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00:53:40

야놀자

<colbgcolor=#000><colcolor=#fff> 주식회사 야놀자
Yanolja Co., Ltd.
파일:야놀자 로고.svg
설립 2007년 2월 1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08길 42 (대치동 1003)
최대주주 소프트뱅크 비전 펀드 (25% / 2023년)
창업자 이수진, 임상규
의장 이수진
대표 이수진
업종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정보 제공업
기업 분류 중견 기업
부채 1조 2,269억원 (2023년 연결)
자본 1조 3,968억원 (2023년 연결)
매출 7,667억원 (2023년 연결)
영업이익 17억원 (2023년 연결)
신용등급 BBB+ (이크레더블 / 2023년 6월)
BBB- (나이스디앤비 / 2023년 5월)
임직원 981명 (2023년 12월)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icon_ios_60x60.pn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지배구조4. 그룹 자회사 및 계열회사
4.1. 놀유니버스4.2. 클라우드 솔루션
4.2.1. 야놀자클라우드
5. 여담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트래블테크 기업. 전세계 여행 서비스 및 기술을 개발 및 제공해 여행 관련 B2B2C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2. 역사

2005년 이수진 대표가 자본금 5,000만 원으로 창업했다. 이수진 창업자는 20세에 모텔 청소부로 일하던 소위 '흙수저' 출신이었지만 모텔에서 직원으로 일하며 포착한 문제점들을 기반으로 창업 아이디어를 구상했다고 한다. 창업 초창기 UI는 숙박업소 정보를 한데 모아 보여주는 '호텔모텔펜션'이라는 PC 사이트였으며, 숙박업소 예약 전문 플랫폼으로 발전시키고자 노력했으나 여러 번 실패했다. 그러다 2010년대 들어 스마트폰이 상용화되면서 모바일 예약 결제가 일상이 되자 숙박업주들의 예약에 대한 인식도 바뀌기 시작했고, 숙박업소 당일 예약 시스템을 구축해 사업이 본격적으로 성장 가도에 들어섰다. # 시장의 호응을 얻은 것이 2014년이었으니 무려 10년 가까이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도전해온 셈.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던 2015년 이수진 대표가 '리스타트'를 선언하며 사업 포트폴리오를 본격 확장했다. B2C 사업은 모바일 앱을 출시하고 숙박에 한정됐던 예약 서비스를 레저로 확대해 여행 수퍼앱으로 포지셔닝하기 시작했다. 또한, 2017년부터는 전세계 산업 트렌드가 클라우드 기반으로 변화하는 트렌드를 포착해 호텔 자동화 솔루션으로 B2B 사업에도 뛰어들었다. 2019년에는 국개 1, 2위 자산관리 솔루션 기업 '가람', '씨리얼'을, 2020년에는 글로벌 호스피탈리티 솔루션 선도기업인 '이지테크노시스'를 연이어 인수하며 여행 B2B 시장에도 성공적으로 진출했다. 그 결과, 2019년 부킹 홀딩스와 싱가포르 투자청으로부터 1.8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고 국내 최초 여행 유니콘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2021년 7월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 비전 펀드로부터 17억 달러를 투자받아 데카콘 기업으로 등극했다. # 이어 진행한 2020년 실적 발표에서 전년 대비 16.7% 성장한 2,888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109억 원의 영업이익을 내면서 코로나19로 여행업계가 침체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 이어 2021년 국내 1위 호텔 솔루션 기업 '산하정보기술'과 글로벌 AI 전문기업 '데이블' 인터파크 여행 사업부문까지 인수하며 글로벌 여행시장 공략에 본격 나섰다.

2023년 6월에는 인터파크의 사명을 '인터파크트리플'로 변경하고, 공식 비전선포식을 통해 '인바운드 여행객 5천만 명 유치를 통해 국가경제에 기여하겠다'는 비전을 밝히기도 했다. 이는 글로벌 트래블 테크(Travel+Technology) 기업으로서의 방향성을 본격화한 것으로, 야놀자와 인터파크의 풍부한 여행 관련 인벤토리, 트리플의 AI 기술, 야놀자클라우드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비전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후 11월 발표한 그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이 역대 최대 분기 매출과 거래액을 기록해 다시 한번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특히 눈에 띄는 사업부문은 첫 분기 흑자를 기록한 클라우드 부문, 무엇보다 클라우드 부문은 해외 영업이익이 급증해 B2C뿐만 아니라 B2B 사업에서도 수출기업의 역할을 하고 있는 셈.

