 학생들이 해리를 믿는 기색을 보이기 시작하자 엄브리지가 임의적으로 발표한 것으로, 해당 조항의 내용은 이러하다. '현 시간부로 교직원은 급여를 받고 지도하는 과목과 밀접하게 연관되지 않은 어떠한 정보도 학생들에게 전달할 수 없다.'[3] 러브굿 부녀가 존재한다고 믿던 환상의 크립티드 생물. 물론 제노필리우스의 착각에서 비롯된 가상의 생물로, 루나도 훗날 인정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