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11:19:26

오버로드(소설)/아이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오버로드(소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오버로드(소설)/위그드라실
, 오버로드(소설)/이세계
,
,
,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이세계의 주민들이 사용하는 아이템에 대한 내용은 오버로드(소설)/아이템/이세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이세계의 주민들이 사용하는 아이템:
오버로드(소설)/아이템/이세계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파일:OL-KO.png
{{{#e8d697,#e8d697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등장인물 (국가별 · 조직별) | 나자릭 지하대분묘 (소속인물 · 서번트)
설정 | 현실 세계 | 위그드라실 (길드)
종족 (리저드맨 · 쿠아고아 · 이형종<언데드 · 드래곤>)
클래스 | 마법 | 아이템(세계급 아이템)
이세계 (원시 마법 · 100년의 여진 · 무투기 · 이세계 아이템 · 모험자 · 워커)
웹 연재판 | 외전 | 비판 | 2차 창작
애니메이션 (1기 · 2기 · 3기 · 4기) · 평가
플레플레 플레이아데스
극장판 (불사자의 왕 & 칠흑의 영웅 · 성왕국편)
MASS FOR THE DEAD (등장인물 · 플레이어블 캐릭터) | 나자릭의 왕 }}}}}}}}}


1. 개요2. 상세
2.1. 제작2.2. 특징
3. 목록
3.1. 세계급 아이템3.2. 신기급3.3. 전설급3.4. 성유물급3.5. 유산급3.6. 최상급3.7. 상급3.8. 등급 불명3.9. 등급 외3.10. 캐시 아이템3.11. 종족 변환 / 전직 아이템3.12. 기타 아이템3.13. 애니메이션 SP에서 등장한 아이템3.14. 이세계의 아이템
4. 외부 링크

1. 개요

판타지 소설오버로드》에 등장하는 아이템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이다.

정식 명칭은 매직 아이템(Magic item)으로 설정상 마법이 부여된 아이템들이다. 이세계에서는 마법이 부여되지 않아 그냥 물리적인 강도만 있는 장비를 착용하는 경우도 많으나 그런 경우는 아이템이라 부르지 않는다. 작중에서 등장하는 아이템은 대부분 위그드라실에서 넘어온 것 혹은 위그드라실에서 비롯된 마법 시스템에 근거해 제작된 것들이지만, 이세계의 독자적인 기술이나 혹은 이세계 환경에 맞춰 최적화된 아이템들도 등장한다.

일본어 원어 명칭 등은 오버로드 wiki를 참고하자. #

2. 상세

플레이어는 아이템을 인벤토리에 보관할 수 있으며 무게를 기준으로 한계치가 적용된다. 캐시로 확장이 가능하며 NPC도 무과금 플레이어와 동일한 수준의 인벤토리를 보유해 무기 등의 아이템을 담아두었다가 사용할 수 있다.

인벤토리 안은 각종 아이템들이 가지런히 정돈된 윈도우 창 같은 모습으로 나타난다. 인벤토리 안으로 들어간 팔은 사용자 본인에게는 호수 안에 잠긴 듯한 감각으로 느껴지나, 그 외의 사람이 보기엔 아무것도 없는 공간 속으로 팔이 빨려 들어가 사라진 것처럼 보인다고 한다.

2.1. 제작

위그드라실에서는 장비가 직접 드롭되지 않고 '데이터 크리스탈'이 대신 드롭된다. 가끔 그냥 아이템 형태로 드롭되기도 하는데 이들은 '아티팩트'라 불리며 외형이나 성능 커스텀이 불가능하다. 엄밀히 말하면 아래 설명할 세계급 아이템도 어떻게 보면 아티팩트인 셈.

아이템을 만들려면 먼저 외장이라 불리는 '그릇'을 만들어야 한다. 유저들의 편의를 위해 아이템의 비주얼은 책 형태의 아이템에 담기는데, 특정한 대장장이 기능을 지닌 자[1]가 적합한 자원에 대고 비주얼 아이템을 사용하면 등록된 데이터상의 형태로 장비가 만들어진다. 비주얼 아이템은 기본적으로 상점에서 팔지만 커스텀에 자신 있는 유저들이 디자인한 수제 장비 비주얼도 거래된다. 비주얼 아이템의 값은 굉장히 싼 편. 외장 상태로는 아무런 마법적 효과가 부여되지 않았기에 경도와 내구성만 있을 뿐 특별한 성능은 없다시피하고, 여기에 상술한 '데이터 크리스탈'을 끼워 넣어야 비로소 제대로 된 아이템이 된다.

