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전통 화장법에 대한 내용은 엽전(미용) 문서 참고하십시오.
1. 화폐의 일종
엽전(葉錢)은 20세기 이전 중국, 한국, 일본, 베트남 등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한 동전이다. 천공 주화에 해당된다.둥글고 납작하며 가운데에 네모진 구멍이 있다. 천원지방(天圓地方)라는 중국의 전통 우주관에서 유래한 형상이며, 기원전 3세기 말 진시황의 반량전이 최초의 엽전이다. 춘추전국시대에 사용한 주머니칼 모양의 명도전[1]이나 농기구 모양으로 만든 포전(布錢) 등보다 보관과 사용이 편했기 때문에 명도전을 퇴출시키고 진 이후 무려 2100년간 한자문화권의 동전 디자인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동전을 세는 단위가 '닢'(동전 한 닢, 두 닢 하는 식)이었기 때문에 엽전(葉錢)이라고 한다. 만드는 방법에서 이름이 유래했다는 주장도 있다. 당시 대량생산을 위해 만든 주물틀에서 막 나온 상평통보는 마치 가지에 달린 나뭇잎을 연상시켰기에 엽전이라 불렀다는 것.
전폐(箭幣) |
주물틀에서 막 나온 상평통보 |
조선 세조 시기에 주조된 철전인 팔방통보는 화살처럼 생긴 동전으로, 전폐(箭幣) 혹은 유엽전(柳葉箭)이라고도 불렸다. 왜 동전을 화살처럼 만들었느냐하면, 세조가 동전을 만들려고 하자 신하들이 죄다 반대를 했기 때문에 "비상시에 화살촉 대용으로 쓸 수 있으니까 국방력 강화에도 도움이 된다"라는 핑계를 대었기 때문이다. 물론 철전 특성상 녹이 쉽게 슬고 보관도 불편해서 유통에 실패했다.
한국의 엽전으로는 고려 때의 건원중보를 시작으로[2] 조선 때의 상평통보, 당백전이 유명하다.
동양 고전물에서 보통 나오는 둥근 모양에 네모 구멍이 뻥 뚫린 동전들은 죄다 이 엽전들이다. 보통 한 닢 두 닢 하는 식으로 분리해서 들고다니기도 했지만 거액에 해당하는 엽전의 경우 운반이 용이하게 새끼줄로 엽전들의 구멍 부분을 꿰서 꾸러미를 만들거나, 이렇게 만든 꾸러미를 주머니나 궤 안에 집어넣기도 했다. 참고로 상평통보의 경우 2전을 넘는 단위가 없어 100냥 이라도 준비해야하는 날엔 매우 번거로웠다. 가장 작은게 1푼(100분의 1냥)
한국 사극에서 주막, '마마'라는 단어의 용법과 더불어 절대로 지키지 않는 고증이다. 19세기 후반 갑오개혁 직전까지 화폐금납화 수준은 전체 25% 수준으로 지지부진했고, 대신 대부분의 거래가 쌀과 포목 등 물품화폐로 지불하는 형식으로 이뤄졌는데 삼국시대건, 고려시대건, 조선 초기건, 중기건 간에 한국 사극에선 무조건 무언가를 사면 그 댓가로 엽전을 내는 형식으로 연출되고 있다.
영어로는 Cash라고 한다. 현금을 뜻하는 cash와는 어원이 다르며 산스크리트어 karsha(화폐 단위)에서 왔다고 한다.
1.1. 목록
1.1.1. 한국
1.1.1.1. 고조선[3]
- 일화(一化)
- 명화(明化)
1.1.1.2. 고려
1.1.1.3. 조선
1.1.2. 중국
1.1.3. 일본
1.1.4. 베트남
1.2. 미디어에서
- 엽전에 구멍이 뚫린 것을 참조한 동화가 있다. 3년동안 부자집에서 일하고 독립하게 되는 두 머슴이 있었는데, 주인이 독립하기 하루 전날에 짚 뭉치를 주고 그것으로 새끼줄을 가늘고 길게 꼬으라는 일감을 준다. 평소 게으름을 피웠던 머슴은 내일이 나가는 날인데 뭔 일이냐며 굵직하게 대충 묶고 자버렸고, 평소 근면했던 머슴은 밤을 새가며 새끼줄을 가늘게 꼬았다. 다음날 부자가 창고를 열면서 너희들 덕에 재물이 이만큼 쌓였으니 그 새끼줄로 마음껏 엽전을 꿰어가라고 하였는데, 당연히 게으른 머슴은 한푼도 못 받았고,[6] 근면한 머슴은 새끼줄에 가득 엽전을 꿰어서 부자가 되었다고 한다.
- 게임 P의 거짓에서 금화 열매라는 동전모양 열매 아이템이 나오는데 배경은 벨 에포크 디젤펑크 세계관과 어울리지 않는 엽전 모양의 동전으로 나왔다.
2. 한국인을 낮잡아 부르는 말
한국인이 스스로를 낮잡아 이르는 말로 상평통보의 발행이 중단된 구한말은 물론 일제강점기까지도 남부 지방인 경상권과 전라권에서는 상평통보가 일상적으로 통용되었는데 이를 두고 수십~수백년 된 상평통보를 여전히 화폐로 썼던 조선인들을 비하하는 말이었다.다만 현대에는 일부 노년층들을 제외하고는 거의 쓰이지 않는, 사실상 사어에 가까운 말이다.
"신중현과 엽전들"이라는 밴드명에 사용되기도 했다.
2.1. 미디어에서
-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에서 담임(안내상 분)이 자기가 맡은 반이 전교 꼴찌를 한 데다 수학문제 풀이를 시켰는데 잘 못 풀자 "이 새끼들, 이러니까 전교 꼴등하는 거지, 이놈의 새끼들이. 하여튼 이 엽전놈의 새끼들이 좋은 말로 해선 안 돼. 조져야 돼."라며 운동장에 집합시킨다.
- 만화 구타교실에 나오는 M고 이사장의 말버릇이 "엽전들은 패야 말을 듣는다"이다.
3. 관련 문서
[1] 영어로 하면 Knife money다.[2] 단 연나라의 엽전으로 알려져 있는 일화(一化), 명화(明化)가 고조선의 엽전일 가능성도 있다.[3] 단 고조선의 엽전이 있었다는것은 학계의 정설은 아니고 북한학계와 한국 사학자 윤내현이 <새로운 한국사> 윤내현, 2005.에서 주장하고 있는 단계이다. 한편 국사편찬위원회가 1993년부터 2002년까지 간행한 (신편) 한국사 고대 04권 Ⅱ. 3. 3) (2)에서는 '고조선의 화폐라고 하는 일화전과 명화전'이라는 언급을 한적은 있다. 또한 또한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하는 학술지 국사관논총 제33집 鐵器文化를 통해서 본 古朝鮮(崔盛洛) > Ⅲ. 古朝鮮 地域의 鐵器文化 > 2. 編年과 性格에서는 일화전이 명도전등과는 다르게 요동반도의 고조선 강역에서만 발굴된다며 고조선 지역에서만 통용되는 화폐로 보고 있다.[4] 통칭 '오오제니'(大銭)라고 한다.[5] 통칭 '텐포제니'(天保銭)라고 한다.[6] 판본에 따라선 주인이 그래도 같이 지냈는데 빈손으로 보낼순 없다며 미리 준비해놓은 엽전 한 주머니를 주고 게으른 머슴이 감동해서 우는 엔딩으로 끝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