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1 00:34:56

역전재판 시리즈/모순점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역전재판 시리즈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in-width:40%;min-height:2em;"
{{{#!folding [  작품 목록  ]
{{{#!wiki style="margin:-6px -0px -4px;text-align:center;"
역전재판 전기 1 2 3
123 HD · 123 나루호도 셀렉션
후기 4 5 6
456 오도로키 셀렉션
역전검사 1 2
1&2 미츠루기 셀렉션
대역전재판 1: 모험 2: 각오
1&2: 모험과 각오
크로스오버 레이튼 교수 VS 역전재판
파일:500px 빈이미지.png
}}}}}}}}}
[  관련 문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width=15%><height=40><colbgcolor=#d5d5d5,#010101><colcolor=#000000,#dddddd> 세계관 ||등장인물 (주요 등장인물 틀)사건설정에피소드연표장소 ||
OST OST | 시리즈 전통의 트랙 | 이의 있음! ( ~ 나루호도 류이치 ~ 미츠루기 레이지) | 추궁 ( ~ 궁지에 몰려서~ 진실을 파헤치기 위해~ 진실을 밝혀내기 위해) | 오도로키 호스케 ~ 새로이 개정! | 키즈키 코코네 ~ 법정의 혁명아
미디어 믹스 미디어 믹스실사 영화연극애니메이션
모순점 모순점 (논리 및 과학적 오류개연성 부족 전기/후기/역검/대역게임 구조적 문제)
기타 말풍선 (잠깐!이의 있음!)제작진 (타쿠미 슈야마자키 타케시캐릭터 디자이너)분류사전더미 데이터고스트 트릭
2차 창작프로젝트2ch 역전재판 스레 위키Ace Attorney Wiki
}}} ||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파일:역전재판이 사람들 인식 다 망쳐둠.webp
현실 변호사들이 역전재판 싫어하는 이유
역전재판 시리즈 작중 발견되는 모순점들과 개연성, 그리고 현실 재판과의 차이에 대한 해명을 정리한 문서.

타쿠미 슈시나리오 라이터들이 과학적 근거, 개연성, 핍진성 등을 완벽하게 써내지는 못하기 때문에 구멍이 꽤 많고, 간단한 설명만 있어도 되는데 그렇지 않아 발생한 묘사 부족에 의한 의문점들도 많다.

한편 작품의 1차 목표가 모든 진상을 파헤치는 데 있지 않고, 피고인을 구해내는 선에서 달성되다 보니 간혹 의도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분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진범을 위협하거나 말실수를 하게 만들어 자백시키는 것으로 끝내는 에피소드들의 경우 사소한 진실들까지는 밝혀지지 않고 사건이 종료되므로 나머지는 추측으로 채워야 한다.

감독이 현실과는 다른 세계라고 말했듯, 역전재판 시리즈의 법칙이나 과학, 특히 국가 및 사회 제도(서심법정 등)와 관련된 부분은 현실과 많이 다르다. 복잡다단한 법률을 다룬다고는 하지만 그 시작은 저예산에 7명의 스태프가 만든, 회사 차원에선 전혀 기대받지 못한 프로젝트의 산물인 만큼 핍진성을 완전히 살리는 건 무리다. 다만 이런 사정을 감안해도 모순이 많다. 제작진의 미숙함도 원인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다.

2. 주의 사항

역전재판 시리즈는 어디까지나 픽션이므로 역전재판 시리즈 세계관 내에서 두 사실이 충돌할 경우, 혹은 사건 자체가 물리적으로 아예 불가능한 경우에만 모순점이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며 만약 '제도적으로' 역전재판 시리즈 내가 아닌 현실의 법정과 차이가 난다면 이는 모순이 생기는 것이 아니며 그냥 현실의 제도와 다른 것이다.

