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0 07:53:38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파일:니카라과 국장.svg
니카라과 공화국 대통령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 #0067c6;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프루토 차모로 토마스 마르티네스 페르난도 구스만 솔로르사노 호세 비센테 쿠아드라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페드로 호아킨 차모로 알파로 호아킨 사발라 아단 카르데나스 에바리스토 카라소
<rowcolor=#fff>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이그나시오 차베스 테예리아 로베르토 사카사 호세 산토스 셀라야 아돌포 디아스
<rowcolor=#fff>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에밀리아노 차모로 바르가스 디에고 마누엘 차모로 바르톨로메 마르티네스 카를로스 호세 솔로르사노
<rowcolor=#fff> 제13대2 제12대2 제17대 제18대
에밀리아노 차모로 바르가스 아돌포 디아스 호세 마리아 몬카다 후안 바우티스타 사카사
<rowcolor=#fff>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19대2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 레오나르도 아르궤요 바레토 빅토르 마누엘 로만 이 레예스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
<rowcolor=#fff>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루이스 소모사 데바일레 레네 시크 로렌소 게레로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rowcolor=#fff>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다니엘 오르테가 비올레타 차모로 아르놀도 알레만 엔리케 볼라뇨스
<rowcolor=#fff> 제26대2
다니엘 오르테가
※ 니카라과의 경우 임기가 중간에 단절되었다가 다시 집권해도 처음 집권했을 당시의 대수를 유지한다. }}}}}}}}}
니카라과 공화국 제25대 대통령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Anastasio Somoza “Tachito” Debayle
파일:external/perspective.usherbrooke.ca/1aaf69120080528150002356.jpg
<colbgcolor=#1369bf> 출생 1925년 12월 5일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레온
사망 1980년 9월 17일 (향년 54세)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아순시온
국적 니카라과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정당
국민자유당
직업 정치인
가족 父: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 (1896 ~ 1956)
母: 살바도라 데바일레 (1895 ~ 1987)
누나: 릴리안 소모사 데바일레 (1921 ~ 2003)
형: 루이스 소모사 데바일레 (1922 ~ 1967)
배우자: 호프 포르토카레로 (1929 ~ 1991)
슬하 5명
임기 1차: 1967년 5월 2일1972년 5월 1일
2차: 1974년 12월 1일1979년 7월 17일
1. 개요2. 생애
2.1. 대통령 이전2.2. 대통령 취임 이후2.3. 대통령직 축출2.4. 사망
3. 가족4. 평가

[clearfix]

1. 개요

50년 가까이 니카라과를 통치했던 소모사 가문의 마지막 독재자. 아버지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와 형 루이스 소모사 데바일레에 이어 1967년부터 1972년, 1974년부터 1979년까지 니카라과 대통령을 지내며 독재 정치를 펼쳤다.

아버지가 "타초(Tacho)"라는 닉네임으로 불렸다면 소모사 데바일레는 작은 타초라는 뜻의 "타치토(Tachito)"라고 불렸다.

사진 속 모습은 집권 초기이고, 말년에는 철테 안경으로 바꾸고 콧수염을 길렀다.

2. 생애

2.1. 대통령 이전

개인적인 성품, 주장하던 정책들이 죄다 형편없는 인물이었다. 형인 루이스 소모사는 그래도 어느 정도 눈치는 있어서 야당을 부분적으로 허용하고, 주택을 건설하고 복지제도를 확충시키는 정책을 펼쳤다. 그러나 타치토는 반정부 세력을 힘으로 밀어붙이는 정책을 주장했으며 이로 인해 루이스 소모사 집권 말기에 과 갈등을 겪다가 형이 1967년 44세라는 젊은 나이에 죽은 뒤에 거수기 투표를 통해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2.2. 대통령 취임 이후

