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21:31:49

알렉산드르 폴랴코프


알렉산드르 폴랴코프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538b><tablebgcolor=#00538b> 파일:미국 물리학회 로고 화이트.png대니하이네만 수리물리학상
역대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aaa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59 1960 1961 1962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머리 겔만 오게 보어 마르빈 골드버거 레온 판호프
<rowcolor=#fff> 1963 1964 1965 196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키스 브루크너 툴리오 레제 프리먼 다이슨 니콜라이 보골류보프
<rowcolor=#fff> 1967 1968 1969 197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지안카를로 윅 세르히오 푸비니 아서 와이트만 난부 요이치로
<rowcolor=#fff> 1971 1972 1973 1974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로저 펜로즈 제임스 요르겐 케네스 윌슨
<rowcolor=#fff> 1975 1976 1977 1978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류드비그 파데예프 스티븐 호킹 스티븐 와인버그 엘리엇 리에브
<rowcolor=#fff> 1979 1980 198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제임스 글림 아서 야페 제프리 골드스톤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존 워드 마틴 크루스칼 로버트 그리피스 다비드 루엘
<rowcolor=#fff> 1986 1987 1988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렉산드르 폴랴코프 로드니 벡스터 율리우스 베스 브루노 추미노
<rowcolor=#fff> 1989 1990 199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존 벨 야코브 시나이 토마스 스펜서 위르그 프뢸리히
<rowcolor=#fff> 1992 1993 199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스탠리 맨델스탐 마틴 구츠빌러 리처드 알노위트 스탠리 데서
<rowcolor=#fff> 1994 1995 1996 199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찰스 미즈너 로만 자키브 로이 글라우버 해리 레만
<rowcolor=#fff> 1998 199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에드워드 위튼 나탄 자이베르크 배리 맥코이 알렉산드르 자몰롯치코프
<rowcolor=#fff> 1999 2000 2001 2002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썬 우 시드니 콜먼 블라디미르 아르놀드 존 슈워르츠
<rowcolor=#fff> 2002 2003 2004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이클 그린 이봉 브루하 제임스 요크 가브리엘레 베네치아노
<rowcolor=#fff> 2005 200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조르조 파리시 세르히오 페라라 다니엘 프리드먼 페터르 판니우벤위젠
<rowcolor=#fff> 2007 2008 2009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후안 말다세나 조셉 폴친스키 미첼 파이겐바움 이고르 튜틴
<rowcolor=#fff> 2009 20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카를로 베치 알렝 루에 레이몽 스토라 마이클 아이젠만
<rowcolor=#fff> 2011 2012 2013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헤르베르트 슈폰 조반니 조나라지노 진보 미치오 미와 테쓰지
<rowcolor=#fff> 2014 2015 201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고리 무어 피에르 라몽 컴런 바파 앤드류 스트로밍거
<rowcolor=#fff> 2017 2018 201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칼 벤더 배리 사이먼 빌 서더랜드 프란시스코 칼로게로
<rowcolor=#fff> 2020 2021 2022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스베틀라나 지토미르스카야
조엘 레보위츠 안티 쿠피아이넨 크쉬슈토프 가벤트스키
<rowcolor=#fff> 2023 2024 2025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니키타 네크라소프 데이비드 브리제스 샘슨 샤타슈빌리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538b><tablebgcolor=#00538b> 파일:미국 물리학회 로고 화이트.png라르스 온사게르 통계물리학상
역대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aaa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95 1997 1998 1999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피셔 로버트 크라이넌 리오 카다노프 양전닝
<rowcolor=#fff> 2000 2001 2002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데이비드 사울레스 마이클 코스털리츠 버트 할페린 야나톨리 라르킨
<rowcolor=#fff> 2003 2004 2005 2006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피에르 호엔베르 존 카디 발레리 포크롭스키 로드니 백스터
<rowcolor=#fff> 2007 200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 해리스 크리스토퍼 패트릭 고든 바임 호틴룬
<rowcolor=#fff> 2009 2010 2011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스리람 샤스트리 대니얼 프리던 스테판 셴커 알렉산드르 벨라빈
<rowcolor=#fff> 2011 2012 2013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산드르 폴랴코프 이안 애플렉 대니얼 피셔
<rowcolor=#fff> 2014 2015 2016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그리고리 보볼릭 블라디미르 미네예프 프란츠 베그너 조르조 파리시
<rowcolor=#fff> 2016 2017 201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리카르도 체치나 마르크 메자르 나탄 안드레이 파벨 비그만
<rowcolor=#fff> 2019 202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크리스토퍼 자르진스키 비첵 타마스 존 토너 투유아이
<rowcolor=#fff> 2021 2022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레프 피타옙스키 보리스 알트슐러 데이비드 휴스 이고르 얼라이너
<rowcolor=#fff> 2023 2024 2025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페터 핸기 자크 프로스트 장필리프 보차드
레티시아 쿠글리안돌로
<rowcolor=#fff> 202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호르헤 쿠르찬 }}}}}}}}}}}}

