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white><tablebgcolor=#fff,#1f2023> | 이달의 5·18 민주유공자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05년 | |||||
1월 홍순권 | 2월 박기현 | 3월 정민구 | 4월 김태훈 | 5월 백대환 | 6월 박관현 | |
7월 박금희 | 8월 박연옥 | 9월 왕태경 | 10월 황호걸 | 11월 기종도 | 12월 김현구 | |
2006년 | ||||||
1월 명노근 | 2월 임은택 | 3월 김재평 | 4월 이정연 | 5월 손옥례 | 6월 김복만 | |
7월 박현숙 | 8월 임균수 | 9월 정지영 | 10월 홍성규 | 11월 임금단 | 12월 전영진 | |
2007년 | ||||||
1월 강정배 | 2월 김상구 | 3월 나홍수 | 4월 이강수 | 5월 유영선 | 6월 문재학 | |
7월 박용준 | 8월 김경철 | 9월 문용동 | 10월 김정 | 11월 염행열 | 12월 이명진 | |
2008년 | ||||||
1월 류동운 | 2월 최미애 | 3월 이용충 | 4월 강대일 | 5월 윤상원 | 6월 김종태 | |
7월 김동수 | 8월 조사천 | 9월 이북일 | 10월 김재화 | 11월 박병규 | 12월 홍남순 | |
2009년 | ||||||
1월 양인섭 | 2월 조태훈 | 3월 윤영규 | 4월 임종인 | 5월 안종필 | 6월 조행권 | |
7월 김영철 | 8월 손창식 | 9월 한영길 | 10월 박효선 | 11월 김귀환 | 12월 박세근 | |
2010년 | ||||||
1월 박성용 | 2월 김종철 | 3월 조아라 | 4월 김윤수 | 5월 이세종 | 6월 김재수 | |
7월 허규정 | 8월 이평수 | 9월 강복원 | 10월 신영일 | 11월 김종연 | 12월 김녹영 | |
2011년 | ||||||
1월 장하일 | 2월 양회남 | 3월 임정식 | 4월 이광우 | 5월 박인천 | 6월 윤한봉 | |
7월 최열락 | 8월 김승후 | 9월 송건호 | 10월 이성학 | 11월 박병현 | 12월 김흥기 | |
2012년 | ||||||
1월 김중식 | 2월 이종연 | 3월 명재용 | 4월 박민기 | 5월 김광석 | 6월 김안부 | |
7월 박민환 | 8월 김용표 | 9월 박종률 | 10월 김용근 | 11월 은명기 | 12월 정진동 | |
2013년 | ||||||
1월 박성용 | 2월 나안주 | 3월 김병연 | 4월 기남용 | 5월 김부열 | 6월 진정태 | |
7월 김완봉 | 8월 서종덕 | 9월 박진홍 | 10월 홍인표 | 11월 고영자 | 12월 채이병 | |
2014년 | ||||||
1월 박순철 | 2월 심동선 | 3월 전정호 | 4월 고규석 | 5월 조일기 | 6월 민청진 | |
7월 김형관 | 8월 김정선 | 9월 양창석 | 10월 김인태 | 11월 임수춘 | 12월 박세근 | |
2015년 | ||||||
1월 윤성호 | 2월 조대훈 | 3월 박인배 | 4월 방광범 | 5월 안두환 | 6월 이경호 | |
7월 노경운 | 8월 함광수 | 9월 김영선 | 10월 김중식 | 11월 안병태 | 12월 박창권 | |
2016년 | ||||||
1월 권근립 | 2월 김함옥 | 3월 장방환 | 4월 선종철 | 5월 김경환 | 6월 김의기 | |
7월 양창근 | 8월 박주삼 | 9월 송정교 | 10월 권호영 | 11월 김선호 | 12월 김성근 | |
2017년 | ||||||
1월 윤재식 | 2월 김명철 | 3월 민병렬 | 4월 임병철 | 5월 서호빈 | 6월 황성술 | |
7월 김재형 | 8월 이홍선 | 9월 노재인 | 10월 김기운 | 11월 안병복 | 12월 김태진 | |
2018년 | ||||||
1월 김동진 | 2월 김재홍 | 3월 정남철 | 4월 허봉 | 5월 박성용 | 6월 김춘화 | |
7월 강성원 | 8월 서만오 | 9월 김갑진 | 10월 한강운 | 11월 차종성 | 12월 홍운석 | |
2019년 | ||||||
1월 이매실 | 2월 김정곤 | 3월 김점열 | 4월 김남석 | 5월 민병대 | 6월 문명화 | |
7월 최강식 | 8월 조남일 | 9월 한용덕 | 10월 조강일 | 11월 김영두 | 12월 성시균 | |
2020년 | ||||||
