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23:55:01

문병란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문병란
文炳蘭|Mun Byeong-ran
파일:문병란 시인.jpg
출생 1935년 3월 28일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원화리
사망 2015년 9월 25일 (향년 80세)
광주광역시 동구 서남동 조선대학교병원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본관 남평 문씨 (南平 文氏)
가족 딸 문명아/문정아/문현화, 아들 문찬기
학력 도곡공립보통학교[1] (전학)
광주공립보통학교[2] (졸업)
광주사범학교 병설중학교 (졸업)
화순농업고등학교[3] (졸업)
조선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 / 학사)
등단 1959년 현대문학 10호 시 '가로수' 발표

1. 개요2. 생애3. 대표작4. 수상 이력5. 저서6. 여담

[clearfix]

1. 개요

화염병 대신 시(詩)를 던진 한국의 저항시인
뉴욕 타임스》1987년 8월 18일자 기사
대한민국의 시인, 교육인으로, 호는 서은(瑞隱)이다. 5.18 민주화운동에 기여한 대표적인 저항시인으로 유명하다.

2. 생애

1935년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원화리에서 태어났다. 어렸을 때는 화순의 본가에서 광주의 서석초등학교까지 편도 4시간을 걸어서 다녔으며 이미 이때부터 국어실력이 뛰어났다고 한다. 이후 1961년 조선대학교 문학과에 입학했다.

대학 재학 중 시인이었던 김현승의 수업을 들으며 자연스레 시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1959년에는 가로수를 주제로 시를 써오는 과제를 받아 '가로수'라는 시를 써서 제출했는데 과제물을 본 김현승이 이를 추천해《현대문학》10호에 시가 발표되면서 시인으로 등단하게 되었다. 저항시로 유명한 지금과는 다르게 등단 초기에는 서정시를 즐겨 썼다.

졸업 이후에는 순천고등학교, 광주제일고등학교 국어교사, 조선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전임강사를 거쳐서 전남고등학교 국어교사로 근무하였다.

한편 1975년부터 자유실천문인협회에 가입하여 민주화운동에 본격적으로 참여하였다. 5.18 민주화운동을 주제로 부활의 노래라는 시를 창작하였다. 이로인해 1987년 뉴욕타임즈 8월 18일자에선 화염병 대신 시를 던진 한국의 저항시인으로 소개되기도 하였다.

1988년 조선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임용되었고, 12년의 재직을 마친 후 2000년에 정년퇴임을 했다. 말년에는 무등산 자락에 거주하며 문학 활동을 이어나갔기 때문에 무등산의 파수꾼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렸다.

3. 대표작

직녀에게

이별이 너무 길다
슬픔이 너무 길다
선 채로 기다리기엔 은하수가 너무 길다
단 하나 오작교마저 끊어져버린
지금은 가슴과 가슴으로 노둣돌을 놓아
면도날 위라도 딛고 건너가 만나야 할 우리,
선 채로 기다리기엔 세월이 너무 길다
그대 몇 번이고 감고 푼 실을
밤마다 그리움 수놓아 짠 베 다시 풀어야 했는가.
내가 먹인 암소는 몇 번이고 새끼를 쳤는데
그대 짠 베는 몇 필이나 쌓였는가?
이별이 너무 길다
슬픔이 너무 길다
사방이 막혀버린 죽음의 땅에 서서
그대 손짓하는 연인아
유방도 빼앗기고 처녀막도 빼앗기고
마지막 머리털까지 빼앗길지라도
우리는 다시 만나야 한다
우리들은 은하수를 건너야 한다
오작교가 없어도 노둣돌이 없어도
가슴을 딛고 건너가 다시 만나야 할 우리
칼날 위라도 딛고 건너가 만나야 할 우리
이별은 이별은 끝나야 한다
말라붙은 은하수 눈물로 녹이고
가슴과 가슴을 노둣돌 놓아
슬픔은 슬픔은 끝나야 한다, 연인아.
희망가

얼음장 밑에서도
고기는 헤엄치고
눈보라 속에서도
매화는 꽃망울을 튼다

절망 속에서도
삶의 끈기는 희망을 찾고
사막의 고통 속에서도
인간은 오아시스의 그늘을 찾는다

눈 덮인 겨울의 밭고랑에서도
보리는 뿌리를 뻗고
마늘은 빙점에서도
그 매운 향기를 지닌다

절망은 희망의 어머니
고통은 행복의 스승
시련 없이 성취는 오지 않고
단련 없이 명검은 날이 서지 않는다

꿈꾸는 자여
어둠 속에서
멀리 반짝이는 별빛을 따라
긴 고행길 멈추지 말라

인생 항로 파도는 높고
폭풍우 몰아쳐
배는 흔들려도

한고비 지나면
구름 위 태양은 다시 뜨고
고요한 뱃길 순항의 내일이
꼭 찾아온다

4. 수상 이력

5. 저서

6. 여담


[1] 現 화순도곡초등학교.[2] 現 광주서석초등학교.[3] 1961년 폐교.[4] 미국 기행 시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