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부터 야생에 살고 있는 야생말(Wild horse)에 대한 내용은 야생말 문서 참고하십시오.
2인조 남성그룹 노라조의 디지털 싱글곡에 대한 내용은 야생마(노래) 문서
, 가수 이승윤의 노래 야생마에 대한 내용은 비싼 숙취 문서
, 유튜버에 대한 내용은 야생마(유튜버) 문서
참고하십시오. 야생마 Feral horse | |
학명 | Equus ferus caballus Boddaert, 1785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 Chordata |
강 | 포유강 Mammalia |
목 | 기제목 Perissodactyla |
과 | 말과 Equidae |
속 | 말속 Equus |
종 | 야생말 E. ferus |
아종 | 말 E. f. caballus |
[clearfix]
野生馬 / mustang, bronco, feral horse
1. 개요
야생에서 자란 가축 말을 일컫는 단어.한국어 표현으로 '인간의 손을 타지 않은 순수한 야생마'의 의미를 가진 말은 몽골야생말이나 유럽야생말 타르판 같은 진짜 '야생말'을 두고 하는 말이며, 흔히 '야생마'라고 칭하는 말들은 사람이 사육하던 말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야생으로 돌아가 번식한 개체들을 말한다.
2018년 연구결과에 따르면, 마지막 남은 야생마라고 여겨지던 몽골야생말조차 실제로는 청동기 시대에 길들여진 말들이 재야생화 되었음이 유력해보인다. 즉, 인간의 손길을 아예 한번도 거치지 않은 진짜 야생마는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다만 2021년 이에 대한 반론이 등장하여 주장에 대한 재검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중이므로 아직 속단할 수는 없다.
2. 상세
야생마(feral Horse)는 살아가는 동안 인간에게 길들여지거나 사육되지 않고 야생에서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말이다. 길을 잃었거나, 탈출했거나, 고의로 야생으로 방출된 가축말의 후손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야생에서 생존하고 번식하기 위해 살고 있다. 야생 상태에서 살지만 때때로 인간이 다루거나 관리할 수 있는 일부 말, 특히 개인이 소유한 경우 "반야생"이라고 한다.인간과 멀어지면 시간이 지나면서 야생성이 강화되어 야생말과 행동 패턴이 매우 유사해진다. 야생말처럼 무리, 밴드, 하렘이라고 불리는 무리 생활을 한다. 이 무리는 일반적으로 우두머리이자 종마 역할의 숫말이 이끄는 하렘으로 구성되며, 암말들, 망아지 및 어린 말들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무리의 수컷은 한 마리이지만, 때로는 낮은 서열의 수컷 한두 마리가 무리에 잔존하는 경우도 있다. 무리는 일반적으로 3~5마리 정도로 작은 편이지만 12마리가 넘는 경우도 있다. 일정한 서식지 내에 여러 작은 야생마 무리들이 서식지를 공유하며 산다.
말의 조상인 히라코테리움(Hyracotherium)은 본래 아메리카 대륙에서 기원이었으나 선사시대 때 아메리카 대륙에서 완전히 멸종했다.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은 오래전에 다른 대륙과 분리가 되어 말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다.
젊은 말이 자신이 태어난 무리에서 쫓겨나 다른 무리에 합류하거나 어린 종마가 나이 많은 수컷에게 지배권을 놓고 도전하면서 시간이 지나면 무리의 지도자는 바뀌고 구성도 달라진다.
오늘날 대부분의 야생마가 살고 있는 서식지는 일정한 몇몇 지역에 한한다. 이런 곳에서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말 또는 당나귀 개체군의 최소 규모는 150~200마리이다.
야생마가 서식하는 지역엔 위협할만한 천적이 적고 그나마 있는 천적들마저도 말의 피지컬 때문에 말을 사냥감으로 그닥 선호하는 편이 아니라 천적에는 취약하지 않은 편이지만, 각종 질병엔 취약한 편이다. 길들여진 말이야 뭐 인간이 치료해 주겠지만 야생마는 그런 거 없기 때문에 병에 걸리면 매우 치명적이다.
얼룩말도 야생마가 아니냐는 의견이 있지만, 얼룩말은 말보다는 당나귀에 가깝고 더러운 성질머리 때문에 가축화가 거의 불가능해서 야생마라고 부르는 경우는 없다.