파일:브레이크스루상 로고.png
기초물리학 부문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2012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에드워드 위튼 앨런 구스 나탄 자이베르그 알렉세이 키타예프
<rowcolor=#fff> 2012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rowcolor=#222,#fff> 안드레이 린데 막심 콘체비치
니마 아르카니하메드
후안 말다세나
<rowcolor=#fff> 2012 2013 2014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아쇼케 센 알렉산드르 폴랴코프 존 슈워르츠 마이클 그린
<rowcolor=#fff> 2015 201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rowcolor=#222,#fff> 브라이언 슈미트 애덤 리스 솔 펄머터 아서 맥도날드
<rowcolor=#fff> 2016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rowcolor=#222,#fff> 가지타 다카아키 스즈키 요이치로 스즈키 아츠토 니시카와 코이치로
<rowcolor=#fff> 2016 2017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홍콩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왕이팡 룩 캄비우 조셉 폴친스키 컴런 바파
<rowcolor=#fff> 2017 201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앤드류 스트로밍저 데이비드 슈퍼겔 라이먼 페이지 노먼 야로식
<rowcolor=#fff> 2018 201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게리 힌쇼 찰스 L. 베넷 찰스 케인 유진 멜레
<rowcolor=#fff> 2020 202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222,#fff> EHT 프로젝트 에릭 아델버거 옌스 군들라흐 블레인 헤켈
<rowcolor=#fff> 2022 2023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카토리 히데토시 준 예 찰스 H. 베넷 피터 쇼어
<rowcolor=#fff> 2023 2024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222,#fff> 데이비드 도이치 질 브라사드 존 카디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2E3A6F><tablebgcolor=#2E3A6F> 파일:ictp 로고 화이트.png디랙 메달
역대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aaa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85 198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에드워드 위튼 야코브 젤도비치 알렉산드르 폴랴코프 난부 요이치로
<rowcolor=#fff> 1987 198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브루노 추미노 브라이스 디윗 데이비드 그로스 예핌 프레디킨
<rowcolor=#fff> 1989 199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존 슈워르츠 마이클 그린 류드비그 파데예프 시드니 콜먼
<rowcolor=#fff> 1991 1992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스탠리 맨델스탐 제프리 골드스톤 니콜라이 보골류보프 야코브 시나이
<rowcolor=#fff> 1993 199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얼 프리드먼 피터르 판니우벤휘젠 세르히오 페라라 프랭크 윌첵
<rowcolor=#fff> 1995 1996 199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클 베리 마르티뉘스 펠트만 툴리오 레제 데이비드 올리브
<rowcolor=#fff> 1997 1998 1999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터 고다드 로먼 재키브 스티븐 애들러 조르조 파리시
<rowcolor=#fff> 2000 2001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헬렌 퀸 호워드 조자이 조제쉬 파티 존 홉필드
<rowcolor=#fff> 2002 200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앨런 구스 안드레이 린데 폴 스타인하트 로버트 크라이넌
<rowcolor=#fff> 2003 2004 2005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블라디미르 자하로프 커티스 캘런 제임스 요르겐 패트릭 리
<rowcolor=#fff> 2005 2006 200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샘 에드워즈 페터 졸러
이오아니스 일리오풀로스
루치아노 마이아니
<rowcolor=#fff> 2008 200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조셉 폴친스키 후안 말다세나 컴런 바파 로베르토 카
<rowcolor=#fff> 2009 2010 20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첼 파리넬로 니콜라 카비보 조지 수드라샨 에두아르드 브라진
<rowcolor=#fff> 2011 2012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존 카디 알렉산드르 자몰롯치코프 덩컨 홀데인 찰스 케인
<rowcolor=#fff> 2012 2013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장쇼우쳉 짐 피블스 톰 키블 마틴 리스
<rowcolor=#fff> 2014 2015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아쇼케 센 앤드류 스트로밍거 가브리엘레 베네치아노 알렉세이 키타예프
<rowcolor=#fff> 2015 201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고리 무어 니콜라스 리드 나탄 자이베르크 미하일 쉬프먼
<rowcolor=#fff> 2016 2017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아르카디 바인슈타인 찰스 베넷 데이비드 도이치 피터 쇼어
<rowcolor=#fff> 2018 2019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수비르 사흐데프 쏜담탄 웬샤오강
알렉세이 스타로빈스키
<rowcolor=#fff> 2019 2020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뱌체슬라프 무카노프 라시드 썬야예프 피에르 라몽 앙드레 느뵈
<rowcolor=#fff> 2020 202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미구엘 비라소로 알렉산드라 부오나노 티보 다무르 프랜스 프레토리우스
<rowcolor=#fff> 2021 202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사울 테우콜스키 조엘 레보위츠 엘리엇 리에브 다비드 루엘
<rowcolor=#fff> 2023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이고르 클레바노프 제프리 하비 스테판 셴커 레오너드 서스킨드
<rowcolor=#fff> 202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호라치오 카시니 마리나 후에르타 류 신세이 타카야나기 타다시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1F4E97><tablebgcolor=#1F4E97> 파일:독일물리학회 로고 화이트.png막스 플랑크 메달