대통령 취임 당시 거수기 투표로 당연히 야당이나 산디니스타 반군이 반발하자 이들에 대해 대대적인 탄압에 나섰다. 그러다 1972년 상반기에 야당인 보수당을 상대로 유화책을 써서 대통령 선거에 재출마하지 않는 대가로, 집단지도체제를 구축하면서 2선으로 물러난다. 그러나 이는 훼이크였고, 크리스마스 이브 전날 수도 마나과에 대지진이 발생, 1만명이 사망하고 25만명이 이재민으로 전락하는 사태가 벌어졌을 때 타치토 소모사는 외국에서 보내온 지원금을 제대로 쓰기는커녕 그 돈을 대거 횡령하여 자기와 자기를 따르는 추종자들의 배를 채웠고 그 중 상당수는 타치토가 주도하는 사업자금으로 투입되었다. 당연히 지진수습은 뒷전이 될 수밖에 없었고, 국민들의 분노를 사게 된다. 오죽했으면 당시 메이저리그 야구의 정상급 스타 선수였으며 히스패닉 출신인 피츠버그 파이리츠로베르토 클레멘테가 이 당시 구호지원금을 보냈다가, 소모사 일당과 부패한 관리들이 횡령했다는 걸 알고서는 참다못해 자기 모국도 아닌 니카라과에 아예 비행기를 타고 직접 돈이 아닌 구호물자를 전달하기 위해 탑승했다가 악천후로 비행기추락하여 사망했다. 한 개인의 부패 때문에 미국에서도 야구계에 큰 족적을 남긴 한 인물을 죽게 만든 셈.

또한 빈부격차를 해소시키려는 정책이나 복지정책을 펴려는 의지 등은 애초에 없었으며, 그저 사치만을 누리려고 애썼을 뿐이었다. 당시 니카라과는 농축산업이 발달했지만 인구의 절대다수는 그저 하루 벌어 하루 사는 데 급급했고, 실업률은 14.5%, 영아사망률은 1,000명당 120명, 문맹률무려 52%[1]에 달했다. 반면 소모사 데바일레는 수도 마나과에서만 무려 130개의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그가 보유한 농경지는 니카라과 전체 농경지의 22%에 달했던 데다가 소모사 일가가 가진 재산은 당대 가치로만 5억~10억 달러[2][3]로 추산될 정도로 부유하여 소모사 일가는 라틴아메리카에서 가장 부유한 일가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이런 상황에서 소모사 데바일레가 1974년 대통령 선거에서 부정선거를 통해 다시 당선되자 빈민층은 물론이고 부르주아 계층에서도 반발이 터져나왔고, 산디니스타 반군이 지방에서 세를 확장해나가더니 1978년에 자신이 거주하던 대통령 관저가 산디니스타 혁명군에게 점령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이 사건 자체는 얼마안가 진압되긴 했지만 이후에 아나스타시오는 자신에게 비판적인 논조[4]의 유력지[5] 《라 프렌사》의 편집인 페드로 차모로를 암살해버렸다. 이를 계기로 전국에서 빈농들과 중소기업 운영자들, 중산층들까지 들고 일어섰고, 니카라과 내전도 격화되지만 소모사는 그 동안 쌓아온 돈[6]과 사병들을 바탕으로 생각외로 오래 버티는 듯 싶었다.

2.3. 대통령직 축출

그러나 미국인 기자 빌 스튜어트가 소모사군의 총탄에 맞아 숨지는 사건이 벌어졌고 이로인해 미국이 지원을 완전히 끊는 등 상황이 소모사에게 불리하게 돌아가면서 세가 완전히 역전되어 혁명군에게 유리하게 돌아갔고, 결국 1979년 7월에 소모사는 미국으로 도주했다. 결국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세력이 주도권을 잡지만 1981년 레이건이 산디니스타 해방전선에게 불만이 있던 세력들에게 무기와 자금을 지원해주면서 니카라과는 내전 상황으로 돌입한다. 그리고 이란 콘트라 사건이...

참고로 소모사가 축출된 후 소모사 일족은 국민들의 보복이 두려워 온두라스, 과테말라, 미국 등으로 피신하고는 성을 바꿨다고 한다.

