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bgcolor=#d4a04a><width=33.3%>
||<width=33.3%>
||<width=33.3%>
||
미행 (1998) 메멘토 (2000) 인섬니아 (2002) 배트맨 비긴즈 (2005) 프레스티지 (2006) 다크 나이트 (2008) 인셉션 (2010) 다크 나이트 라이즈 (2012) 인터스텔라 (2014) 덩케르크 (2017) 테넷 (2020) 오펜하이머 (2023) 오디세이 (2026)
상세 정보 링크 열기
미국 개봉일까지 | D[dday(2026-07-17)] |
오디세이 (2026) The Odyssey | |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000,#e0e0e0> 장르 | ○○ |
감독 | 크리스토퍼 놀란 |
각본 | |
원작 | 호메로스 - 《오디세이아》 |
제작 | 크리스토퍼 놀란 에마 토머스 |
주연 | 맷 데이먼 톰 홀랜드 앤 해서웨이 로버트 패틴슨 |
촬영 | 호이트 반 호이테마 |
편집 | ○○ |
음악 | 루드비히 고란손 |
미술 | ○○ |
의상 | ○○ |
촬영 기간 | 2025년 2월 ~ |
제작사 | 신카피 |
배급사 | |
개봉일 | |
화면비 | ○○ |
상영 타입 | 2D | IMAX |
상영 시간 | ○○분 |
제작비 | ○○ |
월드 박스오피스 | ○○ |
북미 박스오피스 |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명 |
상영 등급 | 미정 |
공식 홈페이지 |
1. 개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신작 영화. 2026년 7월 17일 개봉 예정이며 호메로스의 서사시 《오디세이아》를 원작으로 한다.2. 개봉 전 정보
- 2024년 10월 9일, 크리스토퍼 놀란의 신작 영화가 2026년 7월 17일 개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5년 초에 촬영이 시작되며 맷 데이먼이 주연으로 협상 중이라고 한다.
- 1년 동안 개발한 새로운 IMAX 기술을 사용할 예정이다.# 해당 기술은 기존 IMAX 필름 카메라보다 30% 이상 소음을 감소시키고 경령화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더 많은 IMAX 촬영분을 기대해볼 수 있다.#
- 2024년 11월 21일, 로버트 패틴슨이 캐스팅에 합류했으며, 맷 데이먼, 톰 홀랜드, 앤 해서웨이, 로버트 패틴슨이 핵심 주연을 맡고 젠데이아와 루피타 뇽오는 조연을 맡는다고 한다.#
- 2024년 12월 23일, 신작의 제목이 발표되었다. 제목은 《오디세이》로, 호메로스의 서사시 《오디세이아》를 각색하여 트로이 전쟁 이후 오디세우스의 고향 이타카를 향한 10년동안의 귀로를 따라가는 신화적 액션 서사로 만들어질 예정이다.#
-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연출작 중 역대 최대 제작비를 사용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기존 최대 제작비 연출작은 다크 나이트 라이즈의 2억 5천만 달러였다.#
3. 포스터
4. 시놉시스
5. 예고편
6. 등장인물
- 맷 데이먼 - 오디세우스
- 톰 홀랜드 - 텔레마코스
- 로버트 패틴슨
- 앤 해서웨이 - 페넬로페
- 젠데이아 - 아테나
- 루피타 뇽오 - 클리타임네스트라
- 샤를리즈 테론 - 키르케
- 존 번설 -
- 베니 사프디 - 아가멤논
- 존 레귀자모 -
- 엘리엇 페이지 -
- 히마쉬 파텔 -
- 빌 어윈 -
- 서맨사 모턴 -
- 제시 가르시아 -
- 윌 윤 리 -
- 미아 고스 -
- 코리 호킨스 -
- 닉 타라베이 -
- 지미 곤잘레스 -
- 모리스 콤프테 -
7. 줄거리
8. 사운드트랙
9. 평가
10. 흥행
10.1. 북미
10.2. 대한민국
11. 기타
- 맷 데이먼은 2014년 〈인터스텔라〉, 2023년 〈오펜하이머〉에 이어서 세 번째로, 앤 해서웨이는 2012년 〈다크 나이트 라이즈〉, 2014년 〈인터스텔라〉에 이어서 세 번째로 크리스토퍼 놀란과 협업한다.
- 로버트 패틴슨은 2020년 〈테넷〉에 이어서 두 번째 크리스토퍼 놀란과 협업한다.
- 오디세우스 역을 맡은 맷 데이먼의 스틸컷 복장이 역덕들에게는 소소한 논쟁거리가 되었다. 오디세이아는 미케네 문명 시대를 다루는 작품인데, 작중 오디세우스의 복식은 그보다 수백년 후인 고전기 그리스 시대 갑주를 애매하게 흉내낸 복장이라는 것.# 그러나 오디세이아 원전부터 키클롭스 등 가상의 괴물을 등장시켜 판타지에 가깝고, 이번 영화에도 키클롭스 모형이 투입될 예정이라# 큰 문제가 아니라는 반박도 존재한다. 또한, 복장을 역사 고증에 맞출 경우, 오른쪽 사진처럼 다소 촌스럽고 위엄이 떨어져 보여 이러한 고증을 생략한 것이 낫다는 의견이 다수다.
하지만 고전기에 만들어진 토기나 벽화에 그려진 그리스 로마신화나 영웅을 표현한 그림들을 보면 모두 우리가 흔히아는 투구를 착용하고있다.항아리1,항아리2.즉 고대 그리스사람들은 신화속 영웅들의 무구를 자신들의 것과 동일시하여 표현한것이다.즉 우리에게 친숙한 호플리테스의 모습이 오히려 고대 그리스 사람들이 생각하는 신화속 영웅의 모습과 더 가깝다는 것이다.신화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그 시대 사람들의 사상과 문화가 반영되는 것이기에 이것을 단순히 고증을 틀렸다고 표현하는것이 맞는지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 캐스팅 인종에 대한 논란이 있는데, 클리타임네스트라 역을 블랙팬서의 조연으로 알려진 루피타 뇽오가 맡게 되었다. 클리타임네스트라의 경우 헬레나의 언니라는 점에서 2차 대중매체에선 미인이라는 묘사를 넣지만 호메로스에서 미인이라는 묘사는 없기에 굳이 클리타임네스트라 역에 미인배우를 쓸 그런건 아니지만, 혈통으로 따지면 엄연히 '그리스 스파르타의 공주'다.https://www.fmkorea.com/best/8133762063 넷플릭스 트로이: 왕국의 몰락에서 흑인들을 대거 기용해서 기원전 아나톨리아에 살지 않았던 아프리카계 민족이 어째서 그리스/트로이 영웅 역을 맡느냐는 논란이 재연될 수 있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