역대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aaa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29 1930 1931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막스 플랑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닐스 보어 아르놀트 조머펠트
<rowcolor=#fff> 1932 1933 1937 1938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막스 폰 라우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에르빈 슈뢰딩거 루이 드 브로이
<rowcolor=#fff> 1942 1943 1944 1948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스쿠알 요르단 프리드리히 훈드 발터 코셀 막스 보른
<rowcolor=#fff> 1949 1950 1951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리제 마이트너 오토 한 피터 디바이 제임스 프랑크
<rowcolor=#fff> 1951 1952 1953 1954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구스타프 헤르츠 폴 디랙 발터 보테 엔리코 페르미
<rowcolor=#fff> 1955 1956 1957 1958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한스 베테 빅터 바이스코프 카를 폰 바이츠재커 볼프강 파울리
<rowcolor=#fff> 1959 1960 1961 1962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오스카 클라인 레프 란다우 유진 위그너 랄프 크로니그
<rowcolor=#fff> 1963 1964 1966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루돌프 파이알스 새뮤얼 골드슈미트 조지 울렌벡 게르하르트 뤼더스
<rowcolor=#fff> 1967 1968 1969 1970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해리 레만 발터 하이틀러 프리먼 다이슨 루돌프 하크
<rowcolor=#fff> 1972 1973 1974 197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헤르베르트 프뢸리히 니콜라이 보골류보프 레온 판호프 그레고르 벤첼
<rowcolor=#fff> 1976 1977 1978 1979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에른스트 스튀켈베르크 발터 티링 파울 에발트 마르쿠스 피어르츠
<rowcolor=#fff> 1981 1982 1983 1984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쿠르트 쥐만치크 한스 바이덴뮐러 니콜라스 케머 레스 요스트
<rowcolor=#fff> 1985 1986 1987 198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요이치로 난부 프란츠 베그너 율리우스 베스 발렌틴 바그만
<rowcolor=#fff> 1989 1990 1991 199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브루노 추미노 헤르만 하켄 볼프하르트 치머만 엘리엇 리에브
<rowcolor=#fff> 1993 1994 1995 1996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쿠르트 바인더 한스위르겐 보르허스 지그프리드 그로스만 류드비그 파데예프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제럴드 브라운 레이몽 스토라 피에르 호헨베르 마르틴 뤼셔
<rowcolor=#fff> 2001 2002 2003 2004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위르그 프뢸리히 위르겐 에흘러 마르틴 구츠빌러 클라우스 헤프
<rowcolor=#fff> 2005 2006 2007 2008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페터 졸러 볼프강 괴체 조엘 레보위츠 데틀레프 부흐홀츠
<rowcolor=#fff> 2009 2010 2011 2012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로베르트 그레함 디터 볼하르트 조르조 파리시 마르틴 지른바우어
<rowcolor=#fff> 2013 2014 2015 2016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베르너 나흠 다비드 루엘 바체슬라프 무카노프 헤르베르트 바그너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헤르베르트 슈폰 이냐치오 시랙 데틀레프 로흐세 안드레이 부라스
<rowcolor=#fff> 2021 2022 2023 2024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알렉산드르 폴랴코프 아네테 지펠리우스 라시드 썬야예프 에르빈 프레이
<rowcolor=#fff> 2025
파일:독일 국기.svg
라인하르트 베르너
}}}}}}}}}}}} ||
파일:로런츠 메달.png
역대 로런츠 메달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d9f5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rowcolor=#cd9f51> 1927 1931 1935 1939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막스 플랑크 볼프강 파울리 피터 디바이 아르놀트 조머펠트
<rowcolor=#cd9f51> 1947 1953 1958 196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헨드릭 크라머르스 프리츠 론돈 라르스 온사게르 루돌프 파이알스
<rowcolor=#cd9f51> 1966 1970 1974 1978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프리먼 다이슨 조지 울렌벡 존 밴블랙 니콜라스 블룸베르헌
<rowcolor=#cd9f51> 1982 1986 1990 1994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아나톨 아브라감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피에르질 드젠 알렉산드르 폴랴코프
<rowcolor=#cd9f51> 1998 2002 200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칼 위먼 에릭 코넬 프랭크 윌첵 리오 카다노프
<rowcolor=#cd9f51> 2010 2014 2018 2022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에드워드 위튼 마이클 배리 후안 말다세나 댄 프렌켈 }}}}}}}}}}}}}}}
<colbgcolor=#000><colcolor=#fff,#ddd> 알렉산드르 폴랴코프
Александр Поляков | Alexander Polyakov
파일:폴랴코프 브레이크스루.jpg
본명 알렉산드르 마르코비치 폴랴코프
Александр Маркович Поляков
Alexander Markovich Polyakov
출생 1945년 9월 27일 ([age(1945-09-27)]세)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국적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미국|]][[틀:국기|]][[틀:국기|]]
직업 이론물리학자
분야 입자이론(양자장론, 끈이론)
통계물리이론(통계장론)
학력 모스크바 물리기술원 (물리학 / 석사)
란다우 이론물리학 연구원 (이론물리학 / 준박사[1])
란다우 이론물리학 연구원 (이론물리학 / 박사[2])
경력 란다우 이론물리학 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노르딕 이론물리학 연구원 (방문연구원)
국제이론물리센터 (방문연구원)
란다우 이론물리학 연구원 (교수)
알리카노프 이론실험물리 연구원 (연구원)
합동원자핵연구원 (연구원)
MIT 핵과학연구소 (연구원)
프린스턴 대학교 (종신교수)
미국국립과학학술원 (회원)
1. 개요2. 일생 약력3. 연구 약력4. 기타

