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5 15:46:41

은장기공 오디안

은장기공 오디안 (2000)
銀装騎攻オーディアン
Platinumhugen Ordian
파일:attachment/platinum_hugen_ordian.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거대로봇
원작 PLUM
오오바리 마사미
아사이 켄고(浅井健吾)
이시다 아츠코
감독 오오바리 마사미
시리즈 구성 아사이 켄고
캐릭터 원안 이시다 아츠코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사이 후미히데
메카닉 디자인 오오바리 마사미
코토부키 츠카사
스즈키 츠토무(鈴木 勤)
림휴건 컨셉 디자인 진구지 노리유키(神宮司訓之)
프로덕션 디자인 마미야 나츠키(まみやなつき)
미술 감독 카토 토모노리(加藤朋則)
미술 설정 히라사와 아키히로(平沢晃弘)
색채 설계 이토 유키코(伊藤由紀子)
촬영 감독 이케가미 모토아키(池上元秋)
음향 감독 와타나베 준(渡辺 淳)
음악 오오모리 토시유키(大森俊之)
프로듀서 이케다 신이치(池田慎一)
나가이 오사무(永井 理)
애니메이션 제작 플럼(プラム)
제작 오디안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00. 04. 04. ~ 2000. 09. 19.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WOWOW / (화) 19: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투니버스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24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9세 이상 시청가
}}}}}}}}}}}} ||

1. 개요2. 줄거리3. 특징4. 등장인물5. 설정
5.1. 등장 메카(림휴건)5.2. 리메이크
6. 주제가
6.1. OP6.2. ED16.3. ED2
7. 회차 목록8. 해외 공개
8.1. 대한민국
9. 평가
9.1. 장점9.2. 단점

[clearfix]

1. 개요

2000년도에 방영한 24화 완결의 일본 로봇/메카닉 애니메이션. WOWOW, 요미우리 광고사, 프라임 디렉션이 제작에 참여했다. 감독은 오오바리 마사미이며 스토리나 세계관 원안 제공자는 이시다 아츠코이다. 그래서 사실 액션이나 작화 외에는 오오바리 특유의 작품색이 별로 없는 작품이다. 이시다 아츠코의 작품이라 봐야할 것이다.

외전으로 '은장기공 오디안 ORO[1]'가 있으며, 전 2권으로 완결되었다. 한국에도 정발.

2. 줄거리

고교 중퇴생인 카나나세 유우는 자신과 같은 불량서클에 있던 선배 타치바나 료우가 군인이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 후 본인은 제대로 사람구실을 하기위해서 불량서클을 탈퇴하고 타차바나 료우가 소속된 부대로 입대를 하게된다.

그곳에서 첫 림휴건 탑승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실력을 보여주며 엘리트반인 4반으로 편입되기에 이르렀으나 전용기 배속 후 제대로 된 운용 한번 없이 바로 실전에 투입되게 되었다. 이 게릴라전에서 같은 4반인 울프에릭마이어를 제외한, 선배 타치바나와 동료 전원이 사망하게 된다. 본인 역시 구동 자체가 불가능해진 림휴건 때문에 몇번이고 살해될 위협을 겪다, 장교들을 위협한 병사들의 요청에 의해 정글에 폭탄이 투하됨으로써 결국 끝을 맞이한다.

이 과정에서 전쟁과 폭력에 정나미가 떨어진 유우는 4반의 동료들과 함께 부대를 떠나게 되지만 그에게 있는 어떠한 요소가 있음이 드러나며, 다시 부대로 끌려 오게 된다.[2] 주동자로서 부대에 구속되어 있었지만, 국제적 테러리스트가 부대로 침입함에 따라 다시금 전장에 투입되게 된다. 놀라운 실력을 보여주며 테러리스트들을 제압한 울프와 그런 울프를 보조하던 유우. 하지만 유우는 전쟁과 높으신 분들에 의해 희생되었다 국제적 범죄자가 된 테러리스트에 공감하며 그의 사살을 거부하다 아군의 오발로 인해 쓰러지고[3] 울프는 그런 상황에서 지휘관을 사살한다.

