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8 23:31:53

원생생물


파일:bhsim.png 병원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900><colcolor=#fff>세포성 생물기생물(진핵생물)
세균(원핵생물)
비세포성 생물바이러스 · 바이로이드
비핵산 유기물프리온(prion)
}}}}}}}}} ||

생물 분류
Classification of Life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세포성 생물네오무라​상역진핵생물​역 (목록 · 문서 분류)단편모​생물역동물계 (목록 · 문서 분류)
계 (목록 · 문서 분류)
원생생물​계 (문서 분류)엑스카바타​계 (문서 분류)
쌍편모​생물역
SAR 상군 (문서 분류)
식물계 (목록 · 문서 분류)
고균역 (목록 · 문서 분류)
세균역 (목록 · 문서 분류)그람 양성균(문서 분류)
그람 음성균 (문서 분류)
비세포성 생물바이러스 (목록 · 문서 분류)
바이로이드}}}}}}}}}

진핵생물역(Eukaryota)
쌍편모생물
(Diphoda)
식물계 (Plantae)
원생생물계 (Protista)*
단편모생물
(Opimoda)
오바조아
(Obazoa)
동물계 (Animalia)
균계 (Fungi)
아메바 (Amoebozoa)
* 과거에 균계, 식물계, 동물계에 속하지 않는 진핵생물을 총칭하던 말이지만 생물학적으로 올바른 분류가 아니며, 현재는 진핵생물의 분류에 대해 많은 논쟁이 있다.

파일:external/298039da2deca0710c549e0ff0a6461b57da22ab333f5f0b72191c7f74bfcaed.jpg
파일:external/soksiwon.kr/sea-mustard.jpg
파일:다시마.jpg

1. 개요2. 상세3. 기원4. 분류
4.1. 원생생물 내에서의 분류
5. 원생생물로 분류되는 생물
5.1.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생물
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진핵생물동물, 식물, 진균에 속해있지 않는 생물들을 모아놓은 집단. 무슨 의미냐 하면, 현대 분류학에서 원생생물은 유효한 분류군(taxon)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즉 생물학에서 없어진 개념이다.

현재는 중고등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청소년 교육과정으로 진핵생물 분류를 간소화하기 위해 제한적으로만 사용된다.

2. 상세

계통군의 유형 면에서, 원생생물이라는 분류는 다계통군에 해당한다. 애초에 원생생물은 상당히 불명확한(informal) 개념이다. 옛날 책들이나 어린이용 과학 서적 중에서는 원생생물계('Kingdom' Protista)를 여전히 하나의 유효한 분류군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할 것. 이런 경우가 한둘이 아니긴 하지만. 다만 이게 무덤으로 들어간 개념이라는 뜻은 아니며, 개념 자체는 아직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20세기 후반 이후에 유전자 분석에 의한 생물학계통분류학경천동지의 증거로 볼 수 있기도 하다.

지금까지도 중학교 교과서의 생물 분류 파트는 동물, 식물, 균류 와 더불어 원생생물을 진핵생물의 분류로 제시하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기준 고등학교 생명과학Ⅱ에서는 3역 6계의 체계 중 6계의 하나인 원생생물계로 가르친다.[1] 다만 이 3역 6계라는 것이 분류학을 처음 접할 때는 상당히 이해하기 쉬운 체계라서 그렇게 가르치는 것으로 보인다.

파일:external/bio1151b.nicerweb.com/28_04EukPhylogeny.jpg
진핵생물 전체의 계통도. 파란색이 동물, 초록색이 식물, 분홍색이 균류, 다른 노란색이 다 원생생물이다. 이렇듯 계통 상 관련 없는 여러 생물군들을 원생생물이라는 이름으로 묶어 부르는 게 학술적으로는 별 의미가 없을 거라는 걸 이 그림에서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좀 더 쉽게 말해서 진핵생물인 건 맞는데 동물도 식물도 균도 아닌 것들을 모조리 묶어서 그냥 원생생물이라고 칭하는 것이라고 보면된다. 또한 원생생물이라고 해서 눈에 띄지도 않는 생소한 생물들만 있을 것 같지만 사실 우리가 먹는 미역이나 다시마 같이 흔히 보이는 생물체들도 많다.

3. 기원

원생생물 자체가 이미 유효한 taxon이 아니고, 진화론적 관점에서도 상당히 통일성이 부족한 집단이기 때문에(위 그림 참고), 원생생물의 기원을 명확히 따지는 것은 어려우며, 큰 의미가 없다. 다만 진핵생물의 기원은 원생대 초기인 21억 년 전에 활동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호주에 발견된 화석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동종의 화석 증거가 산출되지 않았다.[2]

그렇기 때문에 아예 진핵생물 자체의 기원(모든 생물의 공통 조상)을 찾는 방향으로 연구하고 있다.

4. 분류

원생생물의 분류는 분류법이 새로 제안될 때마다 큰 변화를 겪는다. 1977년 워즈의 분류[3]로는 한 개의 계가 되었고 2004년 토머스 캐빌리어 스미스의 분류에서는 원생생물이 원생동물과 유색조식물로 갈라졌다.

엑스카바타계, 리자리아계는 하나의 계로 취급할 수 있다. 토머스 캐빌리어 스미스의 분류처럼 유색조식물이 이 분류에 속하기도 한다.

4.1. 원생생물 내에서의 분류

간단한 버전
독립 영양(조류 Algae) 엽록소
a, b
녹조류[4], 유글레나류
엽록소
a, c
규조류(황갈조류)[5], 갈조류[6], 쌍편모조류(황적조류)
엽록소
a, d
홍조류
종속 영양 원생동물(Protozoa) 위족 운동 아메바류, 방산충
편모 운동 편모충류[7]
섬모 운동 짚신벌레류, 종벌레류
운동 기관 없음 포자류[8]
점균류
물곰팡이류

원생생물의 분류 기준으로는 영양 방식(광합성 여부), 광합성 색소의 종류, 운동 방식, 생식 방식 등이 있으며, 세부적으로 유글레나류, 편모충류, 섬모충류, 와편모(조)류, 포자(충)류, 아메바류, 점균류, 물곰팡이류(난균류), 규조류, 홍조류, 갈조류, 녹조류, 차축조류 등으로 나뉜다.[9] 잡다한 생물을 모아놓은 집합이기 때문에 분류 기준이 시도 때도 없이 바뀌었다.

5. 원생생물로 분류되는 생물

진핵생물역 생물 목록 문서의 원생생물 문단 참고.

5.1.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생물

파일:bhsim.png 병원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900><colcolor=#fff>세포성 생물기생물(진핵생물)
세균(원핵생물)
비세포성 생물바이러스 · 바이로이드
비핵산 유기물프리온(prion)
}}}}}}}}} ||

6. 관련 문서


[1] 교학사 생명 과학2 교과서의 예 파일:교학사생명.jpg[2] 우리나라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순상지로 태초부터 지각 변동을 거의 받지 않은 지역이다. 다만 땅이 산성이다 보니 유기물 화석은 거의 남지 않고, 흔적화석(발자국 등)은 상당히 많이 발견된다.[3] 현재 대중적으로 알려진 분류법이다.[4] 파래, 청각, 반달말, 장구말[5] 돌말[6] 미역, 다시마[7] 트리파노소마(유글레나 계통), 깃편모충(후편모생물)[8] 말라리아 포자충[9] 이중 녹조류와 차축조류(윤조류)만이 식물계에 속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