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7 09:16:03

남아제르바이잔


파일:튀르크 깃발.svg
튀르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민족
<colbgcolor=#f3feff,#649298> 보편 튀르크 <colbgcolor=#f3feff,#649298> 시베리아 돌간인 | 쇼르인 | 알타이인 | 사하인 | 유고족 | 차탕족 | 소요트 | 출름 | 토파 | 투바인 | 하카스인
킵차크 노가이인 | 바시키르인 | 발카르인 | 우룸인 | 카라임 | 카라차이인 | 카라칼파크인 | 카자흐 | 쿠만 † | 쿠미크인 | 키르기스 | 타타르 (립카 타타르 | 크림 타타르)
카를루크 우즈베크 | 위구르
오구즈 가가우즈인 | 살라르족 | 시리아·이라크 튀르크멘 | 아제르바이잔인 | 카슈카이족 | 튀르키예인 | 투르크멘 | 페체네그 † | 호라산 튀르크
아르구 할라지인
오구르 불가르 † | 아바르 † | 추바시인 | 하자르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미승인)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자치 지역 파일:가가우지아 기.svg 가가우지아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나흐츠반 | 파일: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국기.svg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 파일:사하 공화국 국기.svg 사하 공화국 | 파일:중국 국기.svg 신장 위구르 자치구 | 파일:중국 국기.svg 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 | 파일:중국 국기.svg 일리 카자흐 자치주 | 파일:알타이 공화국 국기.svg 알타이 공화국 | 파일:2000px-Flag_of_Chuvashia.svg.png 추바시야 공화국 | 파일: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국기.svg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 파일:카라칼팍스탄 국기.svg 카라칼팍스탄 | 파일: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국기.svg 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 파일:타타르스탄 공화국 국기.svg 타타르스탄 공화국 | 파일:투바 공화국 국기.svg 투바 공화국 | 파일:하카시야 공화국 국기.svg 하카시야 공화국
다수 거주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령 아제르바이잔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Flag_of_the_Bayan-%C3%96lgii.png 바잉울기
사회문화
언어 튀르크어족
신화 쾨로을루 신화 | 텡그리 신앙
외교 및 사상 범튀르크주의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 범투란주의 |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동튀르키스탄 독립운동 | 파일:남아제르바이잔 기.svg 남아제르바이잔 분리독립 }}}}}}}}}

<colcolor=#191919,#dddddd>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da0000><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장
역사 역사 전반(페르시아) · 엘람 · 메디아 · 아케메네스 왕조 · 파르티아 · 사산 왕조 · 다부이 왕조 · 알라비 왕조 / 타히르 왕조 / 사파르 왕조 · 지여르 왕조 / 사만 왕조 / 부와이 왕조 / 가즈니 왕조 / 살라르 왕조 / 카쿠이 왕조 / 고르 왕조 · 일 칸국 · 추판 왕조 / 잘라이르 왕조 / 인주 왕조 / 무자파르 왕조 / 카르트 왕조 · 티무르 제국 · 마라시 왕조 / 백양 왕조 / 흑양 왕조 · 사파비 제국 · 아프샤르 왕조 / 잔드 왕조 · 카자르 왕조 · 팔레비 왕조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라흐바르 · 이란 대통령 · 이란 부통령(이란 제1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이슬람 협력기구 · 상하이 협력 기구 · BRICS
경제 경제 전반 · 이란 리알 · 넥스트 일레븐
사회 사회 전반 · 콩쿠르
국방 이란군 · 이란 해군 · 이란 공군 · 이란 방공군 · 이슬람 혁명 수비대 · 바시즈 · 이란군/차량 · 이란군/기갑차량
문화 문화 전반 · 이란 신화 · 조로아스터교 · 노루즈 · 샤나메 · 요리 · 라바시 · 이란/성문화 · 12이맘파 · 이란/스포츠 · 이란 영화 · 이란/여행 및 출장 정보 · 관광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 페르시아어 · 할랄 인터넷 · 이란 방송 · 공휴일/이란
인물 키루스 2세 · 다리우스 1세 · 수레나스 · 샤푸르 1세 · 샤흐르바라즈 · 알 라지 · 오마르 하이얌 · 니잠 알 물크 · 이스마일 1세 · 아바스 1세 · 나디르 샤 ·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 · 알리 하메네이
지리 이란고원 · 자그로스 산맥 · 엘부르즈 산맥 · 루트 사막 · 카비르 사막 · 페르시아만 · 호르무즈 해협
민족 이란인 · 이란계 미국인 · 아르메니아계 이란인 · 페르시아 유대인 · 이란계 독일인 · 이란계 프랑스인 · 이란계 러시아인
}}}}}}}}} ||

