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른트 레노|1 레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2 테터 · 3 배시 · 5 안데르센 · 6 리드 · 7 라울 · 8 윌슨 9 무니스 · [[톰 케어니|10 케어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11 아다마 · 12 비니시우스 · 15 J. 쿠엔카 · 16 베르게 · 17 이워비 18 안드레아스 31 디오프 · 32 스미스 로우 · 33 로빈슨 |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알렉스 이워비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둘러보기 틀 모음 | |||
개인 수상 | ||||
|
| ||||
<colbgcolor=#ffffff><colcolor=#000000> 풀럼 FC No. 17 | ||||
알렉스 이워비 Alex Iwobi | ||||
본명 | 알렉산더 추카 이워비 Alexander Chuka Iwobi | |||
출생 | 1996년 5월 3일 ([age(1996-05-03)]세) | |||
나이지리아 라고스 | ||||
국적 | [[나이지리아| ]][[틀:국기| ]][[틀:국기| ]]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잉글랜드|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 | 키 183cm[1] / 체중 75kg | |||
포지션 | 윙어, 중앙 미드필더 | |||
주발 | 오른발 | |||
소속 | <colbgcolor=#ffffff><colcolor=#000000> 유스 | 아스날 FC (2004~2015) | ||
프로 | 아스날 FC (2015~2019) 에버튼 FC (2019~2023) 풀럼 FC (2023~ ) | |||
국가대표 | 83경기 10골 (나이지리아 / 2015~ )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fffff><colcolor=#000000> 가족 | 삼촌 제이제이 오코차 | ||
역대 등번호 | 아스날 FC - 17번, 45번 에버튼 FC - 17번 풀럼 FC - 22번, 17번 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18번 | |||
후원사 | 푸마 | |||
SNS | ||||
종교 | 개신교[2] |
[clearfix]
1. 개요
나이지리아 국적의 풀럼 FC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윙어.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 경력
|
2017년 11월, A매치에서는 무려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두 골을 넣었다.
2018년 6월, 잉글랜드와의 경기에서도 골을 넣었다.
계륵 취급도 당하지 못하는 아스날에서와 달리 국가대표팀에서는 뛰어난 실력을 지닌 에이스로 인정을 받고 있다. 윙으로 출전하는 아스날과 달리 본인이 좋은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중앙 공격형 미드필더 혹은 세컨 탑으로 기용이 되는 것이 주요 이유.
2018 러시아 월드컵 나이지리아 대표팀 유니폼이 흑인들 사이에서 굉장히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데 그 나이지리아 대표팀의 유니폼 메인 모델이 이워비다. 이는 나이지리아 대표팀에서 이워비의 위상을 잘 보여주는 예시다.
그러나 정작 본선에서는 활약이 0. 1차전에 선발 출전 후 클럽에서의 클로킹을 시전하다 교체됐고 팀도 졌다. 2, 3차전엔 경기 종료직전에 교체투입됐고 당연히 아무것도 못했다. 이워비의 첫 국대 메이저 대회는 허무하게 종료되었다.
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16강 튀니지전에선 이헤나초와 교체되며 투입됐는데 교체 투입 4분만에 상대를 스터드로 가격하는 위험한 파울로 다이렉트 퇴장을 당하며 팀의 탈락의 원흉이 되고 말았다.
4. 플레이 스타일
온더볼 상황에서 두각을 드러내는 크랙. 주로 윙어와 중앙 미드필더 자리에 출전하지만, 때에 따라서 윙백, 공격형 미드필더, 폴스 나인까지 소화하는 유틸리티성을 갖추고 있다.이워비의 주발은 오른발이지만, 약발인 왼발도 수준급으로 잘 쓰는 선수로, 공을 다룰 때에는 위치와 양발을 가리지 않고 공을 다룬다. 기본적인 발재간이 매우 좋은 테크니션으로 삼촌만큼은 아니지만, 개인 기술로 공을 간수하며 상대의 압박을 벗겨낼 수 있다.[3] 미드필더로서 시야도 잘 확보할 수 있고 패스 센스도 나쁘지 않지만, 공을 방출하는 패스보다는 직접 공을 가지고 운반하고 돌파해내는 드리블에 더 강점을 드러낸다. 에버튼에서는 공격형 미드필더로 뛰다가, 말미부터 드리블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윙어나 중앙 미드필더로 뛰고 있으며, 풀럼에서는 아예 주전 윙어로서 활약하고 있다. 게다가 벌크업한 이후로 피지컬과 신체 밸런스가 잡히면서 힘 있는 압박과 탄력 있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워비는 상술한대로 유틸리티성이 좋은 선수인 만큼, 유망주 시절부터 포지션 이해도와 전술 이해도 등 전반적인 축구센스가 남달랐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다양한 포지션에서 활용되는 유틸리성은 에버튼에 입단한 이후, 카를로 안첼로티 감독이 부임한 후부터, 돋보이기 시작했다. 카를로 안첼로티 감독 체제 하에서는 윙백으로 뛰기도 하고, 프랭크 램파드 감독 밑에서는 중앙 미드필더로[4], 션 다이치 체제에서는 다시 윙어로 뛰는 등 어느 위치에서 뛰든 1인분 이상을 해주는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거듭났다.
