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3 13:09:40

이고르 제주스

파일:보타포구 FR 로고.svg
보타포구 FR 2025 시즌 스쿼드
3 L. 하우테르 · 4 M. 폰테 · 5 다닐루 · 7 아르투르ㆍ8 파트리키 · 10 사바리노 · 11 JR 산투스
12 ㆍ13 텔리스 · 15 바스투스 · 16 우구 · 17 마를롱 프레이타스 · 18 에메르송 우르수 · 20 바르보사
21 마르사우ㆍ22 비티뉴 · 23 파블루 · 25 카우에 · 26 그레고리 · 28 알랑 · 30 루카스 바헤투
32 하코브ㆍ33 에두아르두 · 35 브레누 · 37 마르칭스 · 39 장데르송 · 44 세고비아 · 47 제피뉴
52 이구 가브리에우ㆍ75 하이 · 77 D. 에르난데스 · 90 M. 나시멘투 · 97 하우우 · 99 이고르 제주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헤나투 파이바
<colcolor=#fff>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타 팀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 보타포구 FR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파일:이고르 제주스 보타포구 FR.png
<colbgcolor=#000000> 보타포구 FR No. 99
이고르 제주스
Igor Jesus
본명 이고르 제주스 마시에우 다 크루스
Igor Jesus Maciel da Cruz
출생 2001년 2월 25일 ([age(2001-02-25)]세)
브라질 마투그로수쿠이아바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브라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9cm
포지션 스트라이커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000000><colcolor=#fff> 유스 코리치바 FC (2015~2019)
선수 코리치바 FC (2019~2020)
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 (2020~2024)
보타포구 FR (2024~ )
국가대표 4경기 1골 (브라질 / 2024~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스타일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브라질 국적의 보타포구 FR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스트라이커.

2. 클럽 경력

브라질에서 커리어를 시작했지만 크게 주목받는 선수는 아니였고 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에 어린 나이에 이적을 해 약 4년반 정도를 뛰면서 아랍에미리트 프로 리그에서는 크게 주목 받는 선수가 됐다. 아랍 에미리트는 5년 이상 뛸 경우 외국인 선수도 귀화 조건이 되기에 아랍 에미레이트에서 귀화의 가능성이 점쳐졌으나 당시 계약이 반년 밖에 안 남았고 선수가 브라질로 복귀할 의지가 강해 결국 보타포구로 이적하게 된다.

보타포구로 이적한 이후에는 브라질 리그 내에서도 나름 저명한 공격수로서 활약하면서 국가대표팀에도 발탁되는등 재기에 성공한 축구 인생을 살고 있다.

3. 국가대표 경력

브라질 내에서는 평범한 선수였다보니 소위 엘리트 선수들이 밟는다는 연령별 대표팀 이력이 전혀 없는 선수이다. 아랍 에미레이트에서 5년을 채울 경우 귀화 가능성도 높게 점쳐졌고 아랍 에미레이트 측에서도 이를 고려했다고 알려졌지만 선수가 5년을 채우지 않고 브라질로 복귀하면서 이는 무산됐다.

이후 브라질 리그에서의 활약덕에 2024년 10월 드디어 성인 국가대표팀에 발탁되는데 성공했다. 데뷔전인 칠레전에서 골을 뽑아내며 그야말로 브라질리언 드림의 성공을 만끽했고 그 다음 경기인 페루전에서도 어시스트를 기록하면서 현재 최전방 자원들의 부진 및 부족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브라질 대표팀에게 새로운 옵션이 될 전망으로 보인다.

4. 플레이스타일

브라질 전통 9번 계보를 이을 수 있을지 많은 관심이 쏠리는 선수로, 제주스 전까지 주전이였던 히샬리송과 상당히 유사한 플레이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다만 히샬리송과 다르게 축구 지능도 좋고 빌드업에 관여를 해줄 수 있는 현대적인 9번 유형의 선수이다. 볼 터치도 좋은 편이고 홀드업 플레이가 가능한지라 전술적으로 가치가 상당히 높은 선수이다.

제주스의 장점은 성실한 압박과 넓은 활동량을 통해 상대 진영에 계속해서 부담감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득점력이나 경합 능력이 제주스의 장점은 아니다. 피지컬은 스트라이커 치고 큰 편은 아니지만 체구가 단단한 편에 속해 버티고 넘겨주는 플레이가 가능하긴 하지만 제주스는 경합보다는 미친듯한 압박을 통해 자신의 부족한 경합 능력을 메꿔주는 편이다.