1월 정학근 | 2월 최승희 | 3월 박종길 | 4월 기남용 | 5월 김춘례 | 6월 김상태 | |
7월 양희영 | 8월 조남신 | 9월 오세현 | 10월 김영기 | 11월 이성귀 | 12월 오정순 | |
2021년 | ||||||
1월 류석 | 2월 전재수 | 3월 김천배 | 4월 김동혁 | 5월 채수길 | 6월 염행열 | |
7월 강영종 | 8월 박재영 | 9월 리영희 | 10월 정삼진 | 11월 양동선 | 12월 김명숙 | |
2022년 | ||||||
1월 김경희 | 2월 차재연 | 3월 김종남 | 4월 김행주 | 5월 이강하 | 6월 안철 | |
7월 정상덕 | 8월 송진광 | 9월 조태일 | 10월 김여수 | 11월 이병휴 | 12월 박태조 | |
2023년 | ||||||
1월 이애신 | 2월 박재구 | 3월 이방기 | 4월 정윤식 | 5월 문병란 | 6월 양민석 | |
7월 김영호 | 8월 김태홍 | 9월 한기원 | 10월 이정호 | 11월 김형영 | 12월 김형진 | |
2024년 | ||||||
1월 노준현 | 2월 김혜옥 | 3월 하태수 | 4월 김광호 | 5월 박문규 | 6월 양강섭 | |
7월 조봉환 | 8월 전만석 | 9월 김용대 | 10월 김열 | 11월 김연호 | 12월 장기언 | |
2025년 | ||||||
1월 이창현 | 2월 김호중 | 3월 장두석 | 4월 임옥환 | 5월 김평용 | 6월 김종완 | |
7월 정종월 | 8월 신정호 | 9월 이호철 | 10월 | 11월 | 12월 |
안종필 安鐘必 | |
| |
출생 | 1964년 5월 23일[1] |
전라남도 광주시 계림동 (現 광주광역시 동구 계림동) | |
사망 | 1980년 5월 27일 (향년 15세) |
전라남도 광주시 동구 전남도청 도경찰국 2층 복도 | |
묘소 | 국립5·18민주묘지 2묘역 2-41 |
학력 | 광주상업고등학교 (38회 / 명예졸업) |
가족 | 어머니 이정님, 누나 안경순 |
1. 개요
5.18 민주화운동 열사. 광주상업고등학교 1학년 재학 중 사망했다.2. 생애
1964년 5월 23일, 전라남도 광주시 계림동에서 태어났다.5.18 민주화운동 당시 1980년 5월 19일 오전, 광주 시내의 모든 학교에 휴교조치가 내려졌고 학생들을 조기에 귀가시켰다. 집에 있던 안종필은 20일 아침에 한 통의 전화를 받고 어머니에게 학교에서 나오라고 한다는 말을 전하고 교복에 가방을 챙겨 집을 나섰다. 저녁이 되어도 집에 돌아오지 않자 어머니는 불안한 마음에 밖을 나가보니 교복을 입은 학생들이 지나가고 있었고, 혹시 아들이 있을까 찾아보던 중 대열에서 툭 튀어나온 안종필은 어머니에게 모자를 벗어 안겨주고는 다시 대열로 합류했다고 한다.
21일에 집에 복귀한 안종필에게 어머니는 밖에 나가지 말라고 신신당부를 했으나 몰래 집 밖을 나왔고, 아들을 찾아 헤매던 어머니는 24일에 산수동 산수오거리에서 총을 메고 차에 올라탄 시민군 안에서 안종필을 발견했다. 아들을 보호하기 위해 교회에 가야한다며 어머니는 안종필을 집에 다시 데려왔으나 새벽에 다시 집 밖으로 나갔다고 한다.
결국 27일 새벽, 전남도청 방어전의 최후 항전 중에 고등학교 친구 문재학과 계엄군 총탄에 맞아 사망했다.
사후 1989년 2월 10일, 유은학원에서 38회 명예졸업장을 수여했다.[2]
3. 사후
|
광주동성고등학교 내 추모석과 기념비 |
광주동성고등학교는 자신의 목숨을 걸고 용기를 내 군부에 맞섰던 동문들을 기리기 위해 교정에 조성된 추모석과 기념비 앞에서 매년 자체적인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을 열고 있다. 추모석에는 안종필 열사를 비롯해 문재학, 이성귀까지 총 3명의 열사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으며 학생과 교사, 교직원들이 5월 18일이 되면 묵념과 헌화로 영령들의 넋을 기린다.
4. 둘러보기
[1] 생일이 복잡하다. 5월 23일은 국립5·18민주묘지 기준이고, 광주동성고등학교 추모비에는 7월 3일로 기재되어 있다. 추모비 아래에 작은 글씨로 생활기록부에는 5월 28일이라고 명시되어 있다.[2] 생존했더라면 32회 기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