본래 이워비는 윙어였지만, 감독들은 그를 중앙 미드필더나 윙백으로 쓰기도 했다. 이는 이워비의 활동량이 왕성하고 움직임을 성실하고 폭넓게 가져간다는 점에서도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20-21 및 21-22시즌 윙백으로 주로 뛰면서 수비적인 능력이 향상되었고, 22-23시즌에는 중앙 미드필더로 뛰게 되면서 이워비의 단점을 가리고 장점을 돋보이는 플레이를 펼칠 수 있게 되었다. 경기장 내에서 이워비는 볼 운반을 통한 공수의 연결고리 역할에다가, 수비 상황에서는 상대를 적극적으로 마킹하면서 팀의 힘싸움과 수싸움에 보탬이 되는 플레이를 펼친다.
이워비의 단점으로 우선 아쉬운 킥과 슈팅력을 꼽을 수 있다. 공을 운반하는 능력은 좋지만, 공을 방출하고 직접 마무리짓는 능력은 다소 아쉽다. 때문에, 2선으로 출전했을 때에는 드리블에 비해 창의성 높은 키패스나 위협적인 슈팅에서 나오는 스탯 생산력을 기대하기 힘들다. 물론, 센스가 좋은 선수라 연계 플레이는 좋아서, 에버튼 시절 공격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팀 공격의 템포 조율 및 볼 순환에 크게 기여하였다.
키패스나 슈팅은 물론, 주로 출전 중인 측면에서는 컷백과 크로스의 널뛰기, 기복이 존재한다. 때문에, 측면에서 뛸 때에는 간혹 고립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는 방출 및 마무리 부족에 더해 부족한 민첩성이 더해지면서 두드러지고 있다. 벌크업을 시도한 이후로, 늘어난 체격에 비해 주력은 느려져서 상대방과의 1대1 대치 상황에서 상대방이 공의 방향을 예측하면 볼이 끊기는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전반적인 수비 가담에 있어 아스날 시절보다는 발전했지만, 2선 자원이기에 윙백으로 나왔을 때 완숙한 수비력을 기대하기 힘들다. 가끔 마크 상대를 놓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에버튼과 풀럼으로 이적한 이후로, 여러 방면에서 경험이 쌓이고 아스날 시절보다는 발전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봤을 때 좋게 말하면 육각형의 선수라고 할 수 있지만 객관적으로 봤을 때 어느 한 부분에서 특출난 장점 없이 모든 면에서 뭔가 애매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모습들 때문에 빅클럽에서 주전으로 뛰기는 힘들며, 중하위권의 팀에서는 충분히 주전급 미드필더로 활약할 수는 있는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5. 기록
5.1. 개인 수상
- CAF 올해의 유소년 선수: 2015
6. 여담
- 추바 악폼과는 어렸을 때부터 친구였다고 한다.
- 나이지리아의 전설적인 플레이 메이커인 제이제이 오코차의 조카이다.
7.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풀럼 FC 2024-25 시즌 스쿼드[주의] | ||||||
번호 | 국적 | 포지션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비고 | |
1 | | GK | 베른트 레노 | Bernd Leno | 1992년 3월 4일 | ||
2 | | DF | 케니 테테 | Kenny Tete | 1995년 10월 9일 | ||
3 | | DF | 캘빈 배시 | Calvin Bassey | 1999년 12월 31일 | ||
5 | | DF | 요아킴 안데르센 | Joachim Andersen | 1996년 5월 31일 | ||
6 | | MF | 해리슨 리드 | Harrison Reed | 1995년 1월 27일 | ||
7 | | FW | 라울 히메네스 | Raúl Jiménez | 1991년 5월 5일 | ||
8 | | MF | 해리 윌슨 | Harry Wilson | 1997년 3월 22일 | ||
9 | | FW | 호드리구 무니스 | Rodrigo Muniz | 2001년 5월 4일 | ||
10 | | MF | 톰 케어니 | Tom Cairney | 1990년 1월 20일 | (C) | |
11 | | FW | 아다마 트라오레 | Adama Traore | 1996년 1월 25일 | ||
12 | | FW | 카를로스 비니시우스 | Carlos Vinícius | 1995년 3월 25일 | ||
15 | | DF | 호르헤 쿠엔카 | Jorge Cuenca | 1999년 11월 17일 | ||
16 | | MF | 산데르 베르게 | Sander Berge | 1998년 2월 14일 | ||
17 | | FW | 알렉스 이워비 | Alex Iwobi | 1996년 5월 3일 | ||
18 | | MF | 안드레아스 페레이라 | Andreas Pereira | 1996년 1월 1일 | ||
19 | | FW | 리스 넬슨 | Reiss Nelson | 1999년 12월 10일 | [2] | |
20 | | MF | 사샤 루키치 | Saša Lukić | 1996년 8월 13일 | ||
21 | | DF | 티모시 카스타뉴 | Timothy Castagne | 1995년 12월 5일 | ||
