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펜더르스 · 48 아비드 · 54 베이르턴 · 55 요시니가 · 57 아라바지 · 58 판 더 퍼르 60 음피에 · 62 코웰 · 63 엘 마지아니 · 64 마르턴스 · 65 아크판 · 66 미히엘스 · 67 노아 68 클라스 · 72 콩골로 · 73 로툰도 · 75 카이세도 · 79 베니앙바 · 87 켄신 · 89 김명준ㆍ# 요코야마 |
|
{{{#393996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용 헹크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
| |||||||
용 헹크 No. - | |||||||
요코야마 아유무 [ruby(横山, ruby=よこやま)] [ruby(歩夢, ruby=あゆむ)] | Ayumu Yokoyama | |||||||
<colbgcolor=#00468f><colcolor=#fff> 출생 | 2003년 3월 4일 ([age(2003-03-04)]세) | ||||||
도쿄도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 | 키 170cm / 체중 65kg[1] | ||||||
포지션 | 윙어, 스트라이커 | ||||||
주발 | 오른발 | ||||||
소속 | <colbgcolor=#00468f><colcolor=#fff> 유스 | FC 토카노 ( ~2017) | |||||
선수 | 마쓰모토 야마가 FC (2021~2022) 사간 도스 (2023~2024) 버밍엄 시티 FC (2024~ ) → 용 헹크 (2025~ / 임대) | ||||||
링크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468f><colcolor=#fff> 역대 등번호 | 마쓰모토 야마가 FC - 32번 사간 도스 - 13번, 32번 버밍엄 시티 FC - 33번 용 헹크 - 64번 | |||||
학력 | 도카이대학부속고등학교 (졸업) | ||||||
후원사 | 아식스(DS LIGHT X-FLY PRO 2) | ||||||
에이전트 | JEB ENTERTAINMENT |
[clearfix]
1. 개요
일본 국적의 용 헹크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윙어.2. 클럽 경력
2.1. 프로 데뷔 이전
J리그에서 잔뼈가 굵은 요코야마 히로토시의 아들로 중학교 시절까지는 축구와 딱히 큰 연은 없었다고 한다. 그러다 FC 토가노 유스클럽에서 전문적으로 축구를 배우기 시작했다. 하지만 고등학교 들어가서도 뚜렸단 두각은 보이지 못하며 대부분의 시간을 벤치에서 경기를 지켜보게 된다.그러나 본인의 강점인 드리블의 기술을 묵묵히 갈고 닦았고, 그 노력을 인정받아 조금씩 기회를 받은 뒤에는 주력 부분에서도 급성장을 거두며 50m 주행 5초대를 기록하게 되었다. 그렇게 실력이 일취월장한 요코야마는 11월 마쓰모토 야마가 FC에게 프로 입단 제의를 받으며 프로무대에 입단하게 되었다. 입단 포부는 마쓰모토에서 좋은 활약으로 셀틱 FC까지 이적한 마에다 다이젠처럼 되고 싶다라고...
2.2. 마쓰모토 야마가 FC
J2리그로 강등된 마쓰모토에서 개막전 레노파 야마구치전부터 후반 58분 스즈키 쿠니모토와 교체되어 프로 데뷔전을 가지게 되었다. 이후 전반기에 총 15경기라는 기회를 부여 받았으나 데뷔골을 기록하지 못하였고 설상가상으로 팀은 J2리그에서 최하위권에 머물며 결국 후반기에는 기회를 받지 못하게 된다.마쓰모토 야마가가 한번 더 강등당하며 2022년에는 J3리그에서 활약하게 되었다. 그리고 개막전 카마타마레 사누키전에서 데뷔골을 기록하게 되었다. 이후 계속해서 골을 넣으며 2022년 리그에서만 29경기 11골 1도움 맹활약을 했다. 하지만 팀은 아쉽게도 1점 차이로 후지에다 MYFC에게 승격이 가능한 2위를 내주며 팀적으로는 아쉬운 시즌을 보내게 되었다.
2.3. 사간 도스
2022시즌 J3리그에서의 활약으로 J1리그 사간 도스로 완전이적 하였다.개막전 쇼난 벨마레전부터 교체투입으로 J1리그 무대 데뷔전을 치르는 등 기대를 받았으나, U-20 대표팀 차출로 나간 2023 AFC U-20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대회에서 골절상을 입으며 장기간 경기에 뛰지 못하게 되었다. 그러다 5개월뒤 20라운드 세레소 오사카전부터 조금씩 다시 출전기회를 늘리고 있다.
2024년 8월 8일, 사간 도스에서 요코야마의 이탈을 발표하였고, EFL 리그 원 소속인 버밍엄 시티 FC로 이적이 확실시 되고 있다.
2.4. 버밍엄 시티 FC
2.4.1. 용 헹크 (임대)
2025년 2월 4일, 벨기에 2부 리그의 용 헹크로 잔여 시즌 동안 임대를 떠났다.3. 국가대표 경력
부상으로 인해 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에 참가하지 못했다.4. 플레이 스타일
|
U-20 대표를 준비할 때와 3부 리그 시절에는 스트라이커였으나, 사간 도스에 와서는 윙어로 뛰기 시작했다. 윙어로서 충분한 자질을 가지고 있었고, 2024 시즌 기준으로 J1리그를 대표하는 드리블러인 타와라츠미다 코타, 히라카와 유와 함께 주목받고 있다. 앞서 말했듯이 스트라이커 출신이라 골을 제일 잘 넣고 있어, 이 또한 주목받는 점이다.
단점으로는 약발인 왼발을 거의 사용하지 않은 것이다.
5. 같이 보기
용 헹크 시즌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용 헹크 2024-25 시즌 스쿼드 | ||||||
번호 | 포지션 | 국적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
6 | MF | 바스티엔 토마 | Bastien Toma | ||||
20 | FW | 켈빈 존 | Kelvin John | ||||
41 | GK | 미케 펜더르스 | Mike Penders | ||||
48 | FW | 아드낭 아비드 | Adnane Abid | ||||
54 | DF | 루카스 베이르턴 | Lucas Beerten | ||||
55 | DF | 요시나가 유메키 | Yumeki Yoshinaga | ||||
57 | FW | 데니즈 아라바지 | Deniz Arabaci | ||||
58 | MF | 카미엘 판 더 퍼르 | Kamiel Van De Perre | ||||
60 | MF | 야미에 야이 음피에 | Jamie Yayi Mpie | ||||
62 | DF | 소피앙 에트 타이비 | Sofiane Et Taïbi | ||||
63 | DF | 파이살 엘 마지아니 | Faissal El Mazyani | ||||
64 | DF | 놀란 마르턴스 | Nolan Martens | ||||
65 | MF | 크리스티안 아크판 | Christian Akpan | ||||
66 | MF | 라르스 미히엘스 | Lars Michiels | ||||
67 | FW | 노아 아데데지스터른베르흐 | Noah Adedeji-Sternberg | ||||
68 | MF | 토마스 클라스 | Thomas Claes | ||||
72 | DF | 요수에 콩골로 | Josue Kongolo | ||||
73 | MF | 에반 로툰도 | Evan Rotundo | ||||
75 | DF | 알프레드 카이세도 | Alfred Caicedo | ||||
79 | FW | 빅토리 베니앙바 | Victory Beniangba | ||||
- | DF | 미히엘 코웰 | Michiel Cauwel | ||||
- | MF | 야스다 켄신 | Kenshin Yasuda | ||||
구단 정보 | |||||||
감독: 한스 소머르스 / 구장: 더 뢰넌 | |||||||
출처: 트랜스퍼마크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