유럽의 식민지 시절이나 아메리카 국가들의 개국 초기에 백인들이 말이나 당나귀를 타거나 이를 사역해 부리는 모습들을 보았던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이 기묘하고 쓸모가 많은 짐승을 잡아 길들여 이용했는데,[1] 이 때문에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 민족들 사이에서는 백인들이 사육하던 중 탈출하여 야생화된 야생마를 잡아기르거나, 또는 유럽의 식민제국이나 유럽에서 독립한 아메리카의 열국들과 원주민 세력 사이에 전쟁이 벌어졌을 당시 미군이나 멕시코군, 스페인군, 칠레군, 아르헨티나군 등이 사육하던 군마들을 노획해서 길렀고, 말을 길들여야 성인으로 대우한다거나, 장가를 보낼 때 처가댁에 지참금으로 말을 지불한다거나 하는 관습들이 새로 생겼다. 북미 서부의 수우 족이나 야키마 족, 아파치 족, 나바호 족, 남미 남부 파타고니아 지역의 테우엘체 족과 마푸체 족의 경우에는 따로 가르쳐 주지도 않았는데도 말을 타고 들소나 사슴, 가지뿔영양, 레아, 과나코, 퓨마, 여우, 코요테, 늑대, 곰 같은 야생동물을 사냥하는 방법을 배우거나, 마상궁술을 비롯한 기마전술도 익혀 미국의 서부개척과 아르헨티나와 칠레의 남부개척 당시 미군과 아르헨티나군, 칠레군과 싸우기도 했다.[2] 그리고 당시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편자 만드는 기술이 없을 때 가죽으로 말 발굽을 싸는 식으로 대체했다고 한다. 이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말을 오래 타고 다니거나 짐말로 부리기 힘들다.
흔히 이 야생마에는 자유분방하고 제멋대로고 성격이 드세다라는 의미가 부여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보니 현실에서 사람의 별명으로 쓰이는 경우에는 그 사람이 한성질하거나 자유로운 영혼을 가졌다는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쓰인다고 생각하면 쉽다. 이 같은 별명을 가진 사람중 가장 유명한건 역시 LG 트윈스의 전설로 불리는 이상훈. 최근에 유명인에게 야생마라는 별명이 붙은 사례로는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한정 헨리가 있다. 다만 이쪽은 진짜 사나이 제작진 측에서 억지로 헨리에게 이런 캐릭터를 갖다 붙히는 게 아니냐는 비판도 있다. 서브컬처에서도 괄괄한 선머슴같은 장신에 글래머 슬렌더 미녀캐나 집시여인 및 야생녀가 야생마라 불리기도 한다.
이 외에도 거칠고 강하다는 뜻에서 본인의 차량에 야생마라는 별명을 붙히는 경우도 간혹 있다. 혹은 아예 차 이름으로 붙여지거나.
야생마를 길들이거나 회유하는 것을 통해 그 인물의 힘이나 카리스마 등을 부각시키는 경우도 있다. 알렉산더 대왕의 부케팔로스, 항우의 오추마, 라오우의 흑왕이 그 예이다.
3. 대륙별 야생마
3.1. 아시아
일본의 미사키말, 스리랑카의 델프트섬말, 튀르키예의 년키말이 존재한다.3.2. 아프리카
에티오피아의 쿤두로말, 나미비아의 나미브사막말이 존재한다.3.3. 유럽
루마니아의 다뉴브삼각지말, 포르두갈의 가라노, 이탈리아의 지아라말, 스페인의 마리스메뇨, 네덜란드의 코닉, 영국의 웨일스조랑말[3]이 존재한다.3.4. 북아메리카
북미 서남부에 서식하는 현생 야생마, 머스탱은 백인들이 금광을 찾거나 탐험 과정에서 생겨났다. 장기간 탐험 중에 말을 가지고 가기 힘들거나 편자 교환이 어려운 경우가 생기는데, 정들었던 말을 죽이기도 그렇고 해서 버리고 간 게 세를 늘리고 무리를 이룬 것이다. 이렇게 늘어난 놈들을 다시 잡아 가축으로 삼기도 했지만, 한번 야생으로 돌아가 인간의 손에서 벗어난 녀석들을 길들이는 게 쉽지 않다.[4]그외에도 북미에는 앨버타산악말, 뱅커홀스, 친코티그포니, 컴벌랜드섬말, 엘레게시키유스야생마, 노코타말, 세이블아일랜드말이 존재한다.
