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9 20:26:16

용인도시공사

이던하우스에서 넘어옴
기업개요
파일:용인도시공사 로고.svg
정식명칭 용인도시공사
영문명칭 Yongin Urban Corporation
공사·공단통합일 2011년 3월 31일
지방공사 설립일 2003년 6월 13일
시설관리공단 설립일 1999년 5월 26일
설립목적 도시개발사업, 주택건설사업, 위/수탁사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기업형태 지방공기업
홈페이지
1. 개요2. 상세3. 업무4. 부채5. 주요사업
5.1. 아파트5.2. 도시개발사업5.3. 산업단지개발사업5.4. 용인시 관내시설

1. 개요

경기도 용인시지방공기업. 본사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금령로47 (김량장동 254-137)에 있다. 참고로 해당 건물은 과거 용인시의회 건물로 쓰였던 건물이다. 용인시청이 행정타운으로 옮겨간 이후 용인시의회도 같이 옮겨갔고, 그 건물을 그대로 용인도시공사가 사용 중이다. 바로 앞이 과거 용인시청 건물로 쓰였던 처인구청이 위치한다.

2. 상세

분당신도시의 배후 택지지구로 용인시 수지구기흥구 지역이 급성장했는데 체계적인 계획 없이 무분별하게 올라간 터라 난개발 문제가 심각했다. 그래서 용인시청에서 시의회의 동의를 얻어 도시계획을 다시 세우고 기반시설 확충 및 체계적인(...) 택지지구 개발을 위해 세운 지방공기업이 바로 이 용인도시공사이다.

지방공기업임에도 독단적으로 행정안전부의 지시를 무시하고 역북지구 개발을 위한 지방공사채를 과다 발급했다가 행정안전부로부터 6개월간 지방공사채 발급을 제재받는 사태가 일어나기도 했다.기사 2012년 용인도시공사는 정부로부터 차환 1,800억원과 추가발행 100억원 등 총 1,900억원의 공사채 발행을 승인받았지만 기존 한도에 포함되지 않은 토지보상채권 상환을 위해 400억원을 추가 발행해 승인 받은 범위(100억원)를 300억 초과한 것이다.

문제가 확대된 건 이 경고를 무시하고 800억원대의 지방공사채를 추가 발급한 것. 기사 이 역북지구 사업자 선정 자체도 짜고 치는 고스톱 의혹을 받고 있다. 기사

토지매각 특혜 의혹과 관련해서 비리 정황이 포착되었다. 기사

기초자치단체 산하 도시개발공사 설립 순서로는 2001년 김포도시공사에 이어서 두 번째이며, 상당히 빠른 편에 속한다. 2014년 11월 기준으로 수원시창원시[1] 등도 도시개발공사가 없다. 도시개발공사가 없으면 독자적인 도시개발이 어려운[2] 단점이 있다. 원래는 용인지방공사였으나 2011년 3월 31일 용인시설관리공단을 합병하여 1임원 2본부 11개팀 부서로 출범하여 용인도시공사로 개편되었다.

2022년 3월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부터 공인된 인증기관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 웹 접근성 인증 평가원 지정 인증심사기관의 웹 접근성 품질인증을 3년 연속 획득했다. 웹 접근성 품질은 장애인이나 고령자 등 정보취약계층이 홈페이지의 각종 서비스를 차별 없이 접근 및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제도다. 처음 인증은 2020년도부터 웹 접근성 인증을 받았다.

3. 업무

예전 용인지방공사와 용인시시설관리공단에서 맡았던 업무들을 포함한다. 도시개발사업으로 흥덕지구, 기흥역세권개발, 역북지구, 용인시 구역 광교신도시, 용인시 도로건설사업 등의 역할을 맡고 있으며 용인플랫폼시티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산업단지 조성사업, 관광단지 조성사업 등을 수행하며 주택의 건설, 개량, 임대 관리와 국가 및 용인시의 위탁[3]사업·시공감리 등과 함께 기존의 시설관리공단이 수행해 오던 시설들을 관리한다.

4. 부채

여타 기초자치단체지방공기업에 비해서 이 많았다. 2011년 회계연도 기준 3300억원의 빚을 끌어안고 있으며, 용인시가 재정난이라는 것은 보통 이 용인도시공사의 빚을 두고 하는 말이다. 심심하면 한번씩 씹힌다. 기사

2016년 드디어 용인도시공사는 1천900억원 금융부채를 전부 상환해 부채비율을 100%대로 낮추었다. 기사

5. 주요사업

5.1. 아파트

자체적인 아파트 브랜드인 이던하우스가 있다.

5.2. 도시개발사업

5.3. 산업단지개발사업

5.4. 용인시 관내시설


[1] 창원에는 경남개발공사가, 수원에는 경기도시공사가 위치한다.[2] 어려운 것이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3] 종량제물품 판매 주문시스템 사업 수탁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