각 데이터 크리스탈에는 특수 스킬이나 속성, 효과 등이 부여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공격력이나 방어력 증가, 신성 속성에 대한 내성 증가, 다른 장비로 즉시 교환 가능한 속공탈의, 특정 스킬을 몇 회 사용 가능하게 해주는 것, 성능에는 관계없지만 멋진 이펙트나 나오는 효과 등이 있다. 아이템의 성능은 데이터 크리스탈에 좌우되기에 매직 아이템의 성능은 곧 데이터 크리스탈의 성능이라 할 수 있다. 데이터 크리스탈별로 들어 있는 효과가 천차만별이며 급에 차이가 있어 좋은 성능일수록 드롭률이 낮다.

데이터 크리스탈은 무한정 끼워넣을 수 없고 외장의 급에 따라 최대치가 정해진다. 외장에는 재료 금속의 가치와 사용량, 거기에 장인의 특수기술을 산출해 계산한 데이터 용량이 뽑혀 나오고, 그 용량만큼만 데이터 크리스탈을 넣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순간이동 스킬 같은 고성능이 들어 있는 크리스탈은 낮은 가치의 금속으로 만든 반지에 넣을 수 없다. 어차피 매직 아이템은 장착하면 사이즈가 알아서 맞춰지기에 재료를 왕창 쏟아부어 커다랗게 만들면 만들수록 좋다. 최고등급인 신기급 아이템을 만들려면 하이레어 드롭급 데이터 크리스탈이 다수 사용되어야 하고, 그를 주입할 그릇을 만드는 데에도 초희소 금속이 필요하다. 길드 무기는 예외.

이런 시스템으로 제작되다 보니 자신이 원하는 성능과 원하는 비주얼을 갖춘 아이템을 만들 수 있으며 만든 이가 이름도 붙힐 수 있다. 이름 변경은 캐시 아이템으로만 가능한데, 값이 싸긴 해도 굳이 캐시 아이템을 쓰기는 껄끄러워서 유저간 거래에서는 이름이 영 별로인 아이템은 기피당한다.

몇몇 아인종과 이형종은 종족특성으로 손톱, 이빨, 외골격 갑옷 같은 육체무장을 가지는데, 이들도 일종의 아이템 외장처럼 취급되어 데이터 크리스탈을 주입할 수 있다. 레벨에 따라 경도와 내구성이 강화되고, 안에 담을 수 있는 데이터 크리스탈의 데이터 양이 증가한다.

2.2. 특징

위그드라실에서 아이템 등급은 최하급 - 하급 - 중급 - 상급 - 최상급 - 유산급(Legacy) - 성유물급(Relic) - 전설급(Legend) - 신기급(Gods)으로 나뉜다. 그보다 위에 세계급 아이템이 있긴 하지만 이쪽은 상위 등급이라기보다는 번외에 해당된다.

최고 등급인 신기급 아이템은 워낙 만들기 어려워서 100레벨 플레이어 중에서도 신기급 아이템이 하나도 없는 경우가 드물지 않았다. 최고봉의 길드였던 아인즈 울 고운에서조차 NPC에게 전부 장착시키지는 못하고 한두 개 쥐어주는 정도. 사실 세계급 아이템이 워낙 사기템들이라 그렇지, 통상적으로 플레이어가 입수할 수 있는 아이템 중에서는 가장 강력한 것이 신기급이다.

방어구 장착 가능 부위는 기본적으로 머리, 얼굴, 몸통, 내의, 팔, 손, 허리, 다리, 신발, 왼손 반지, 오른손 반지, 그외 장신구 3개까지 14부위. 참고로 전신갑옷은 판정상 몸통 장비로 취급된다. 아이템은 한 부위에 하나만 장착 가능하며, 억지로 여러 개를 걸치면 마지막에 착용한 장비의 효과만 받는다.[2]

반지는 기본적으론 양손에 하나씩만 끼면 어느 손가락이든 변함없이 효과를 발휘한다. 비싼 캐시템을 사용하면 열 손가락 모두에 착용 가능한데, 이는 반지 슬롯을 확장 개방하는 것과는 조금 달라서 각 손가락별로 낄 수 있는 반지가 하나로 고정된다. 예를 들어 아인즈의 경우 '링 오브 아인즈 울 고운'은 오른손 약지에만 끼울 수 있고, 그 자리에 다른 반지를 끼면 효과가 안 나온다. 이세계에서도 이 법칙은 그대로이기에 반지 아이템의 효과는 두 개까지밖에 못 본다.