3.5. 남아메리카
브라질의 야생마 라브라데이로는 콘키스타도르들이 도입한 말의 후손이다. 현재 약 50마리가 기관에 보호를 받고 있지만 그외의 확실한 개체수는 알 수 없다고.콜롬비아와 볼리비아에도 적은 수의 야생마들이 존재한다.
3.6. 오세아니아
호주의 야생마 브럼비는 1788년부터 영국에서 호주로 싣고온 말들의 후손이다. 1787년 영국이 호주 남동부를 뉴사우스웨일즈 식민지로 선포하고 이듬해 죄수들을 시드니에 상륙시켜 호주 식민지 개척에 나섰는데 이때 농사 및 각종 작업용으로 쓰기 위해 말들을 대량으로 데려왔다. 1820년대까지 3,500여 필의 말이 호주로 들어왔고 식민지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야생으로 달아난 말들이 야생화한 것이다. 이름의 유래에는 여러가지 설이 있는데 1790년대 호주로 온 영국 군인 제임스 브럼비가 1804년 전년에 개척이 시작된 태즈메니아 섬으로 옮겨가면서 남겨두고 간 주인없는 말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야생을 뜻하는 호주 원주민어 바룸비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이 있다.호주에선 관광용으로도 사용하고, 말고기용(전체 말고기 수출량의 30%)으로도 사용하는데 국립공원 등지에서 수가 불어나 브럼비가 식물을 마구잡이로 먹어치우고 이로인해 해당 식물과 상호작용하는 캥거루나 에뮤 등 다른 토착 야생 동물들의 생존까지 위협하며 유럽인들에 의해 도입된 굴토끼나 붉은여우, 들개, 들고양이처럼 현지 생태계를 파괴하는 골칫거리가 되었다. 특히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에선 아예 생태계교란종 취급이다. 그 넓은 호주땅에서 수많은 말들을 하나하나 번식통제 한다는건 현실적으로 예산과 인력이 너무 많이 소요돼서 국립공원 측에선 그냥 헬기타고 날아가서 총으로 쏴 죽이는 방법으로 개체수를 조절하는데 이를 놓고 동물보호 단체에선 반대한다.
또한 뉴질랜드와 카이마나와 말, 우아후카, 일르 마흑끼스,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엔 마흑끼스제도말이 서식한다.
4. 야생마와 관련있는 인물
- 야생마(유튜버)
- 김주성(축구)
- 김태홍(농구)
- 마낙길(배구)
- 유우성(종합격투기)
- 이상훈(좌완투수)[5]
- 헨리(가수) -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한정.
- 현아 - 원더걸스 시절 한정.
- 야시엘 푸이그
5. 매체에서
- 디노(가정교사 히트맨 REBORN!)
- D-BOY - 국내 더빙판 한정.
- 테리맨[6]
[1] 선사시대까지 아메리카 대륙에서도 말이나 맥 등 기제류들이 서식했지만, 선사시대 이후에 맥을 제외한 말은 멸종되어 당시 아메리카 대륙에서 기제류 야생동물이라고는 중남미 지역 한정으로 맥 밖에 남지 않았다.[2] 영국, 스페인 등 유럽의 제국주의 열강들이 말이나 소, 당나귀, 양, 염소, 돼지 같은 가축들을 북미와 남미의 식민지에 수입하기 전까지 그 동안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풀숲이나 계곡 등지에 잠복하여 잡거나 절벽으로 유인해 떨어트려 죽이는 방법으로 야생동물들을 사냥했다.[3] 대부분 길들여졌지만 약 180마리의 야생 개체군이 웨일스 북부에 서식한다.[4] 실제로 미국 남부에서 로데오 경기에서 쓰이는 말을 보면 카우보이가 등에 타자 격렬하게 몸부림을 치며 등에서 떨어뜨리려고 하는데, 이 말들은 대부분 야생으로 살고 있던 말들을 생포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이전에 사람 손을 탔던 동물이라 경험이 많은 사람이 작정하고 훈련시키면 짧은 시간에 다시 길들일 수 있다. 무작위로 이런 머스탱을 뽑아서 정해진 기간 안에 조교해서 퍼포먼스를 다루는 대회도 존재한다. 이렇게 길든 야생마들은 대회가 끝난 뒤 새 주인에게 입양된다고 한다.[5] 보통 아무런 칭호없이 "야생마"만이 별명으로 나와있다면 이쪽을 가리키는 경우가 80%이상이다.[6] 이명이 텍사스 브롱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