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7 23:08:28

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애니메이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

1. 단편 OVA2. TV 애니메이션
2.1. 주제가2.2. 해외 공개
2.2.1. 대한민국
3. 극장판

1. 단편 OVA

단편 애니판의 경우 1985년 11월 23일 '점프 스페셜 애니메이션 대행진 이벤트'에서 상영된 바 있으며, 제작은 타츠노코 프로덕션이 맡고 감독은 사사카와 히로시, 캐릭터 디자인은 암모나이트, 각본은 코야마 타카오, 음악은 마츠이 타다시게가 각각 맡았다. 1988년에 <주간 소년점프>에서 이벤트 경품으로 비디오테이프를 당첨자들에게 나눠준 바 있다.

2. TV 애니메이션

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 (1996~2004)
こちら葛飾区亀有公園前派出所
파일:코치카메.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장르 코미디, 일상
원작 아키모토 오사무
감독 야스미 테츠오
미사와 신
타카마츠 신지
타카모토 요시히로
시기노 아카라
캐릭터 디자인 탄나이 츠카사
미술 감독
촬영 감독
음향 감독
음향 제작
프로듀서
제작 프로듀서
애니메이션 제작 갤럽
제작 후지 테레비
방영 기간 1996. 06. 16. ~ 2004.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 테레비 / (일) 19: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투니버스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344화
시청 등급
관련 사이트 TVA판 공식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TV 애니메이션은 연재 20주년을 맞은 1996년 6월 16일부터[1] 2004년까지 후지 테레비 민방 네트워크를 통해 방영했다. 21세기에 들어서는 다음 시간대인 일요일 저녁 7시 30분 타임에 원피스가 편성되었다. 본편 총 344화에 특별편 27화로 구성됐다.

갤럽에서 제작했는데 스태프는 선라이즈 관련 인물이 많다. 이는 갤럽에서 타카하시 료스케에게 조언을 들으러 갔더니 몇 명 써보라며 꽂아줬기 때문이라고.
장기 애니라 감독이 총 5명이나 거쳐갔는데, 3대 감독인 타카마츠 신지의 분량이 유명하며 이때부터 그는 코미디 애니메이션 전문 감독이 된다. 음악 담당은 요네미츠 료&야마우치 슈쥬로(2000년까지)[2]였다.

원작이 나온지 20년이란 상당한 시간이 지나고 나와서 그런지 원작이랑 다른 부분이 많다. 캐릭터의 등장 시기와 내용이 원작과 다른 경우가 많고 작화나 캐릭터들의 상당한 부분이 원작 중후반을 거친 디자인에 가깝다.

아무래도 초반부엔 원작의 많은 내용을 소화하기는 어려웠는지 설정 부분에서 과격한 장면들이 사라지게 되었는데 초반 원작의 기믹이 생략되고[3] 각색이 많이 이루어졌다. 오리지널 에피소드를 방영한 횟수가 많으며, 원작의 내용을 다루는 에피소드도 시대 배경이 다르다보니 각색시켜 방영할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 중에는 드물게 원작의 설정이나 에피소드를 충실히 반영한 경우도 적지 않다.

그래도 원작 또한 장기연재된 이후로 애니 방영 이전부터 많이 순해지면서 작품성이 애니와 완벽한 싱크로율을 보이며 서서히 고착되었기 때문에 캐릭터의 성격이나 내용의 재미는 만화 원작과 싱크로율이 잘 이루어졌는데, 캐릭터가 정착된 이후에는 원작 반영이 잘 된 애니메이션이기도 하다.

예를 들면 캐릭터의 등장 시기나 배경은 방영시기의 한계상 원작과는 다르지만 원작의 배경과 캐릭터 설정들을 반영하면서 오리지널 스토리로 잘 메꾸었기 때문에 원작과 비교해도 문제 없을정도로 옴니버스물을 잘 소화해낸 수작 애니메이션이 되었다.