유우는 부대에서 치료를, 그리고 외국 중요가문의 일원이었던 울프는 외국의 자택[4]에 연금되지만, 그곳에서 본래의 자신을 깨닫고 거대한 흑수 림휴건 로키를 이끌고 본부를 습격하게 된다. 그리고 그에 공명하듯 본부의 플래티넘휴건 오디안이 각성하고, 카오리의 희생과 함께 울프를 잠시간 물리치게 되었지만...

3. 특징

캐릭터 디자이너 및 주된 작화감독, 전투신 제작자는 천재 애니메이터 사이 후미히데로 작화는 매우 뛰어난 작품에 들어간다. 이토 코지, 마츠시마 아키라, 칸노 토시유키, 사이토 요시나리, 타케우치 시호도 참여했으며, 카네코 히라쿠의 원화 데뷔작이기도 하다.

참고로 북구신화에서 일정부분의 모티브를 따왔다. 라그나로크라는 암호명과 울프 에릭마이어라는 적 캐릭터의 가명, 궁그닐이라는 결전병기급 캐논. 애초에 오디안은 오딘이라는 이름을 한번 꼰 것이다.

4. 등장인물

5. 설정

5.1. 등장 메카(림휴건)

5.2. 리메이크

일종의 신체재구성을 의미한다. 주로 신경에 관련된 것으로 죽은 사람의 신경을 컴퓨터 프로그램 등으로 이식하는 것도 가능. 실제로 과학자인 카나나세 마사키는 자신이 리메이크해 되살린 여성 힐다와 사랑에 빠져 어떤 방식인진 알 수 없지만 애까지 낳았다. 그 아이가 주인공인 카나나세 유우.

반대로, 인간의 신경을 컴퓨터프로그램처럼 재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이용하면 마찬가지로 인간의 신경계를 모델로 한 림휴건의 조종은 손쉬운 일이 되는 듯. 이러한 용법 외에도 아예 기존의 인격 위에 이러한 리메이크를 덧씌울수도 있다. 다만 울프나 유우, 그리고 이외 리메이크와 관련된 이들 모두 본래의 인격이 사라지지는 않은 것으로 보아 두 인격이 한 몸에 공존하는 정도인 모양. 그렇다고 해서 단순히 양자가 대화하는 수준만은 아니고 다른 일방에 행동을 강요할 수 있을 정도의 영향력은 미칠 수 있게 된다.

6. 주제가

6.1. OP

OP
侵略-the Chariots VII-
TV ver.
Full ver.[11]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OZWORLD
작사 히구레 카즈히로(日暮和広)
작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오오바리 마사미
연출
메카 작화감독
작화감독 사이 후미히데
원화 이시하마 마사시, 스가누마 에이지, 사토 마사히로, 타치바나 히데키, 사쿠라이 치카라, 소토자키 하루오, 타케다 이츠코, 마츠다 소이치로, 스즈키 신고, 오오바리 마사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6.2. ED1

ED1
永遠のRemake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코바야시 유미(小林優美)
작사 쿠스노키 미유(柚木美祐)
작곡 오오모리 토시유키(大森俊之)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엔딩 애니메이션 이시다 아츠코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6.3. ED2