1. 개요2. 상세3. 분리주의

1. 개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istributionOfAzerbaijanisMap.png
아제르바이잔(갈색) 이남 연한 회갈색으로 칠해진 이란 서북부 지역이 남아제르바이잔이다.
페르시아어: آذربایجان ایران
아제르바이잔어: گونئی آزربایجان / Güney Azərbaycan
영어: iranian azerbaijan, persian azerbaijan, south azerbaijan

아제르바이잔과 접해 있는 이란 서북부 아제리인 지역. 이란령 아제르바이잔 또는 발음 차이로 '아자르바이잔(azarbaijan)'이라고도 부른다. 중심지는 타브리즈다.

2. 상세

페르시아 서북부 지방이자 훗날 오우즈 투르크의 한 지파인 아제르바이잔인(아제리인)들이 정착한 후 흑양 왕조사파비 왕조의 첫 발흥지이기도 하다.

카자르 왕조까지는 원래 아제르바이잔 대부분이 페르시아의 세력권이었으나 1813년 러시아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한 후 러시아에게 지금의 카프카스 일대를 넘기게 되었고 아제르바이잔도 둘로 나뉘어 북쪽은 러시아령이 되어 지금의 아제르바이잔이 되었으며 남쪽은 이란이 그대로 차지하여 지금의 남아제르바이잔으로 남았다.[1]

제2차 세계 대전 와중에 소련영국과 같이 페르시아를 점령하면서 남아제르바이잔 일대에 아제르바이잔 인민정부를 수립했지만 국제사회의 압력으로 소련군이 철수하고 이란군이 남아제르바이잔을 접수하면서 남아제르바이잔은 다시 이란령으로 남게 되었다.

이란령 아제르바이잔은 서아제르바이잔과 동아제르바이잔으로도 나뉘는데 실제로 서아제르바이잔 주, 동아제르바이잔 주, 아르다빌 주로 구성되어 있고, 잔잔 주는 간혹 포함되기도 한다. 이란령 아제르바이잔에 속하는 4개 주의 면적은 12만 2,660km², 인구는 2016년 인구조사 기준 9,502,752명으로 이란 면적의 7.4%, 인구의 약 12%를 차지한다.

3. 분리주의

파일:남아제르바이잔 기.svg
남아제르바이잔의 자결권을 주장하는 조직 SANAM(Southern Azerbaijan National Awakening Movement)의 깃발. #

문자는 페르시아 문자를 쓰기 때문에 혼동될 수 있으나 언어적으로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아제르바이잔어를 쓰고 있고 독립국 아제르바이잔과의 교류가 많기 때문에 이런저런 제약을 받는 이란의 일부로 있을 바에 아제르바이잔 공화국과 통합하는 것이 더 낫다는 분리주의 여론이 존재하는 편이다.

재밌는 점은 튀르키예도 서아제르바이잔 주의 극서부 국경 지대 일부를 튀르키예 영토라며 영유권을 주장하는데 튀르키예인들도 사는 동네이기도 하고 압뒬하미트 2세 당시 러시아 제국과의 전쟁에서 같은 시기에 상실한 카르스, 아르다한은 공화정 수립 이후 되찾았지만 이 지역은 여전히 이란령으로 남아 있어서 그렇다. 신오스만주의 성향이 강한 현 정부의 성향상 마찬가지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상실한 북시리아, 북이라크에 대한 영유권 주장과 비슷한 이유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이란 정부는 물론이고 튀르키예아제르바이잔 정부에서도 공식적으로 남아제르바이잔 독립운동을 지원하지 않고 있다. 남아제르바이잔 독립운동을 지원할 경우 튀르키예와 이란에 걸쳐 사는 쿠르드족에게 독립 명분을 주는 것이나 마찬가지고 튀르키예는 합심해서 쿠르드족에 대한 독립운동을 막는다는 점[2]에서 이란과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는 상황인데 남아제르바이잔 분리운동에 지원을 보낸다면 뒷감당을 하기가 매우 힘들어지기 때문이며 아제르바이잔 입장에서 불만이 있다고 해도 이란에서 아제리인에 대한 별다른 탄압이나 차별대우가 없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다. 무엇보다 지금 이란의 최고지도자 알리 하메네이도 아제리인이다.