2023년 5월 글로벌 탑티어 B2B 여행 솔루션 기업인 고 글로벌 트래블(GGT)를 인수하면서 200여 개국에서 1백만 인벤토리와 20여 개 해외지사를 확보했다. 당시 나스닥이 축하 메세지를 띄워 국내외 관심을 받기도 했다.

2023년 12월에는 20년 이상 뉴욕증권거래소에 근무해온 글로벌 자본시장 리더 알렉산더 이브라힘(Alexander Ibrahim) 최고재무책임자를 영입했다. 이번에는 뉴욕증권거래소가 이를 축하하는 게시물을 대대적으로 전광판에 게시해 또 한 번 글로벌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2024년 6월 7일, 블룸버그는 내부 소식통을 인용하며 내달 미국 증시에서 기업공개를 통해 4억 달러 자금 조달을 추진하고 있다는 보도를 전했다. 다만 기업가치 최대 12조원을 목표로 하는 반면 시장 상확 악화로 인해 장외시장에서 실제 거래는 6조원 남짓에 불과할 정도로 괴리가 큰 상황이다.

야놀자는 2024년 10월 15일 플랫폼사업 부문을 단순·물적분할 해 신설회사로 '주식회사 야놀자플랫폼'을 설립했다. 야놀자플랫폼은 야놀자가 발행주식의 100%를 보유한 완전자회사였다.

2024년 12월 31일, 야놀자의 자회사인 인터파크트리플은 야놀자플랫폼을 흡수합병하여 놀유니버스를 설립했다.

3. 지배구조

<rowcolor=#fff> 주주명 지분율 비고
소프트뱅크 비전 펀드 24.93% [1]
이수진 16.37% CEO
임상규 8.25% 공동창업자
싱가포르투자청 7.58% [2]
박정현 5.15%
이예님 5.15%
이예라 5.15%
<rowcolor=#fff> 2023년 12월 기준

4. 그룹 자회사 및 계열회사

4.1. 놀유니버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놀유니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2년 야놀자가 인수한 인터파크트리플은 여행ㆍ항공 예약, 공연ㆍ전시/행사 티켓 예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파크 티켓’과 초개인화 여행 플랫폼 ‘트리플’을 운영하고 있다. 2023년 글로벌 콘텐츠 허브 인터파크와 데이터 기반 여행 플랫폼 트리플 간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겠다는 비전을 담아 ‘인터파크트리플’로 사명을 변경했다. 야놀자는 인터파크트리플이 수십 년간 쌓아온 여행ㆍ여가 전문성과 기술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원톱 트래블테크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인터파크트리플은 국제항공운송협회 항공여객 판매대금 정산제도(Billing and Settlement Plan; BSP) 2023년 전 지점 합산 누적 거래액 기준으로 업계 1위를 차지하며 국내 대표 여행ㆍ여가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 해외여행 1등 플랫폼을 강조하기 위해 광고업계 섭외 1순위 전지현을 광고 모델로 기용한 것이 화제가 됐다. 전지현이 ‘최저가 크다’, ‘혜택 크다’, ‘완전 쇼크다’ 등 ‘크다’라는 어휘를 반복적으로 언급하면서 인터파크의 핵심 브랜드 키워드를 직관적으로 노출했다는 평이다.

4.2. 클라우드 솔루션

야놀자는 야놀자클라우드를 통해 자산관리시스템(Property Management System)ᆞ채널링 솔루션(Channel Management System)ᆞ키오스크 등 호스피탈리티 솔루션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 수출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전세계 어디서든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글로벌 솔루션 라인업을 갖춰, 국가, 지역, 규모, 운영 형태 등 고객 환경과 니즈에 따라 패키지 혹은 모듈 형태로 제공한다. 특히, 과거 서버설치형(온프레미스) 솔루션 대비 합리적인 설치ᆞ유지보수 비용, 관리 인력 최소화 등 클라우드 소프트웨어의 장점을 활용해 전세계 대형 호텔 체인뿐 아니라 중ᆞ소형 호텔도 적극적으로 공략 중이다.