2.4. 사망

여하간 소모사 데바일레는 도주한 다음에 미국에서 머물고 있었지만 미국에서도 욕을 먹으며 사실상 쫓겨났고, 쫓겨난 이후 파라과이에서 편하게 망명생활[7]을 보내다가 1980년 9월 17일 아순시온에서 벤츠를 타며 운전하던 중 산디니스타의 사주를 받은 아르헨티나의 좌익게릴라 조직인 인민혁명군 조직원에 의해 기관총 세례를 받고 죽었고 그 시체마저도 인민혁명군 조직원에 의해 자신의 벤츠와 함께 절벽으로 추락하여 불에 타 교통사고로 위장당했다. 향년 55세.

3. 가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모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슬하에 5남매를 두었으나 대통령직 세습은 실패했다.

4. 평가

영 좋지 않다. 아버지 타초는 니카라과를 2차 세계대전에 휘말리지 않게 했다는 공은 있고 형인 루이스는 반군에 맞서서 형식적이라도 빈민들에게 토지를 배분하고,복지제도와 사회인프라 시설을 도입하는 등 정무감각은 있었지만, 이 자는 능력은 1도 없는 주제에 순전히 아버지의 후광으로 집권했고, 대지진 때 우방국들로부터 받은 막대한 지원금을 횡령하여 착복해 많은 국민들을 굶어죽였다. 거기다가 자신에게 조금이라도 쓴소리를 하면 좌파로 몰아붙여 구속하거나 암살하기까지 했다. 이러다보니 대통령직 축출 후 망명생활 중 암살당했을 때 '잘 죽었다', '행적에 비해 너무 편하게 죽었다'는 평이 대부분이었을 정도이다. 그를 몰아내고 집권한 다니엘 오르테가가 전형적인 독재자가 된 영웅 루트를 밟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니카라과 범우파 내에서 타치토 시대를 긍정적으로 재평가하는 여론은 소수의견에 불과하다.

그리고 이 자가 니카라과 대지진 때 범한 지원금 횡령 때문에 피츠버그 파이어리츠의 전설 로베르토 클레멘테가 젊은 나이에 죽었기 때문에, 벅스 팬들과 히스패닉 메이저리거들[8]에게는 몇몇 극우파 빼면 천하의 개쌍놈 취급받는다.



[1] 농촌 인구 70%와 도시 인구의 20.4%가 문맹이었다.[2] 2023년 환율으로 환산하면 약 21~41억 달러에 달한다.[3] 참고로 1979년 기준으로 니카라과의 GDP는 당대 가치로는 15.3억 달러도 되지 않았다.[4] 다만 소모사에게 비판적이라고 해도 사회주의와는 거리가 있는 중도보수성향 정도의 언론사였으며(애초에 차모로 일가가 니카라과 보수당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보수당 소속으로 대통령을 배출해냈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을 지닌 집안이었다. 산디니스타 혁명이후로는 옛말이 되기는 했지만) 1979년 산디니스타 혁명 이후에는 라 프렌사지는 우파적인 논조를 지닌 언론사가 되었다.[5] 사실상 유일했던 신문사라고 봐도 된다.[6] 아닌 게 아니라 니카라과 농지와 기업의 50% 가량을 소모사 일당이 소유했을 정도다. 참고로 소모사가 소유한 기업은 1980년대 전반기에 국유화되었지만 80년대 후반부터 민영화가 다시 추진되기 시작했고 90년대에 우파정권이 집권하면서 다시 민영화되었으며 토지도 80년대 전반기에 소작농들에게 배분되지만 80년대 후반기부터 90년대까지 니카라과의 경제사정이 영 좋지 않았기 때문에 부농으로 넘어간 사례가 적지 않다.[7] 당시 파라과이도 소모사 집권기의 니콰라과처럼 반공 군사독재체제였기 때문이다.[8] 로베르토 클레멘테는 이들에게 거의 신으로 추앙받는다. 히스패닉 야구선수로 대성한 거의 최초의 인물인데다 개인적 인품 또한 대단히 훌륭해 모든 이들에게 귀감이 되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