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4:00:41

에디(뽀롱뽀롱 뽀로로)


파일:뽀롱뽀롱 뽀로로 로고.png
등장인물
뽀뽀&삐삐 통통이
기타 등장인물
에디
Eddy | エディ
파일:뽀로로 에디.png
현재 모습(3기 이후)
파일:에디 1~2기.jpg
1~2기 시절의 모습[1]
<colbgcolor=#ffb437><colcolor=#fff> 거주지 뽀롱뽀롱마을
성별 남성
별명 똑똑박사
상징색 귤색, 노란색, 주황색, 파란색[2][3]
사막여우
성우 함수정(TV판, 극장판 1~4기/8기~ / 2003~)
김현지(극장판 5~7기 / 2019~2022)[4]
김은아(출동! 리나왕국 대모험 / 2023)
Kristen Myung-hee Cho(1기, 5기)
도로시 일라이어스 판(뽀로로의 대모험)
Bommie Han(2기)[5]
Emma Tate(뽀로로와 노래해요 구버전)
Erica Lee(3기, 4기, 뽀로로의 잉글리시 쇼)
Anna Desmarais(6기, 똑똑박사 에디 1기)[6]
Melinna Bobadilla(NEW 1)
Samantha Moon(뽀로로와 노래해요 NEW 1)
Jennifer Waescher(뽀로로와 노래해요 NEW 2, 뽀로로 동화나라)[7]
Elle Genovata(7기)[8]
콜린 오쇼너시(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북미)[9]
마츠모토 리카[10](일본 후지 테레비)
타카기 레이코(일본 디즈니주니어)

1. 개요2. 상세3. 발명품4. 기타

[clearfix]

1. 개요

영리한 꼬마 발명가 에디
1기 엔딩 가사 중
뽀롱뽀롱 뽀로로의 등장인물.

2. 상세

주연으로 나오는 수컷 사막여우.[11][12] 과학자가 꿈이라는 머리 좋은 꼬마 여우로서 매번 이것저것 신기한 기계를 발명한다.

자다가도 발명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일어나는 모습이 무서운 공돌이다.[13] 하지만 이런 계통 캐릭터가 다 그렇듯 뭔가 만들면 말썽이 생기는 경우가 태반이지만 그가 만든 기계들은 불량률이 대단히 낮다. 당장 로디만 해도 에디가 혼자 힘으로 만들어냈고,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공돌이 기믹이 점점 강화되어 뽀롱뽀롱 마을의 수리기사 역할을 도맡아 하고 있는데, 친구들의 고장난 물건들은 물론 집까지 고친다. 자동차 뚜뚜가 사고로 망가졌을 때도 엔진 부분을 빼고는 거의 다 고쳤고, 슈퍼썰매 대모험 에피소드에서는 화물기를 혼자서 수리하고 뽀로로 팀의 슈퍼썰매를 설계하기도 했다.

에디만 남자 캐릭터 4인방 중 방귀를 뀌지 않았었다가 7기에서 몸이 뚱뚱해졌을 때 비록 통통이의 마법으로 했지만 방귀를 뀌어서 원래대로 돌아왔다.[14][15]

뽀로로와는 악우 관계로, 크롱 다음으로 뽀로로와 많이 싸운다. 사실상 뽀로로와 라이벌 관계. 심지어 색도 파란색과 노란색이라 서로 보색이다.[16][17] 둘을 굳이 비교하자면 신체적인 부분에서는 뽀로로가 앞서고 지적인 부분에서는 에디가 앞서는 편이다.[18]

의외로 뽀로로, 크롱 못지않게 장난을 많이 치는 편이다. 1기에서는 장난감 폭탄으로 뽀로로, 크롱, 루피를 한 방 먹인 적도 있고, 2기에서는 눈덩이를 던지는 기계로 친구들을 겁줬다. 4기에서는 뽀로로의 모습으로 변신해서 친구들을 괴롭히기도 했다. 이후 작품들에서도 종종 장난을 친다.

일본어판에서의 1인칭은 보쿠.

도라에몽비실이짱구는 못말려철수와 비슷한 느낌의 캐릭터다.

3. 발명품

에피소드들에서 만든 에디의 발명품 목록. 여러가지 획기적인 물건들을 만들어내지만 대부분은 고장이 나거나 부서지는 경우가 많으며, 소동이 벌어지기도 한다.

그 외 자잘한 발명품들은 다음과 같다.