ED2
ツイオク〜only eternity〜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타카에스 미키(高江洲美紀)
작사 Knight
작곡 오오모리 토시유키(大森俊之)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엔딩 애니메이션 이시다 아츠코, 코토부키 츠카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7.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MISSION-01- -胎動のしらべ-
태동의 조사
아사이 켄고
(浅井健吾)
오오바리 마사미 사이 후미히데[C]
오오바리 마사미[M]
日: 2000.04.04.
韓:
MISSION-02- -隔たり、ただ高く-
간격, 그저 높이
나가타 마사미
(永田正美)
사토 오사무
(佐藤 修)
나가타 마사미
시게마츠 신이치[M]
(重松晋一)
日: 2000.04.11.
韓:
MISSION-03- -満ちる月-
달이 차는 밤
사토 히데카즈 소토자키 하루오 日: 2000.04.18.
韓:
MISSION-04- -黄金たる夢をともに-
황금같은 꿈과 함께
사토 타쿠야 오오시타 히로시
(大下弘志)
타카노리 요코
스즈키 츠토무[M]
(鈴木 勤)
日: 2000.04.25.
韓:
MISSION-05- -絶対知の他人-
절대지의 타인
나카자와 카즈토 武真悟 日: 2000.05.02.
韓:
MISSION-06- -狂気の海、渦中へ-
광기의 바다 와중에
카와사키 히로유키 키무라 류이치
오오바리 마사미
나가하마 노리히코
(ながはまのりひこ)
미노와 사토루
(箕輪 悟)
日: 2000.05.09.
韓:
MISSION-07- -或いは正義と-
어쩌면 정의와
츠루 토시유키 노시타니 미츠타카
(熨斗谷充孝)
마츠야마 코지
(松山光治)
日: 2000.05.16.
韓:
MISSION-08- -囚人たち-
죄인들
사토 타쿠야 나가하마 노리히코 후지이 타카하루
(藤井孝治)
日: 2000.05.23.
韓:
MISSION-09- -愛でる指に赤く-
사랑스런 손가락에 붉게
스가누마 에이지 소토자키 하루오 日: 2000.05.30.
韓:
MISSION-10- -暴風回廊-
폭풍회랑
아사이 켄고 오이자키 후미토시 카사이 신지
(笠井信児)
김기두
(金紀杜)
타나카 카츠유키[M]
(田村勝之)
日: 2000.06.06.
韓:
MISSION-11- -君だけに-
너만에게
사토 오사무 마루야마 타카시
(丸山 隆)
이토 코지[M]
시게마츠 신이치[M]
日: 2000.06.13.
韓:
MISSION-12- -忌まわしの息吹き-
꺼림칙한 호흡
미야케 유이치로
(三宅雄一郎)
아미야 마사카즈
(阿宮正和)
야마자와 미노루
(山沢 実)
와시키타 쿄타[M]
日: 2000.06.20.
韓:
MISSION-13- -闇穿つ咆哮、そして-
어둠을 꿰뚫는 포효, 그리고
코토부키 츠카사
(ことぶきつかさ)
소노다 마사히로
(園田雅裕)
코바야시 오사무
(小林 理)
日: 2000.06.27.
韓:
MISSION-14- -そして白く輝ける-
그리고 하얗게 빛나다
사토 타쿠야 스즈키 신고 日: 2000.07.04.
韓:
MISSION-15- -ネイキッド・ロジック-
네이키드 로직
콘노 나오유키
아오키 레이무
(青樹零夢)
오오바리 마사미
오오바리 마사미 사무라 요시카즈
(佐村義一)
야마네 마사히로[M]
오오바리 마사미[M]
日: 2000.07.11.
韓:
MISSION-16- -瓦解と構築-
와해와 구축
타나카 유이치 나가하마 노리히코 아란 스미시
(亜蘭純志)
타무라 카츠유키[M]
日: 2000.07.18.
韓:
MISSION-17- -BEYOND- 이와타 유키오
(岩田幸大)
타나카 유이치
나가타 마사미
오오바리 마사미
소토자키 하루오 소토자키 하루오
타무라 카츠유키[M]
日: 2000.07.25.
韓:
MISSION-18- -可逆の絆-
가역의 인연
카와사키 히로유키 나가타 마사미 마루야마 타카시
이토 코지[M]
시게마츠 신이치[M]
日: 2000.08.01.
韓:
MISSION-19- -歪む視界-
일그러지는 시계
카토 히로토
(加藤洋人)
사토 히데카즈
타카세 세츠오
(高瀬節夫)
시모사카 히데오
(下坂英男)
日: 2000.08.08.
韓:
MISSION-20- -絶対を招く者 Absolute Inviter-
절대를 초대하는 자 Absolute Inviter
아사이 켄고 아오키 레이무 아미야 마사카즈 이노우에 아키라
(井上 哲)
와시키타 쿄타[M]
日: 2000.08.22.
韓:
MISSION-21- -次にあるもの-
다음에 있는 것
카와사키 히로유키 아비코 에이지
(安彦英二)
소노다 마사히로 아비코 에이지
코바야시 오사무
日: 2000.08.29.
韓:
MISSION-22- -ワルプルギスの道標-
발푸르기스의 도표
아사이 켄고 카류 유타카
(狩生 豊)
타나카 유이치 台場正
카류 유타카
日: 2000.09.05.
韓:
MISSION-23- -残滓、集めて-
잔재를 모아
카와사키 히로유키
아사이 켄고
사토 오사무 마루야마 타카시
이토 코지[M]
시게마츠 신이치[M]
日: 2000.09.12.
韓:
MISSION-24- -優の腕[かいな]-
카이나
아사이 켄고
오오바리 마사미
아오키 레이무
오오바리 마사미
오오바리 마사미 사이 후미히데 日: 2000.09.19.
韓:

