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우크라이나 반란군 | |
| Українська повстанська армія (УПА) | |
| <colcolor=#F00> 영문 명칭 | <colbgcolor=white,#010101>Ukrainian Insurgent Army |
| 설립일 | 1942년 10월 14일 |
| 해산일 | 1960년 4월 14일 |
| 주소 | 우크라이나 |
| 지도자 | 바실 이바키프 드미트로 클리아치키프스키 로만 슈케비치 바실 쿠크 |
| 이념 |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 |
| 정치적 스펙트럼 | 극우 |
| 병력 | 20,000~200,000명 (1944년 기준) |
| 관계 | |
| 동맹 국가 및 세력 | 적대 국가 및 세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개요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이 설립한 준군사조직이자 게릴라.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목표로 활동했다. 약칭 УПА, UPA[1].2. 역사
소비에트 연방이 1939년 서부 우크라이나를 병합한 이후 1941년 바르바로사 작전을 통해 패퇴하면서 발생한 힘의 공백 속 1942년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단이 갈리치아, 볼히니아 등 구 폴란드 제2공화국의 관할 지역을 포함한 통합 우크라이나의 독립 회복을 목적으로 결성했다. 소비에트 연방에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우크라이나 국가정부로 독립시키려는 목적 아래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단은 전간기 때부터 지원을 비밀리에 받던 나치 독일의 인정을 구했으나 우크라이나인들을 레벤스라움에서 치워야 할 열등인간으로 간주하던 독일은 우크라이나 국가정부를 독립국가로 인정하지 않으며 일방적으로 해산하고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단 구성원들을 부헨발트 수용소로 압송하는 등 탄압했다.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은 이에 반발, 소련과 폴란드, 독일 모두를 상대로 무장투쟁에 나서나 1944년부터는 스테판 반데라를 석방하고 동부전선에서 노획한 무기를 제공해 관계 개선을 도모한 독일 측에 서게 된다.[2]소련의 집단농장 제도 도입으로 홀로도모르와 같은 큰 피해를 본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반소비에트 저항이 강력하던 시절이라 2차 세계대전이 종전된지 10년 가까이 지난 1954년까지 우크라이나 반란군은 서부 우크라이나를 중심으로 반소 저항운동을 벌였고 소련군의 니콜라이 바투틴 대장과 소련군 출신으로 위성국 폴란드 인민공화국의 국방차관의 자리에 오른 카롤 시비에르체프스키를 사살하는 등 저항활동을 이어갔다. 우크라이나 반란군은 전성기에는 일부 지역에서는 여단, 타 지역에서는 대대급 작전을 수행할 역량이 있었고 2차 세계대전 동안 노획한 박격포와 야포, 개인화기로 무장했다. 냉전 시기에 이르러 소비에트 연방에 대항한 우크라이나의 반란을 미국, 영국, 서독이 정보기관을 통해 비밀리에 지원했는데, 크게 잡으면 140만명 이상의 유대인과 비우크라이나인이 사망한 우크라이나에서의 홀로코스트에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단의 연루와 책임도 부정할 수 없는지라 후대에 논쟁의 여지를 크게 남겼다.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과 함께 전쟁 지속 기간과 규모, 강도에서 우크라이나의 반란은 가장 격렬한 냉전기 반소 투쟁 중 하나였다고 연구자 존 암스트롱 교수 등은 주장한다.[3] 우크라이나 반란군의 마지막 무장투쟁은 니키타 흐루쇼프 시기인 1960년 4월 14일 끝났다.#
3. 소탕 이후
소련 체제 하의 우크라이나에서 우크라이나 반란군은 테러조직으로 간주되어 언급조차 금기시 되었고, 그러다 소련 붕괴와 함께 우크라이나 독립이 이루어지자 이들에 대한 재평가 여론도 부상했으나 매우 논란이 많았다.그 후 빅토르 유셴코 정부에서 우크라이나 반란군 생존자들을 재향군인으로 인정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부결됬고, 유로마이단 이후에야 성사되었다.#
[1] Українська повстанська армія의 로마자 표기 Ukrainska Povstanska Armiia.[2] 루마니아 왕국 역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단의 활동을 껄끄럽게 여겨 부코비나 등 자국에서 금지하고 단속한 전적이 있다.[3] 출처 논문: John Armstrong, Ukrainian Nationalism, 3rd edition. Englewood, Colorado: Ukrainian Academic Press, 1990. ISBN 0-87287-755-8 (2nd ed.: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3) pp. 223–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