23 | | GK | 스티븐 벤다 | Steven Benda | 1998년 10월 1일 | ||
28 | | FW | 제이 스탠스필드 | Jay Stansfield | 2002년 11월 24일 | ||
30 | | DF | 라이언 세세뇽 | Ryan Sessegnon | 2000년 5월 18일 | ||
31 | | DF | 이사 디오프 | Issa Diop | 1997년 1월 9일 | ||
32 | | MF | 에밀 스미스 로우 | Emile Smith Rowe | 2000년 7월 28일 | ||
33 | | DF | 안토니 로빈슨 | Antonee Robinson | 1997년 8월 8일 | ||
<colbgcolor=#000> 구단 정보 | |||||||
구단주 : 샤히드 칸 / 감독 : 마르코 실바 / 홈 구장 : 크레이븐 코티지 | |||||||
출처 : 공식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 2024년 8월 18일 |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2] 아스날 FC에서 임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A매치 출장 / 득점 | 소속팀 |
GK | 1 | 프랜시스 우조호 | Francis Uzoho | 1998.10.28 | 34 / 0 | ||
16 | 오조 올로룬레케 | Ojo Olorunleke | 1995.08.17 | 0 / 0 | |||
23 | 스탠리 은와빌리 | Stanley Nwabili | 1996.06.10 | 1 / 0 | |||
DF | 2 | 올라 아이나 | Ola Aina | 1996.10.08 | 33 / 0 | ||
3 | 자이두 사누시 | Zaidu Sanusi | 1997.06.13 | 15 / 0 | |||
5 | 윌리엄 트루스트에콩 | William Troost-Ekong | 1993.09.01 | 64 / 4 | |||
6 | 세미 아제이 | Semi Ajayi | 1993.11.09 | 27 / 1 | |||
12 | 브라이트 오새이새뮤얼 | Bright Osayi-Samuel | 1997.12.31 | 8 / 0 | |||
13 | 브루노 온예마에치 | Bruno Onyemaechi | 1999.04.03 | 5 / 0 | |||
20 | 치도지에 아와지엠 | Chidozie Awaziem | 1997.01.01 | 28 / 1 | |||
21 | 캘빈 배시 | Calvin Bassey | 1999.12.31 | 15 / 0 | |||
22 | 케네스 오메루오 | Kenneth Omeruo | 1993.10.17 | 61 / 1 | |||
MF | 4 | 알하산 유수프[A] | Alhassan Yusuf | 2000.07.18 | 0 / 0 | ||
8 | 프랭크 오니에카 | Frank Onyeka | 1998.01.01 | 16 / 1 | |||
10 | 조 아리보 | Joe Aribo | 1996.07.21 | 28 / 2 | |||
17 | 알렉스 이워비 | Alex Iwobi | 1996.05.03 | 67 / 10 | |||
25 | 라파엘 오녜디카 | Raphael Onyedika | 2001.04.19 | 3 / 0 | |||
FW | 7 | 아메드 무사 | Ahmed Musa | 1992.10.14 | 109 / 16 | ||
9 | 빅터 오시멘 | Victor Osimhen | 1998.12.29 | 37 / 23 | |||
11 | 사무엘 추쿠에제 | Samuel Chukwueze | 1999.05.22 | 30 / 5 | |||
14 | 켈레치 이헤아나초 | Kelechi Iheanacho | 1996.10.03 | 48 / 14 | |||
15 | 모지스 사이먼 | Moses Simon | 1995.07.12 | 62 / 9 | |||
18 | 아데몰라 루크먼 | Ademola Lookman | 1997.10.20 | 11 / 2 | |||
19 | 폴 오누아추[A] | Paul Onuachu | 1994.05.28 | 18 / 3 | |||
24 | 테렘 모피[A] | Terem Moffi | 1999.05.25 | 12 / 4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07월 11일 | |||||||
|
[1] 트랜스퍼마크트 기준 # 1군 데뷔무렵 179~180cm에서 키가 더 자랐다. 2020년대엔 185cm 정도 되는 그라니트 자카와 비슷한 정도[2] SNS에 개신교 관련 언급이 많다.[3] 삼촌인 오코차와 비교하면, 오코차가 테크닉적으로 더 뛰어난 선수이다. 다만 동료를 활용하는 연계 플레이 측면에 있어서는 이워비가 더 나은 포텐을 지닌 선수라고 볼 수 있다. 사실 8~90년대 테크니컬한 면모를 가진 선수들은 현대 축구에서 활용하기에는 지나치게 이기적인 측면이 존재한다.[4] 프리시즌 당시 삼촌 제이제이 오코차가 그에게 미드필더로 전향해보는 것이 어떻겠냐는 제안을 했다고 한다. 아이러니한 것은 그의 아스날 시절 팀 동료였던 그라니트 자카도 이번 시즌 보다 공격적인 롤을 부여받으며 팀 중원의 핵심으로 자리잡았는데, 공교롭게도 둘 다 좌측 메짤라 자리에서 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