4. 기타



[1] 이 때는 색이 좀 진했고, 3기 이후로는 여우 특유의 째진 눈을 표현한 모습에서 웃는 모습의 인상이 전체적으로 순해졌다. 물론 3기 이후에도 가끔가다 저런 표정이 나오기도 한다. 1기 시절에는 실눈캐로 보일 정도로 거의 항상 웃는 표정이었으나, 2기부터는 평범하게 눈을 뜨고 다닌다. 원래 눈 모양은 뽀로로 일행 등과 같은 점눈.[2] 현재 에디의 털색은 아무리 봐도 귤색이고, 밝은 곳에서 보면 연노란색 내지는 상아색에 더 가깝지만, 1기에서는 거의 주황색이었기도 하고 캐릭터들이 단색으로 표현될 때는 주황색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보아 공식에서는 주황색을 더 이미지 컬러로 밀어주는 듯 하다. 우주로 여행 갈때 입는 우주복도 다른 친구들도 마찬가지로 흰색 바탕+각자의 이미지 컬러 조합인데, 이때 들어간 컬러도 귤색이 아닌 주황색이다.[3] 파란색은 3기 이후.[4] 과거 함수정 성우가 이민을 가서 이 성우로 대체되겠다는 추측이 있었으나,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해외에서 TV판만 따로 개인적으로 녹음해서 파일만 보내기 때문에 극장판 한정으로 맡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뽀로로 극장판 슈퍼스타 대모험에서도 함수정 성우가 다시 복귀하였다.[5] 패티, 해리와 중복. 셋의 대화는 사실상 Bommie Han의 자문자답인 샘. 이후에는 뽀로로의 영어 목소리를 주로 맡고 있다.[6] 패티와 중복이다. 냉장고 나라 코코몽에서는 파닥과 네콩을 맡았다.[7] 시즌 1 시점에서 나온 대교 뽀로로 세트에 수록된 CD 'Let's Sing With Pororo' 에서 수록곡들을 부르기도 했다.[8] 해리, 제이와 중복.[9]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에서 에디처럼 노란색 여우에다 공돌이 캐릭터인 테일즈로 유명한 성우다.[10] 일본의 유명 애니메이션에서 포켓몬덕후 열혈 소년역으로 유명하다.[11] 공식적으로는 종을 언급하지 않고 그냥 꼬마 여우라고 소개되지만, 귀의 모양이나 크기, 털색 등을 보면 사막여우가 확실하다.[12] 실제로는 남극에 사막여우가 살기는 힘들다. 사막여우는 귀가 커서 체온이 빨리 빠져나가기 때문. 그래서 실제 극지방에 사는 북극여우를 보면 사막여우와 달리 귀가 작아 체온 조절에 유리하다. 뭐, 이건 유아용 애니메이션이니 모른 척 하고 그냥 넘어가자.[13] 이 특징은 '나도 자고 싶어요’ 편에서 잘 묘사된다.[14] 포비는 3기 때도 그랬는데, 에디와 달리 몸은 뚱뚱해진 건 똑같지만 직접 방귀를 뀌어서 원래대로 돌아왔다.[15] 7기에 다른 에피소드에서는 먹으면 방귀가 나오는 열매를 먹고 방귀를 뀌었다.[16] 다만, 시즌 1~2에서 뽀로로와 싸운 적은 있지만 당시에는 라이벌이라고 하기에는 애매했다. 그러다가 시즌 3에서 로디가 등장한 이후부터 라이벌 구도가 제대로 형성되었다.(뽀로로 & 크롱 vs 에디 & 로디)[17] 물론 모든 에피소드에서 악우는 아니고, 서로 도와주는 에피소드도 상당하다. 그리고 서로 도와주는 편에서는 의외로 일이 쉽게 풀리는 경우가 많다.[18] 그러다보니 에디는 운동신경에 있어서는 뽀로로에게 밀리지만 기술력만큼은 확실히 압도하는 수준이다.[19] 시연했을 때 돌을 쿠키로 만드는 시범을 보였지만, 크롱이 몰래 먹으려고 했을 때는 너무 딱딱했다. 즉, 겉모습만 쿠키로 변했지 여전히 돌이었던 셈이다.[20] 3호는 유일하게 그 모습이 비춰지지 않는다.[21] 현재 포비는 곰 발바닥이 프린팅된 하늘색-흰색 티셔츠와 청바지를 입고 있다.[22] 다만 함수정 문서에도 나와 있듯이 현재는 함수정 성우가 다시 귀국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현장에서 직접 녹음할 수도 있다.[23] '노래를 한다'를 '노래 부른다'라고 불렀다.[24] 뽀로로 3기 '에디가 감기에 걸렸어요' 편에서 심한 감기에 걸려 감기가 잘 안낫자 루피가 주사를 놓으려 할 때 겁에 질려 밖으로 뛰쳐 도망간다.[25] 참고로 에디의 노래와 원본은 각각 7기 9화와 15화에 재등장했다.[26] 1기 33화에선 현대 과학기술로도 못만드는 UFO도 만들었다.[27] 다만 장편 에피소드들을 기반으로 뽀롱뽀롱 마을이 가상의 섬인 뽀롱뽀롱섬에 있다는 추측도있지만 시즌 7에서 남극으로 나왔기에 아직 확실하지 않다. 이는 뽀롱뽀롱 뽀로로 작품이 옴니버스라서 그렇다.애초에 설정이 그렇게 중요한 만화도 아니다[28] 심지어 북극곰인 포비는 열이 나서 몸을 못 가눴고, 따뜻한 곳에서 온 해리 역시 덥다고 할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