[clearfix]

1. 개요

러시아미국의 이론물리학자. 분야는 양자장론과 끈이론이다. 끈이론의 거장중 한명으로 2차원 등각양자장론을 고안했으며, 그외로 정확재규격화군, BPZ 방정식, 폴랴코프 액션 및 폴랴코프 경로적분, BPST 순간자를 고안한 것이 유명하다.

2. 일생 약력

1945년 9월 27일에 소련 모스크바에서 문학비평학자인 마르크 폴랴코프와 화학자인 아다 폴랴코바 슬하에서 태어났다.

그는 청소년 시절부터 수학과 물리에 두각을 보였는데, 1961년 모스크바 물리기술원이 주최하는 수학 및 물리 올림피아드에 참가해 금상(первое место)을 수상했다. 9학년에 모스크바 물리기술원의 일반•응용물리학부 입학을 허가받았다.

1965년 모스크바 물리기술원을 졸업하고, 모스크바 물리기술원에서 연구 활동때문에 소속되어있었던 란다우 이론물리학 연구원에서 1966년부터 정식 연구위원으로 재직하기 시작하면서 1969년에 준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3년에는 박사 학위를 받고 1976년까지 란다우 이론물리학 연구원에 재직했다. 1976년부터 1979년까지 스웨덴의 노르딕 이론물리학 연구원, 이탈리아의 국제이론물리학센터를 거치며 방문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1980년부터 란다우 이론물리학 연구원의 교수로 재직하며, 모스크바에 위치한 쿠르차토프 물리연구 센터의 여러 연구원, 알리카노프 이론 및 실험 물리학 연구소와 합동원자핵연구소 소속으로 연구위원에 재직했다.

1986년 합동원자핵연구소에 연구위원으로 재직하는 도중, 대니 하이네만 수리물리학상과 디랙 메달을 수상했다.

1990년에 도미하여, 메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핵과학 연구소에서 연구위원으로 재직했고, 1991년부터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종신교수(tenure)로 재직하는 중이다.

2013년 브레이크스루상의 기초물리학 부문을 수상했다.