가령 연표의 사건 발생일을 실제 날짜에 맞춰보면, 일부 사건들은 현실 법정에서는 일반적으로 재판이 열리지 않는 주말이나 공휴일, 연말연시[1]에도 재판이 개정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일본을 포함한 대다수 법정에서 일어나지 않는 비현실적인 사안이지만, 이는 3일 내로 모든 걸 결정해야 하는 서심법정 제도 하에선 당연한 것이다. 3일 내로 다 해야 하는데 주말이라고 쉬면 재판할 수 있는 날이 하루밖에 없는 상황까지 갈 수 있기 때문이다.[2]

추리 게임이기 때문에 재판을 진행하다가 '진범'이 떠오르는 구간부터는 자연스레 재판의 대상이 바뀌기도 한다. 현실이라면 기소된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하고, 새로 용의자가 된 인물을 다시 기소해서 재판을 연다.

그 외에도 살인사건 담당 이토노코 형사절도사건도 담당하고 있거나, 형사사건 담당 재판장민사사건까지 담당하는 건 에피소드 하나를 위해서 새로운 형사나 판사 캐릭터를 만들어내는 건 비효율적인 일이니, 일종의 게임적 허용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3]

또한 이런 문제를 지적하는 플레어어는 대체로 게임 자체를 공격하기 위해 지적하기보다는 개연성 오류를 찾는 것을 '즐기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일부 양덕후들은 이런 모순점을 기반으로 에피소드 자체를 색다르게 해석하거나 가정하는 것으로[4] 새로운 가설을 제시하고 이런 점을 공유하면서 즐기는 경우도 많다. 즉 게임을 공격하기 위해 모순을 지적하는 게 아니라, 역으로 게임을 더욱 심층적으로 파고들기 위해 모순을 지적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이는 셜록 홈즈 시리즈를 비롯한 수많은 추리소설의 팬들이 작품을 즐기는 유서 깊은 방식이기도 하다.

본 문서 역시 "이러이러한 점이 틀렸으니 이 게임은 잘못됐다"라고 주장하기 위한 것이 아닌, "이러이러한 점이 다르니 현실과 혼동하지 말자" 또는 "이러이러한 점은 잘 생각해 보면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 정도의 인식으로 보는 것을 추천한다. 당장 아래에도 '그 많은 아이템을 어떻게 다 들고 다니나?'와 같이 단순한 게임적 허용으로 넘길 수 있는 것까지 지적하는 부분이 있다.

3. 종류

3.1. 논리 및 과학적 오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역전재판 시리즈/모순점/논리 및 과학적 오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역전재판 시리즈/모순점/논리 및 과학적 오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역전재판 시리즈/모순점/논리 및 과학적 오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개연성 부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역전재판 시리즈/모순점/개연성 부족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역전재판 시리즈/모순점/개연성 부족#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역전재판 시리즈/모순점/개연성 부족#|]]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게임 구조적 문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역전재판 시리즈/모순점/게임 구조적 문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역전재판 시리즈/모순점/게임 구조적 문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역전재판 시리즈/모순점/게임 구조적 문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역전, 그리고 안녕, 역전 서커스, 역전의 레시피 등이 대표적 사례. 에피소드 내에서도 성탄절새해맞이를 하는 묘사가 등장한다.[2] 아니면 '영업일 기준'으로 해서 법정 공휴일인 주말은 '3일 기한'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설정을 추가할 수도 있겠다. 다만 이 경우 증인들의 기억이 왜곡된다든지 굳이 급박한 상황임에도 주말동안 재판을 쉬는 묘사를 넣어야 한다든지 부가 설정이 더 필요해진다. 역전재판에서 '날짜'라는 것은 에피소드 내에서의 일자 경과를 보여주는 역할만 하면 되므로, 굳이 주말인지 연휴인지 따질 필요는 없다고 본듯하다.[3] 둘 다 에피소드 전체가 아닌 전반부에서만 다루는 사건이라는 공통점이 있다.[4] 역전재판 시리즈 내에서 대표적인 예시를 들어보자면, 나루호도 류이치 최후의 재판의 진짜 범인을 이 사람이라고 추측하는 설이 있다.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