전임자인 히샬리송과 유사하게 오프더볼도 좋은 축에 속한다. 제주스는 피지컬도 좋지만 축구 지능도 좋은 축에 속해 상대 수비를 낚는 유형의 오프더볼 움직임을 매우 잘 가져간다. 공간에 침투해 압박을 주기도 하고 볼 간수를 통해 수비를 끌어내어 전방에 있는 다른 동료들에게 공간을 내어주는데도 능하다. 비상시에는 윙어로 뛸 수도 있을만큼 주력도 있는 편이다. 박스 안에 공간도 잘 잡고 볼을 귀신 같이 잘 받아주는 능력은 브라질 리그 내에서도 탑급에 속한다.

단점을 꼽자면 최전방 스트라이커임에도 공중볼 경합에 약한 편이라 반드시 개선할 필요가 있다. 피지컬은 좋은데 아직까지 피지컬을 전부 활용할줄 모르는 유형의 선수기에 이 부분은 선수가 급성장을 하는만큼 개선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낟.

5. 여담

파일:이고르 제주스 세레머니.jpg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72A> 파일: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19).svg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753A> 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1 웨베르통
Weverton
1987년 12월 13일 ([age(1987-12-13)]세) 10 0 파일:브라질 국기.svg SE 파우메이라스
12 벤투
Bento
1999년 6월 10일 ([age(1999-06-10)]세) 2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23 루카스 페리
Lucas Perri
1997년 12월 10일 ([age(1997-12-10)]세) 0 0 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리옹
DF 2 반데르송
Vanderson
2001년 6월 21일 ([age(2001-06-21)]세) 5 0 파일:프랑스 국기.svg AS 모나코 FC
3 루카스 베랄두
Lucas Beraldo
2003년 11월 24일 ([age(2003-11-24)]세) 3 0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4 마르퀴뇨스 파일:주장 아이콘.svg
Marquinhos
1994년 5월 14일 ([age(1994-05-14)]세) 97 7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6 길례르미 아라나
Guilherme Arana
1997년 4월 14일 ([age(1997-04-14)]세) 13 0 파일:브라질 국기.svg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13 웨슬리
Wesley
2003년 9월 6일 ([age(2003-09-06)]세) 2 0 파일:브라질 국기.svg CR 플라멩구
14 무릴루
Murillo
2002년 7월 4일 ([age(2002-07-04)]세) 1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노팅엄 포레스트 FC
15 레오 오르치스
Léo Ortiz
1996년 1월 3일 ([age(1996-01-03)]세) 2 0 파일:브라질 국기.svg CR 플라멩구
16 알렉스 산드루
Alex Sandro
1991년 1월 26일 ([age(1991-01-26)]세) 40 2 파일:브라질 국기.svg CR 플라멩구
MF 5 주앙 고메스
João Gomes
2001년 2월 12일 ([age(2001-02-12)]세) 10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8 에데르송
Éderson
1999년 7월 7일 ([age(1999-07-07)]세) 3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17 조엘린통
Joelinton
1996년 8월 14일 ([age(1996-08-14)]세) 7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18 안드레
André
2001년 7월 16일 ([age(2001-07-16)]세) 12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21 마테우스 쿠냐
Matheus Cunha
1999년 5월 27일 ([age(1999-05-27)]세) 13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FW 7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Vinícius Júnior
2000년 7월 12일 ([age(2000-07-12)]세) 39 6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
9 주앙 페드루
João Pedro
2001년 9월 26일 ([age(2001-09-26)]세) 3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10 호드리구
Rodrygo
2001년 1월 9일 ([age(2001-01-09)]세) 33 7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
11 하피냐
Raphinha
1996년 12월 14일 ([age(1996-12-14)]세) 33 11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19 엔드릭
Endrick
2006년 7월 21일 ([age(2006-07-21)]세) 14 3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
20 사비뉴
Savinho
2004년 4월 10일 ([age(2004-04-10)]세) 13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22 이스테방 윌리앙
Estêvão Willian
2007년 4월 24일 ([age(2007-04-24)]세) 4 0 파일:브라질 국기.svg SE 파우메이라스
일정 2026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2025년 3월 21일(금)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2025년 3월 26일(수) 원정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3월 26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