3. 연구 약력

1964년부터 1970년대까지 양자장의 통계적인 형식론을 주로 연구했다. 그의 첫 논문 주제는 양자화된 경계 에너지로, 페르미 경계를 찾는 유효 양자화 조건과 양자화 조건으로 얻어지는 경계 에너지를 다뤘다. 1965년부터 대칭 깨짐의 재규격화로부터 시작해 재규격화 관련 토픽을 비중있게 다뤘다. 주로 임계점, 카다노프 블록스핀, 상관관계함수같은 통계장론적 토픽에 재규격화를 적용한 정확재규격화군의 연구를 했다. 1966년에는 질량차의 비대칭성을 대상으로 워드 항등식등을 적용해서 역학적 힉스 메커니즘을 도출하기도 했다.[3] 물론 그가 연구한 정확재규격화군은 케네스 윌슨에 의해 집대성되었기는 했지만 독립적으로 정확재규격화군의 정립에 첫발을 내디뎠다. 실제로 케네스 윌슨이 존 코것과 함께 정확재규격화군을 집대성[4]할때 폴랴코프의 논문들과 미팅에서 나온 발언을 많이 참조했다.

1973년 박사학위논문 연구 주제는 짧은 거리에서의 양자장론과 렙톤-하드론 상호작용으로의 적용이었다. 1974년에 스칼라 장 포텐셜의 해를 주제로 연구하다가, 해에 아이소벡터를 적용했을때의 발산 벡터가 유도될수 있음을 “고슴도치 해“로 규명했고, 폴랴코프 자기 홀극[5]의 토대가 되었다. 그외에도 BPST 순간자[6]를 고안했다.

1981년에는 기존의 난부-고토 액션을 바탕으로 세계면 계량 텐서에 게이지 이론을 고려해서 리우빌 액션 형태로 나타낸 폴랴코프 액션을 고안했고, 경로적분으로 나타낼수 있음을 밝혔다.[7] 이는 끈이론에 있어서 세계면의 액션을 기존의 입자이론으로 표현할수 있는 여지를 주었다. 1970년대 초반에 중점적으로 연구되었던 난부-고토 액션의 세계면 계량 텐서 h에서는 게이지 변환이 불분명하다는 지적이 있으나, 이를 게이지 불변을 만족함을 가정하고 세계면 계량 텐서 독립적인 내재 텐서 g를 가정하여 더욱 분명하게 기존의 입자이론으로 나타낼수 있게 되었다.

1984년에는 알렉산드르 벨랴빈, 알렉산드르 자몰롯치코프와 함께 등각 변환을 만족하는 국소 장 및 연산자 대수를 활용한
상관관계 함수의 편미분 방정식을 도출했고, 이 방정식을 만족하는 상관관계함수의 연산자 곱 전개를 통해서 비라소로 대수[8]를 복소해석적으로 설명했다.[9] 비라소로 대수는 크게 대수적으로 유도하는 방법과 복소해석적으로 유도하는 방법으로 나뉘는데, 복소해석적으로 유도하는 방법들이 여기서 기원했다. 특히 BPZ 방정식이라고 불리는 편미분 방정식으로부터 등각군 성분을 가진 국소장과 연산자로 이루어진 상관관계함수가 좌표 불변함을 이끌어냄으로써 2차원 등각양자장론(등각장론)이 정립되었다.

4. 기타


[1] 준박사학위논문 : Микроскопическое описание фазовых переходов = 상전이의 미세한 묘사(1969).[2] 박사학위논문 : Квантовая теория поля на малых расстояниях и ее приложения к лептон-адронным реакциям = 짧은 거리에서의 양자장론과 렙톤-하드론 상호작용으로의 적용(1973).[3] А. А. Мигдал, А. М. Поляков, Спонтанное нарушение симметрии сильн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и отсутствие безмассовых частиц, ЖЭТФ, 51, 135 (1966)[4] K. G. Wilson and J. Kogut, The Renormalization Group and the [math(\epsilon)] Expansion, Phys. Rep. 12, (1974) 75[5] А. M. Поляков, Спектр частиц в квантовой теории поля, Письма в ЖЭТФ, 20, 430 (1974)[6] A. A. Belavin, A. M. Polyakov, A. S. Schwartz, Yu. S. Tyupkin, Pseudo-Particle Solutions of the Yang-Mills Equations, Phys. Lett. B 59 (1975) 85[7] A. M. Polyakov, Quantum Geometry of Bosonic Strings, Phys. Lett. B 103, 207 (1981)[8] 미겔 비라소로가 베네치아노 방정식에서의 커플링의 공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대수적인 조건으로, 끈이론을 구성하는 기본 대수중 하나이다.[9] A. A. Belavin, A. M. Polyakov, A. Zamolodchikov, Infinite conformal symmetry in two-dimensional quantum field theory, Nucl. Phys. B 241 (1984)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