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9 21:14:47

원주DB프로미아레나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한국프로농구
홈구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color:#181818"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유색배경).svg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svg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유색배경).svg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
창원체육관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체육관 울산동천체육관 수원 KT 소닉붐 아레나 대구체육관
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svg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 흑색배경.svg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 파일: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엠블럼.svg 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유색배경).svg
안양 정관장 아레나 원주DB프로미아레나 고양 소노 아레나 사직실내체육관 서울종합운동장 실내체육관
과거 홈구장 ▶
}}}}}}}}}}}} ||

파일:원주종합체육관 외부.jpg
파일:20250213_175449_HDR.jpg
<colbgcolor=#00703C><colcolor=#ffffff> 원주 DB 프로미
원주DB프로미아레나
Wonju DB Promy Arena
공식 명칭 원주종합체육관
개장 2013년 8월 10일
첫 경기 2013년 10월 13일
원주 동부 프로미 VS 고양 오리온스
홈 구단 원주 동부 프로미-원주 DB 프로미 (2013~ )
좌석 규모 4,600석[1]
관리 주체 원주시시설관리공단
주소 <nopad>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서원대로 281 (명륜동)[2]
우편 번호 26447
연락처 033-749-4715
홈페이지

1. 개요2. 건립 과정3. 경기4. 1호 기록5. 클럽 하우스6. 교통7. 관련 문서

1. 개요

2013년 8월 10일에 개장한[3]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명륜동에 위치한 종합 체육관으로 원주 DB 프로미 프로 농구단의 홈구장이다. 원래 계획은 6,600석 규모였는데 예산 문제로 30%를 줄여 4,600석으로 축소해 건립했다.

잠실학생체육관, 창원실내체육관과 더불어 한국프로농구에서 관중 많기로 유명한 경기장 중 한 곳이다. 프로농구 홈구장 중 가장 최근에 지은 시설인 부분은 좋은 점이다. 그러나 수용 인원이 10개 구단 홈구장 중 대구, 수원에 이어 3번째로 적은 건 아쉬운 부분이다.

2025년 9월 16일 원주시와의 협약을 통해 원주 DB의 KBL 홈 경기시 원주DB프로미 아레나라는 명칭으로 병행 표기하기로 결정했다.

2. 건립 과정

과거 치악체육관은 DB의 전신 나래에서 뛰었던 주희정경기장에서 담배 냄새가 날 정도라고 깔 정도로 열악한 경기장이었다. 제9회 전국소년체육대회를 위해 1980년 5월 20일 개장했던지라 좌석 규모도 3,170석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협소했고, 화장실과 라커룸은 환기가 아예 안 되어 퀴퀴한 냄새가 진동했을 정도다. 주차장도 매우 부족했으며 관중석도 좁고 불편했다.

팀은 승승장구했고 관중들도 경기장을 꽉꽉 채웠지만, 시설이 이렇게 열악하다 보니 시설 개선 요구가 늘 빗발쳤다.

원주시에서도 홈구장 이전 의지는 있었지만 문제는 역시 이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눈을 돌린 것이 "원주야구장을 허물고[4] 거기다 경기장 짓자!"였다.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처럼 기존 시설 일부를 남기면서 새롭게 건설하면 리모델링 명목으로 국비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 최종적으로 국비 150억, 도비 105억, 시비 245억을 포함해 총 500억 원의 사업비가 확보되었고, 2009년 5월 원주야구장 철거를 시작으로 2011년 11월에 골조공사, 2012년 12월에 지붕공사 완료 등 4년 1개월간의 건설 기간을 거쳐 2013년 8월에 최종 개장했다.

특이 사항으로, 이 곳은 태양광 발전을 활용해서 전기실, 기계실, 지하주차장 조명 등에 해당 전력을 사용하며 냉난방 및 온수에 지열을 활용하는 친환경 구장이다.[5]

3. 경기

2022년 12월 31일에 농구영신 경기를 이곳에서 개최했다.

2024년 2월 25일 2025 FIBA 아시아컵 사전 예선 태국전이 이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경기는 96-62로 대한민국이 대승을 거뒀다.