물론 아제르바이잔도 좋아서 분리운동을 지원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애뷜패즈 엘치배이 정권 시절에 남아제르바이잔 분리주의 및 남아제르바이잔과의 통일에 대해 지지를 표명하였다가 그간 중립을 유지하던 이란이 친아르메니아로 돌아선 여파로 전쟁에서 대차게 망해 영토도 상실한 트라우마가 있는데 이때 이란을 자극해서 전쟁에 관여시켜 봐야 좋을 게 없다는 걸 경험했기 때문이다.[3][4]

그리고 현재 아제르바이잔은 소수 우익계열들만 제외하면 딱히 크게 남아제르바이잔을 비롯하여 남아제르바이잔과 접한 인근 일대들의 영유권을 주장하지 않는데[5], 이는 현재도 남아제르바이잔이 아제르바이잔과 접한 이란 서북부 등 타브리즈 일대에 위치해 있다는 점만 빼면 내부의 구분되는 범위조차 구체적으로 명확이지 않기 때문이다.[6] 그래서 일부 아제르바이잔 보수파 및 우익들은 이란 서북부는 물론 이라크 북부까지 남아제르바이잔 영역이었다고 주장하기도 하며[7], 또다른 지도에서는 서남쪽으로 이라크 쿠르디스탄과 접하지 않고 서아제르바이잔 동남부까지 표기한 영역 버전들도 있다 #.

심지어 남아제르바이잔은 아제르바이잔인과 페르시아인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소수민족들도 거주한다.[8] 애초에 '아제르바이잔'이 아제르바이잔 건국 이전 이란 서북부를 가리키는 명칭이기도 했고[9], '남아제르바이잔' 명칭도 소련이 만들어낸 단어였다. 이걸 소련 붕괴 후 아제르바이잔이 역사적 근거를 내세우면서 남아제르바이잔 분리 및 통일 여론으로 발전된 것이다.

게다가 분리주의를 주장해도 아제르바이잔 및 튀르키예와의 통합까지 바라는 사람들도 많지 않아서 무조건 서로 잘 맞는 것도 아니다. 남아제르바이잔은 주로 이란과 같이 있었기에 이란의 영향이 더 크고, 이념적으로도 보수주의에 가까운 반면, 아제르바이잔은 러시아, 소련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남아제르바이잔에 비해 더 진보적이고 세속적이다.
[1] 우습게도 아제르바이잔 역사의 중심지는 오늘날의 타브리즈 일대였다.[2] 이란 입장에서는 남동부의 발루치족들의 분리독립도 철저히 막으려고 하는 등 소수민족 분리독립을 우려하는 상황이다.[3] 2020년 전쟁에서 아제르바이잔이 아르메니아로부터 영토를 다시 찾을 수 있었던 것은 러시아와 이란이 코로나19로 인해 골골거리던 상황이었고 국제법상으로는 아제르바이잔 땅이라 대놓고 개입하기 난감했기 때문이다.[4] 때문에 2020년대 와서 아제르바이잔은 이란을 버리고 사실상 이스라엘과 외교적 우호를 더 가까이 하면서 이스라엘군까지 아제르바이잔 공군기지에서 훈련을 하고 있으며, 이란이 지원하는 아르메니아는 아제르바이잔과 전쟁에서 패해 나고르노카라바흐를 모조리 빼앗겼다. 덕분에 아제르바이잔에선 튀르키예나 이스라엘에 더 우호적인 여론이 늘어났다.[5] 남아제르바이잔 분리독립 및 통일을 주장했던 옛날에도 남아제르바이잔과 접한 인근 지역까지 영유권을 주장하지 않았다.[6] 예를 들면 남쪽의 잔잔주는 간혹 남아제르바이잔으로 보기도 하는 정도이며, 대부분 공식적으로 보는 잔잔주를 제외한 아르다빌, 동아제르바이잔, 서아제르바이잔을 합친 영역 또한 대체로 그렇게 보는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7] 다만 이라크 북부 영유권은 확대해석인데, 아제르바이잔어도 쓰는 투르코만들이 있었지 이라크 북부까지는 아제르바이잔의 영역이었던 적이 없다[8] 실제로 코르데스탄에 이어 남아제르바이잔 지역-이라크 쿠르디스탄-튀르키예 국경 일대(남아제르바이잔 극서부)에도 쿠르드족들이 많이 거주한다.[9] 지금도 이란은 남아제르바이잔을 아제르바이잔이라고 부르며, 북쪽의 국가인 아제르바이잔은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이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