방영 중에는 시청률 순위 10위권 안에 들 정도의 인기 시리즈였다. 2004년 이후 정기 방영은 중단됐지만 명절 등에 부정기적으로 부활해서 비정기적으로 방영했다. 다만 2008년 이후로 방영이 중단되었으나 2016년 40주년 기념으로 마지막 애니메이션을 장식했다.

2017년 특별 프로그램 <FNS 27시간 TV 일본의 역사>에서 드래곤볼 슈퍼, 원피스, 마루코는 아홉살 등과 함께 일본사 콜라보레이션 특별편을 꾸린 바 있고, 2018년 NHK BS1-종합-E테레 3개 채널에서 합동편성된 특집 장애인 스포츠 애니 시리즈 <애니×파라>에선 장애인 체육종목 중 하나인 '골볼'과 콜라보되었다.

2.1. 주제가


일본판 오프닝

한국판 오프닝

국가별 엔딩 (일본,한국 포함)[4]

2.2. 해외 공개

2.2.1. 대한민국

2010년 11월 투니버스 신작으로 깜짝 방영되었다. 더빙판 제목은 <여기는 공원앞 파출소>로 개명돼 번역은 이지영, 연출은 심정희 PD가 각각 맡았다. 그 즈음 투니버스 신작이 그러했듯이 part1, part2로 나누어 방영했...어야 했는데 어째서인지 part1만 세바퀴 돌리고는 part2 방영이 미뤄지고 있다. #

결국 1기 방영 후 거의 1년이 지난 2011년 10월 31일 11월 1일[5]에서야 part2를 방영(...) 그래도 녹음 해놔서 방영이라도 해주는듯...

3. 극장판

극장판도 2편 제작되었다. 극장판 OST인 말해라! 눈물!은 상당히 유명한 곡.

사족으로 우에키 히토시의 '닥치고 나를 따라와(だまって俺について来い)'라는 노래[6]를 6기 오프닝으로 쓴 적이 있다. 덕분에 이 노래는 영화 OST[7]로 쓰인 뒤 한참 후에 애니 OST로 다시 쓰였다는 미묘한 경력을 얻게 된다. 단, 노래는 본인이 아니라 여가수 텐도 요시미(天童よしみ)가 불렀다.

하지만 노래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역시 작품과 관련 깊은 카츠시카 랩소디(葛飾ラプソディー). 도지마 코헤이(堂島孝平)가 부른 이 곡은 39화부터 146화까지 장기간에 걸쳐 쓰였고, 훗날 Yum!Yum!ORANGE의 리메이크 버젼으로 다시금 오프닝에 쓰였다. (326화~373화)

1999년과 2003년에 두 차례 극장판이 나왔고, 종영 후 특별편이 2005~2008년, 2016년에 부정기적으로 총 9회나 방영됐다. 그 외에 반다이 비주얼에서 DVD로 냈다.[8]


[1] 그 이전엔 <키라테츠 대백과>가 편성됐다.[2] 후반부에 키타자키 마사히로도 객원으로 참여했다.[3] 료츠가 화나서 총기를 난사해대는 장면은 애니에서 등장하지 않는다.[4] 영상 순서는 발레라스어, 바스크어, 카탈루냐어, 갈리시아어, 일본어(2번째 엔딩), 스페인어, 발렌시아어, 일본어(10번째 엔딩), 한국어.[5] 기준 시간이 7시인 투니버스 편성표 상에서는 10월 31일 24시30분 첫방송이지만, 실제 시간은 11월 1일. 참고로 투니버스에서는 이거 10월 신작으로 소개했다.(...) 여담으로 옆동네에서는 11월 신작이었던 코바토。를 같은 날인 10월 31일 21시에 첫방송 해줬다... 어린이 채널편성팀의 위엄.[6] '보아라 푸른 하늘 하얀 구름' 이라는 가사로 유명한 바로 그 곡[7] 우에키 히토시 주연의 허풍선이 태합기(ホラ吹き太閤記)라는 영화다[8] 특별편 비디오테이프는 포니캐년에서 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