8. 해외 공개

8.1. 대한민국

2001년 초에 투니버스에서 심야 시간대, PD는 신동식 그것도 정식 더빙으로 방영했었다, 다만 심야 시간대에 방영한대다 본편 내용 또한 난해해서 누가 어느 역할을 맡았는지 심지어 이 작품이 더빙은 커녕 방영 되었는지조차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투니버스판 오프닝 엔딩

9. 평가

9.1. 장점

우선 캐릭터와 메카닉의 디자인이 훌륭하다. 각 캐릭터 모두 어디서 본적있는 듯한 조금은 뻔하다 시피한 모습을 하고 있지만 적절한 대비를 가지면서도 한데 어우러지는 모습은 상당히 훌륭하다.

더군다나 위와같은 매력이 실험적인 연출과 함께 어우러지며 각캐릭터의 심리묘사에 대한 묘사가 상당히 독특해지는 맛을 내기도 했다.

작붕이 존재하지 않는다고는 할 수 없지만, 힘을 줘야할 부분과 빼야할 부분을 적절히 완급조절해가며 방영했다. 특히 일부 연출에 있어서는 오프닝급의 퀄리티를 보여줄 정도. 위에도 언급되어 있지만 좀비 랜드 사가 시리즈로 뒤늦게 유명해진 애니메이터 사이 후미히데의 작화를 잔뜩 볼 수 있다.

오프닝과 엔딩 역시 상당히 공을 들였다. 장점이자 단점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이 오프닝과 엔딩에 앞으로 작품의 방향과 주제가 명확히 드러난다는 점이다. 1분여의 짧은 시간동안 이만큼의 소재와 이야기의 흐름을 화려한 방식으로 녹여낼 수 있는 것은 분명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1쿨과 2쿨 오프닝과 엔딩이 다른 것도 빼놓을 수 없다. 오프닝의 경우엔 가사가, 엔딩의 경우엔 아예 곡 자체가 바뀐다. 거기다 해당 에피소드마다 조금씩 그 내용이 달라지니 상당히 공을 들였다는 걸 잘 알 수 있다.

메카닉 액션은 리얼계로봇과 슈퍼계로봇을 넘나들며 화려하게 펼쳐지고, 전쟁과 폭력에 희생되는 인간이라는 존재, 그리고 인간과 인간간에 맺어지는 관계를 이야기 하려 한다.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로봇물임에도 기체의 출력이나 장갑같은 소재가 아닌, 인간의 뇌와 신경이라는 소재를 살려 활용하는 방식이다. 이는 기존에 존재하는 어떠한 메카닉물보다도 매력적인 소재로 작용할 수 있는 요소.

정리하자면 겉으로 드러나는 비쥬얼과 최초의 기획 등은 상당히 훌륭한 애니메이션이라 평할 수 있을 것이다.

