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19:09:02
}}}}}}}}} ||독일군 과 벨기에군 등에 존재하는 군종 이다. 완전히 새로운 군종은 아니고 육해공 산하의 의무부대 들을 통합 관리하기 위해 하나로 통합시켰다. 한국식 군대 표현을 따른다면 합동의무군이 적절할 것이다. 의무군 Zentraler Sanitätsdienst | Joint Medical Service 상징 문양 <colbgcolor=#336699> 창설년도 2000년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속 독일 연방군 군종 의무군 병력 20,000명 의무사령관
부대 규모는 2만 명 수준이며 기존의 육군, 해군, 공군의 지휘계통과는 별개로 의무군사령관의 지시를 받는다. 각 군의관 이나 간호장교 등이 소속된 부대의 지휘관 에게 억눌리지 않고 자유롭게 자신의 의료 견해를 제시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평가된다. 사령관은 육해공군 의무 병과 장교가 임명되며 진급 상한선 은 중장 이다. 연방군총감 의 경우에는 군수군 이나 의무군에서는 임명되지 않는다.군복 은 출신 군의 규정을 그대로 따르나 계급체계의 경우는 장교의 경우 별도의 계급표기를 사용한다. 육군 출신 장교들의 예를 들면, 전투병과 영관급 장교는 소령(Major) - 중령(Oberstleutnant) - 대령(Oberst)으로 표시하지만 의무군 소속의 영관급은 직무에 따라 의사(Oberstabsarzt - Oberfeldarzt - Oberstarzt), 약사(Oberstabsapotheker - Oberfeldapotheker - Oberstapotheker) 등으로 표기한다.
의무구성군 Medische Component | Composante médicale Medical Component 의무구성군 엠블럼 창설년도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기에|{{{#!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기에}}}{{{#!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주임무 의무 소속 벨기에군 군종 의무군 전력 2,000명
인원은 2천명 수준이며 소장 이 총사령관으로 보임된다.
미국 공공보건임무단 와 비슷해 보이지만 여기는 군인 이 아니라 보건소 가 할 일을 하는 곳이다. 의무군사령관은 대한민국 국군 의 국군의무사령관 과 비슷하지만 다른 점은 육군참모총장 이나 해군참모총장 , 공군참모총장 등 각 군 최선임들과 동급으로 대우받는다는 것이다. 의무 병과 육군 장성들은 일반 장군들의 붉은 바탕 장군기와 다르게 바탕색이 마룬색이다. 한국에서도 창설 시도가 있었다. 김록권 장군 시절에 의무사령관을 중장으로 보임함으로써 의무군처럼 국군의무사령부를 확대개편하는 방안을 고려하였으나 실현되지는 않았다. 현재는 의무사의 규모가 축소되어 해체 되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