4. 1호 기록

5. 클럽 하우스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한국프로농구
클럽하우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svg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유색배경).svg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유색배경).svg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현대인재개발원 kt빅토리움 원주종합체육관 LG세이커스 전용 훈련장 SK나이츠 체육관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 파일: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엠블럼.svg 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svg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 흑색배경.svg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유색배경).svg
현대모비스 용인체육관 대구체육관 소노캄 고양 안양 정관장 아레나 삼성 트레이닝 센터
† 숙소의 기능은 없는 경우.
‡ 시즌 중에는 일정에 따라 울산광역시 북구 양정동 소재의 현대자동차 사원 숙소를 사용하기도 한다.
}}}}}}}}} ||

치악체육관을 홈으로 쓰던 시절에는 자체 훈련장이 없어 피트니스 센터에서 동네 아저씨, 아주머니들과 같이 운동했었고[6](...) 야간 훈련은 꿈도 꾸지 못했다. 숙소도 행구동 건영아파트를 임대해 사용했기 때문에[7] 비용 절감 등을 이유로 4인 1실로 쓰는 등 불편이 많았다.[8] 구단 측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홈 구장 신축과 함께 바로 옆에 클럽하우스를 건설할 것을 요청했고, 이게 받아들여져 클럽하우스까지 바로 옆에 건설되었다.

지상 3층으로 구성된 클럽하우스는 연습코트, 숙소, 헬스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전과 달리 숙소는 1인 1실(일부는 2인 1실)이다.

6. 교통

버스
구분 노선
치악체육관: 68621 - 종합운동장 방면
강원도 시내버스
시내버스 2-1, 16, 18, 41-2, 59, 100
치악체육관: 54029 - 종합운동장 방면
강원도 시내버스
시내버스 2-1, 16-1, 18, 41-2
치악체육관후문: 54030 - 원주여자중학교 방면
강원도 시내버스
시내버스 3, 3-1, 6
치악체육관후문: 54031 - 원예하나로마트 방면
강원도 시내버스
시내버스 4, 4-1, 6
도영쇼핑: 54011 - 원주의료원 방면
강원도 시내버스
시내버스 10, 31, 34, 34-1
도영쇼핑: 54012 - 단구은행아파트 방면
강원도 시내버스
시내버스 10, 31, 34, 34-1

* 도영쇼핑에서 내려 700m를 걸어야 한다.
이용구분 이용경로 소요시간[9]
<colbgcolor=#ffffff><colcolor=#000> 고속버스 시외버스 원주종합버스터미널 원주종합버스터미널에서 왼쪽 방향 → 원주종합체육관 도보 14분[10]
고속열차 일반열차 파일:KTX BI.svg 원주역 1안: 원주역에서 31/34(-1)번 승차 → 도영쇼핑 하차 13분
2안: 원주역에서 18번 승차 → 치악체육관 하차 20분
파일:KTX BI.svg 만종역 1안: KTX만종역(시내방면)에서 51(-1)/111번 승차 → 시외.고속버스터미널에서 2-1/16/18/41-2/59/100번 환승 → 치악체육관 하차 12분
2안: KTX만종역(시내방면)에서 100번 승차 → 치악체육관 하차 17분
항공편 원주(횡성)공항 원주공항에서 2-1번 승차 → 치악체육관 하차 39분

서원주역의 경우 대중교통으로 오가기 사실상 불가능한 편이라 철도를 타고 올 경우 원주역에서 내리는 편이 좋다.

7. 관련 문서



[1] KBL 경기 시에는 시야방해석을 제외한 4,100석만 운영한다.[2] 원주종합운동장 내 소재[3] 당초 2012년에 개장이 목표였으나 1년 연기했다.[4] 강원도가 국내 최고의 야구 불모지인 탓에 종합운동장의 일부로 지어졌지만 막상 지어진 후에는 이렇다 할 용도가 없었던 야구장이었다. 강원도를 연고로 하는 프로야구단이 있는 것도 아니었으며 지역 야구부도 원주고등학교 야구부밖에 없었던데다가 그마저도 강원도에서 치르는 삼청태 구단의 제2 홈경기춘천시에서 치렀기 때문에 더더욱 쓸모가 없었다.[5] 지열에너지는 특히 실내 냉/난방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극도의 고효율을 자랑한다.[6] 동네 아주머니들이 싸인이나 사진 촬영을 자주 요구했는데 선수들이 거절을 못하고 잘 응대해줬고, 어쩌다 보니 이게 홈 팬을 만든 밑거름이 됐고 팀 평판도 좋아졌다.[7] 60평짜리 4채를 사용해서 2채는 선수단 숙소, 1채는 주장과 코칭 스태프의 숙소, 1채는 선수단 식당으로 썼다.[8] 이 때문에 건영아파트 주민들은 비시즌에도 선수들을 자주 봤다.[9] 도보속도 보통 4.5km/h 기준. 환승도보시간 포함, 환승대기시간 제외한 소요시간. 마지막 정류장에서 경기장까지 도보소요시간 제외. 평상시 소요시간이므로 도로교통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출처: 카카오지하철·카카오맵[10] 굳이 걸어가기 싫으면 2-1/16/18/41-2/59/90/100번 버스를 타고 4분 만에 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