그 외에, 기본적으로 마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중갑을 착용해선 안 된다. 애초에 매직 캐스터는 마법으로 만든 것 외의 갑옷 착용 자체가 불가능하고, 그런 갑옷을 착용해도 마법 사용의 제한은 동일하다. 이 페널티를 제거하려면 그런 기능을 갖춘 특수한 클래스를 올려야 한다. 다만 엄밀히 말해 발동이 불가능한 건 마법에 한정되기 때문에, 스킬은 갑옷을 입은 상태에서도 사용 가능하다.[3]

몬스터 신사론 같은 건 안 통해서 노출이 심하면서도 방어력이 좋은 갑옷 같은 건 없다. 게임 시스템 상 현실적으로 노출이 될수록 방어력이 떨어지게 되어 있다. 노출된 부위에도 장비에 부여된 마법적 효력은 적용이 되지만 갑옷을 이루는 금속의 방어력은 적용이 안 되고, 추가로 크리티컬 판정이 쉽게 나오도록 설정되어있기 때문이라고. 다만 방어성능을 도외시하고 예능성을 추구한다면 못 만들 것은 아니다.[4]

마법이 담겨져 있어 사용할 수 있는 소비성 아이템으로는 다섯 종류가 있다. 스크롤, 완드, 스태프, 포션 등은 제작계열 직업을 가진 자가 양피지 등의 재료를 준비해 스킬을 발동할 때 다른 플레이어가 마법을 발동해 불어넣는 식으로 만들어진다.

종족을 변경할 수 있는 특별한 아이템도 존재하는데 더 자세한 건 위그드라실 문서 참고.

3. 목록

3.1. 세계급 아이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계급 아이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신기급

세계급 아이템을 제외하면 최상위 등급이자 사실상 일반 플레이어가 가질 수 있는 최고급 아이템. 신기급도 굉장히 귀한 물건이기에 나자릭 100레벨 NPC들도 한두 개 가지고 있는 정도다. 위그드라실 시절에도 신기급 아이템 하나 없는 100레벨 플레이어들이 많았을 정도로 귀한 물건. 물론 우리의 주인공 아인즈는 신기급 아이템을 주렁주렁 달고 다닌다. 단 그런 아인즈조차도 신기급 로브 같은 건 단 한 벌만 가지고 있을 정도.

3.3. 전설급

전원 사회인이며 헤비 과금러들이 모인 길드 아인즈 울 고운에서도 신기급 아이템은 수호자들에게도 한두 개 정도밖에 들려주지 못했기 때문에 수호자들이나 플레아데스를 비롯한 커스텀 NPC들의 장비들의 상당수가 전설급일 가능성이 높다. 아래에 나오는 아이템들은 작중 전설급임이 확인된 아이템들이다.

3.4. 성유물급

3.5. 유산급

3.6. 최상급

3.7. 상급

3.8. 등급 불명

3.9. 등급 외

3.10. 캐시 아이템


이 외에도 효과 이펙트를 성능 데이터 차지하지 않고 사용하게 해주는 아이템, 익힐 수 있는 마법을 100개 늘려주는 아이템, NPC 등의 플레이버 텍스트 용량을 늘려주는 아이템, 쪽지 등 시스템상에 가까운 캐시 과금 대상도 존재한다. 위그드라실에서는 <전언 Message> 등 마법 이외에 쪽지 등 원거리 대화수단은 모두 캐시 아이템이다.

3.11. 종족 변환 / 전직 아이템

종족 변환 및 전직 아이템 중 아르카디아 문답 1029번[14]에서 나온 '카인아벨의 혈혼'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템들은 불사자의 왕! 48화에서 언급된다.[15]

3.12. 기타 아이템

3.13. 애니메이션 SP에서 등장한 아이템

본편이 아닌 애니메이션의 SP에서만 나오는 개그를 위해 넣어놓은 아이템이다.

