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킬로바토르 Achillobator | |
| |
백악기 후기 101,900,000년 전 ~ 85,600,000년 전 아시아 | |
학명 | |
Achillobator giganticus Perle, Norell, & Clark, 1999 |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계통군 | 석형류Sauropsida |
목 | 용반목Saurichia |
아목 | 수각아목Theropoda |
과 |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Dromaeosauridae |
계통군 | †에우드로마이오사우리아Euromaeosauria |
아과 | †드로마이오사우루스아과Dromaeosaurinae |
속 | †아킬로바토르속Achillobator |
종 | |
|
|
복원도 |
1. 개요
중생대 백악기 후기 몽골에서 살았던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의 공룡으로, 속명의 뜻은 '아킬레우스의 영웅'이다.2. 발견
|
화석 발견 부위 모식도 |
3. 특징
|
인간과의 크기 비교 |
계통상 북아메리카의 유타랍토르와 가까운 관계이다. 둘은 드로마이오사우루스아과의 특징을 보인다는 점에서 많은 연구에서 드로마이오사우루스아과로 분류되는데, 벨로키랍토르아과의 자매 분류군 등으로 분류하는 의견도 있다.[5]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가 새와 가까운 존재이고, 벨로키랍토르 이외에도 비슷한 덩치의 다코타랍토르에게서 깃혹이 발견된 사례가 있기에 아킬로바토르 역시 전신이 깃털로 덮였을 가능성이 높다.
특이사항으론 골반뼈를 예시로 들 수 있다. 치골은 장골에 수직으로 배열되어 아래쪽으로 뻗어있고, 치골의 끝이 비교적 넓은 원시적인 구조의 골반을 지니고 있었는데, 이 때문에 아킬로바토르가 키메라라는 주장이 존재하기도 했다.
근연종인 유타랍토르와 유사한 비율상 짧은 다리를 가지고 있었고, 다리뼈는 대퇴골이 경골보다 길어 빠른 달리기에는 불리하나 힘 면에서는 우수한 튼튼한 구조였다. 또한 강력한 아킬레스건을 가지고 있었기에 갈고리 발톱을 빠르게 움직일 수 있었다. 아킬레우스의 영웅이라는 뜻의 속명도 이 아킬레스건을 보고 따온 것.
4. 생태
바얀시레흐층에서 발견된 가장 큰 육식동물 중 하나로 당시에는 티라노사우루스류가 본격적으로 대형화되기 전이었다. 공존했던 공룡은 데이노케이루스과 공룡 가루디미무스, 조각류 고비하드로스(Gobihadros), 곡룡류 탈라루루스, 차간테기아, 각룡류 그라킬리케라톱스, 후두류 암토케팔레(Amtocephale), 테리지노사우루스류 세그노사우루스, 에를리코사우루스, 용각류 에르케투 등이 있었다.[6] 북미의 유타랍토르처럼 이 대형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공룡도 당시 최상위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유타랍토르와 달리 티라노사우루스상과에 속하는 5~6m 정도로 비슷한 몸길이에 체중은 더 무거운 알렉트로사우루스도 같은 시기에 살았기에 유타랍토르와는 달리 최상위 포식자 지위를 독점하지는 못했을 것이다.5. 대중 매체
- 영화 쥬라기 공원 시리즈에서 묘사된 랩터의 크기에 대한 비판 여론이 있었을 때, 제작진이 반박의 근거로 썼다고 하는데 실제 영화에 나오는 벨로키랍토르의 크기에 가장 가깝기에 그런 듯 하다.
- 로블록스의 Dinosaur Simulator에서 플레이 가능한 공룡으로 나온다.
- 게임 Path of Titans에서 플레이 가능한 동물로 등장한다.
[1] Novas, F. E.; Pol, D.; Canale, J. I.; Porfiri, J. D.; Calvo, J. O. (2008). "A bizarre Cretaceous theropod dinosaur from Patagonia and the evolution of Gondwanan dromaeosaurid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76 (1659): 1101–7. doi:10.1098/rspb.2008.1554.[2] Paul, Gregory S. (2016).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2nd Edi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51.[3] Turner, A.H.; Pol, D.; Clarke, J.A.; Erickson, G.M.; Norell, M.A. (2007). "A Basal Dromaeosaurid and Size Evolution Preceding Avian Flight". Science. 317 (5843): 1378−1381.[4] 그때까지만 해도 아시아에서는 벨로키랍토르나 아다사우루스(Adasaurus) 등의 소형 드로마이오사우루스류 공룡들만 보고되었다.[5] Jasinski, S.E., Sullivan, R.M. & Dodson, P. New Dromaeosaurid Dinosaur (Theropoda, Dromaeosauridae) from New Mexico and Biodiversity of Dromaeosaurids at the end of the Cretaceous. Sci Rep 10, 5105 (2020). https://doi.org/10.1038/s41598-020-61480-7[6] 기간토랍토르 등의 공룡이 살았던 이렌다바수층(Iren Dabasu Formation)의 동물들과는 공존했는지 불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