9.2. 단점

초반부 오디안은 림휴건과 같은 리얼계 메카닉 물로 진행되며, 전투 대상도 동일한 리얼계 적들이 대상이었다. 실제로 이 당시 림휴건의 운용방식은 레스톨 특수구조대처럼 사고자들의 구출이나 시가지 게릴라들을 제압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이후 울프의 각성과 함께 흑수와 오디안의 등장하며 작품은 슈퍼계 메카닉물로 급물살을 타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동반되는 급변되는 세계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무엇보다 그 캐릭터가 그 상황에서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에 대한 이유가 당시에도, 그리고 이후로도 명확히 설명되지 않으니 시청자가 전개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내용이 난해하다던가의 문제를 떠나, 시청자에게 정보를 전달하지 않는다는 편이 정확할 듯. 초반부 의도적으로 그 정체를 감추었던 '리메이크'까지는 충분히 연출의 일환으로 볼 수 있지만, 세계관이나 설정에 대한 설명은 전무한 채 계속해 급변하고, 늘어가는 것들로 인해 시청자가 내용을 단순히 쫓아가는 상황이 발생해 버린다. 이러한 방식의 연출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지만 처럼 해석할 여지를 전혀 주지 않았다는 것은 아무래도 문제다. 그럼에도 익숙한 설정들 덕에 어느정도는 감이 온다.

즉, 작품의 주제나 특정 캐릭터의 설정 등은 앞선 작품들의 것을 상당수 차용하기에 시청자는 익숙한 느낌을 받으면서도 동시에 내가 보고 있는 내용이 그것이 맞는지 혼란스러운 기분이 들게 된다. 예를들어 네르는 거대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존재이지만, 주인공과 교류하며 인간다워진다. 그녀는 무기질적 성질을 가진 무뚝뚝한 여자 캐릭터로 그를 대변하듯 머리색은 푸른빛 계열의 은빛. 이러한 설정 어디서 많이 본 것 같지 않은가? 바꾸어 말하면 이 설정만으로 무엇을 이야기할 지 어느정도 감이 오지 않은가.

참고로 이후 전개된 코믹스 등에서 전개상 필요한 설정들을 설명했다. 바꾸어 말하자면 해당 작품 내의 정보만으로는 작품 전체를 해명하거나 추론하기 어렵다는 의미.

그리고 작품과는 별개로 OST가 부실한 것도 단점이다.


[1] 애니메이션에도 등장하는 인물 '오로'가 주인공으로, 애니메이션에서는 거의 다뤄지지 않은 오로의 과거 이야기[2] 유우가 지닌 리메이크로서의 자질이나, 오디안과의 연결 때문이 내용 전개상의 이유인데, 애초에 이 녀석들은 부대에서 탈영하면서 자기들이 운용하던 림휴건을 가지고 나왔다. 팔아먹으려고! 비교하자면 이등병이 군대가 싫어졌다며 탈영하며 전차를 팔기 위해 부대 밖으로 끌고나온 상황.[3] 우스운 게, 테러리스트가 자살을 하는 상황인데, 뜬금없이 아군에게 병사가 총을 쏜다. 아무리 긴장했기로서니 직업군인이...[4] 자택이 무려 이다![5] 성우 본인의 데뷔작이자 주연작이다.[6] 박선영이 MBC로 이적한 뒤 처음으로 다시 출연한 투니버스 방영작.[7] 양쪽 모두 프랑키와 동일[8] 최종화에는 보조 유닛을 결합시킨 '궁니르 랜스'가 된다. 다만, 이건 궁니르 랜스 내부에서 누군가가 조정을 해줘야 하며, (당연히)조정하는 자신은 죽는다. 본편에서는 시노미 레이코가 스스로를 희생할 각오로 카나나세 유우에게는 비밀로 하고 궁니르 랜스 내에서 조정작업을 했지만, 오로가 난입해 대신 희생, 레이코 본인은 무사히 살아남는다.[9] 왼쪽 눈가의 흉터같은 문양이라던가, 특정 무기를 쓸 때마다 페이스 가드가 생성된다던가[10] 왼쪽 눈가의 흉터는 그란시그마에, 페이스 가드는 갓 그라비온에 이어졌다.[11] 박력없는 반주, 노래방에서 일반인이 부른 듯한 보컬 때문에 주제가로서는 최악이지만, 덕분에 컬트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무사시 건도 같은 작품이 아니고서야 이 정도로 들어주기 어려운 애니 주제가를 찾기도 참 쉽지 않다.[C] 캐릭터[M] 메카[M] [M] [M] [M] [M] [M] [M] [M] [M] [M] [M] [M] [M] [M] [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