3.14. 이세계의 아이템

파일:Items_(Manga).png

이세계의 주민들이 사용하는 매직 아이템들. 작중에는 위그드라실을 기원으로 하지 않는 이세계의 독자적인 기술이나 혹은 이세계 환경에 맞춰 최적화된 아이템도 등장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버로드(소설)/아이템/이세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외부 링크



[1] 곤도 파이어비어드의 레벨 구성을 보면 웨폰스미스, 아머스미스, 아이템스미스 클래스가 따로 분류되어 있다. 이런 계열의 직업을 보유한 경우에만 만들 수 있는 듯.[2] 이 때문에 컨셉을 우선시해 매직 아이템이 아닌 '외장' 상태의 아이템을 장착하는 경우도 있다.[3] 예를 들어 작중 아인즈가 사용한 절망의 오라, 중위 언데드 창조 같은 오버로드 종족 보너스 스킬 같은 경우, 갑옷을 입은 경우에도 사용한다.[4] 애니메이션 초반에 나자릭에 침공한 엑스트라 유저들 중 비키니 아머 비슷한 것이 있었고, 실제로도 마레의 서브장비 중에는 복부를 훤히 드러낸 드레스형 아머가 있다.[5] 타케미카즈치일본 신화에 나오는 신으로, 도검, 궁술, 번개를 담당하는 신이자, 무신에 해당되는 신격이다.[6] 정확히는 8,9권에서도 가면을 썼지만 질투마스크 인지는 서술되지 않는다.[7] 정식 명칙은 질투하는 자들의 마스크 애니버서리 에디션.[8] 다만 아인즈는 이것을 사용할 당시 장비를 변경해 신성속성에 내성을 가져 별다른 대미지는 없었다.[9] 덕분이 파워드 슈트를 착용하면 방어구 아이템을 착용할 수 없다. 단, 장신구 아이템은 착용 가능하다.[10] 슈트 일부에 비행시 불을 뿜고 있는 추진체로 보이는 곳은 그냥 연출이라 망가트린다 해도 비행 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을 꺼라며 알베도가 속으로 아인즈의 말을 되내이는 장면이 있다.[11] 다만 아인즈가 파워드 슈트에 별로 관심이 없었던지라 부정확한 정보로, 유니크 아이템이나 아티팩트일 경우 그 이상의 성능을 지닐 수도 있다고 아인즈가 언급한다.[12] 위그드라실이 부캐를 못만드는 게임이기에 100레벨 유저들만 있는 아인즈 울 고운 길드에게 쓸모가 없는 것이다.[13] 오버로드 본래 세계에 있는 메카닉 슈팅 게임.[14] 원문. むちむちぷりりん◆bee594eb 2010/Nov/07(Sun) 06:09 pm 神祖カインアベルはユグドラシル内で出てくる神様の一柱で、ボスの一体でもあります。このカインアベルを倒したパーティーに参加している始祖<オリジン>は、さらに上位種族たるカインアベルの後継<ザ・ワン>になるための転職アイテム『カインアベルの血魂』を得ます。ザ・ワンは微妙な種族なので人気が無かったり……。カッコいいエフェクトが起こせてもなぁ……。[15] 그 외의 전직 아이템들 중 '무기 연구 서적'과 '4대 정령 비사'는 8권에서 언급되고, '선단'의 경우 불사자의 왕! 48화 부가 설명에서 언급된다.[16] 4권에서는 사자의 서로, 8권에서는 죽은 자의 책으로 번역되었다. 최신인 코믹스판 6권에서는 해당 명칭으로 나온다.[17] 한편 꺼낼 땐 온라인 게임답지 않게 특이하게도 금화 하나하나를 일종의 아이템 취급하듯 오브젝트가 부여되는지 나자릭 보물전에는 금화가 산맥처럼 쌓여 있다.[18] 아이템으로 창조된 식량인 만큼 뼈와 내장이 없다.[19] 지배자를 연기하기 위한 갖가지 항목들이 기록되어 있다. 3기 1화를 보면 Vol.3가 제목에 포함된 걸 봐서 3권 이상 있는 듯.[20] 유일하게 독일어를 알고 있었던 판도라즈 액터는 이 복장의 이름을 알아듣고 무슨 옷인지 대강 눈치챘지만, 뉴로리스트와 메이드들의 분위기를 깨기 싫어서 입을 다물어버린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10
, 5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10 (이전 역사)
문서의 r6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