[호스피탈리티 솔루션]
호스피탈리티 솔루션은 호텔, 리조트 등 숙박 시설의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고 이용자 편의를 높이는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솔루션 및 하드웨어 솔루션을 말한다. YCS, 산하정보기술, 인소프트, GGT 등 야놀자클라우드 멤버사를 통해 전세계 200여 개국을 대상으로 수출 및 공급 중이다. 호스피탈리티 운영 전반을 관리할 수 있는 자산관리시스템(PMS), 채널관리시스템(CM), 클라우드 키오스크(Kiosk), 부킹엔진(BE) 등이 있다. 이와 함께, 채널링 솔루션을 통해 전세계 1만여 온오프라인 여행사에 1백만개 이상의 인벤토리를 공급하며 글로벌 여행 네트워크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푸드테크 솔루션]
클라우드 기반의 다양한 F&B 솔루션을 통해 국내외 식음사업장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 사업주의 운영 효율 및 고객 편의 제고를 통한 차별화된 식음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야놀자에프앤비솔루션은 식음 공간의 경험을 극대화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 중이며, 식음 사업장 운영 전반을 관리할 수 있는 고객 관리 솔루션, 웨이팅 솔루션, 사업자를 위한 공간 관리 솔루션 등이 있다.

4.2.1. 야놀자클라우드

야놀자클라우드는 여행ᆞ여가 산업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SaaS(Software-as-a-Service)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전세계 200여 개국에 60 여 언어로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으며, YCS(Yanolja Cloud Solution)ᆞGGT(Go Global Travel)ᆞ산하정보기술ᆞ야놀자에프앤비솔루션 등 멤버사와 함께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혁신기술을 활용한 솔루션 라인업을 선보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고객 니즈에 맞춰 사업자에게는 최적화된 운영 환경을, 고객에겐 더 나은 경험과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도록 여행 및 호스피탈리티 산업 전반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한다.

현재 야놀자클라우드는 호스피탈리티 솔루션 전문성을 바탕으로 전세계 각지의 특색, 여가 공간 형태와 규모, 서비스 범위 등 다양한 고객사의 니즈에 부합하는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호스피탈리티 사업자의 운영 효율 및 이용 고객의 즐거움을 극대화해 차별화된 여행ᆞ여가 경험을 만들어 나간다. 현재 유럽ㆍ미주ㆍ아시아ㆍ인도ㆍ아프리카 등 전세계 각지에서 고른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야놀자클라우드는 솔루션을 기반으로 글로벌 트렌드 데이터 바탕의 인공지능 기술 연계에도 나선다. 독보적인 글로벌 여행ᆞ여가 데이터 레이크를 확보해 전세계적인 인공지능 기술 확산에 선도적으로 대응해 나가며, 글로벌 여행 시장의 혁신을 이끄는 기업으로 나아가고 있다. AI의 발전과 함께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 변화는 가속화되며, AI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 역시 중요성이 커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야놀자클라우드는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네트워크와 이를 유통하는 역량을 키워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한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과 솔루션으로 축적한 글로벌 트렌드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전세계인이 누구나 쉽게 여행할 수 있는 초개인화 패키지 상품을 구현할 계획이다. 야놀자와 인터파크트리플이 보유한 방대한 양의 인벤토리와 야놀자클라우드의 글로벌 여행 트렌드 데이터를 결합해 각 고객에 최적화된 여행 상품을 만들 수 있다. 야놀자클라우드가 확보하는 다량의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결합해 보다 정교한 트렌드를 예측할 수 있고, 메타 데이터 기반으로 각 여행객에 최적화된 여행 계획도 자동으로 구성해 제공할 수 있다. 한국을 모르는 해외 고객이라도 별도의 정보검색 없이, 인공지능이 고객의 여행 경험이나 성향을 바탕으로 최적화된 한국 여행 특화 패키지를 만들어 제안할 수 있을 전망이다.

5. 여담

6. 둘러보기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00,#FFF><colcolor=#000,#FFF>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유니콘 기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옐로모바일 로고.svg 파일:위메프 로고.svg 파일:야놀자 로고.svg
파일:토스(금융) 로고.svg파일:토스(금융) 로고 화이트.svg 파일:무신사 로고.svg파일:무신사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이프로젠 로고.svg
파일:컬리 로고.svg 파일:티몬 로고.svg파일:티몬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두나무 로고.svg
파일:리디주식회사 로고.svg 파일:당근(플랫폼) 로고.svg 파일:빗썸 로고.svg
파일:오늘의집 로고.svg파일:오늘의집 로고 화이트.svg 파일:직방 로고.svg 파일:여기어때 로고.svg
파일:APR 로고.svg파일:APR 로고 화이트.svg 파일:Tridge_로고.svg 파일:Igaworks_로고.svg
L&P코스메틱 GP클럽 A사(기업명 비공개)
기준: 중소벤처기업부 발표 2022 국내 유니콘 기업 및 2023년 언론 보도 현황
}}}}}}}}} ||




[1] SVF II Crystal Subco Pte Ltd 명의.[2] Apfin Investment Pte Ltd 명의.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