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0b3, #046dc9 20%, #046dc9 80%, #0050b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초대 | 권한대행 | 임시 | 자칭 |
프루토 차모로 | 호세 마리아 에스트라다 | 파트리시오 리바스 | 윌리엄 워커 | |
<rowcolor=#fff>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토마스 마르티네스 | 페르난도 구스만 솔로르사노 | 호세 비센테 쿠아드라 | 페드로 호아킨 차모로 알파로 | |
<rowcolor=#fff> 제6대 | 제7대 | 제8대 | 권한대행 | |
호아킨 사발라 | 아단 카르데나스 | 에바리스토 카라소 | 니콜라스 오소르노 | |
<rowcolor=#fff> 권한대행 | 제9대 | 제10대 | 권한대행 | |
로베르토 사카사 | 이그나시오 차베스 테예리아 | 로베르토 사카사 | 살바도르 마차도 | |
<rowcolor=#fff> 권한대행 | 제11대 | 권한대행 | 권한대행 | |
호아킨 사발라 | 호세 산토스 셀라야 | 호세 마드리스 | 호세 돌로레스 에스트라다 | |
<rowcolor=#fff> 권한대행 | 권한대행 | 제12대 | 제13대 | |
루이스 메나 | 후안 호세 에스트라다 | 아돌포 디아스 | 에밀리아노 차모로 바르가스 | |
<rowcolor=#fff> 제14대 | 권한대행 | 제15대 | 제16대 | |
디에고 마누엘 차모로 | 로센도 차모로 | 바르톨로메 마르티네스 | 카를로스 호세 솔로르사노 | |
<rowcolor=#fff> 제13대2 | 권한대행 | 제12대2 | 제17대 | |
에밀리아노 차모로 바르가스 | 세바스티안 우리사 | 아돌포 디아스 | 호세 마리아 몬카다 | |
<rowcolor=#fff> 제18대 | 권한대행 | 제19대 | 제20대 | |
후안 바우티스타 사카사 | 카를로스 알베르토 브레네스 |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 | 레오나르도 아르궤요 바레토 | |
<rowcolor=#fff> 권한대행 | 제21대 | 권한대행 | 제19대2 | |
벤하민 라카요 사카사 | 빅토르 마누엘 로만 이 레예스 | 마누엘 페르난도 수리타 |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 | |
<rowcolor=#fff> 제22대 | 제23대 | 권한대행 | 제24대 | |
루이스 소모사 데바일레 | 레네 시크 | 오를란도 몬테네그로 메드라노 | 로렌소 게레로 | |
<rowcolor=#fff> 제25대 | 임시 | 제25대2 | 권한대행 | |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 군사정권 |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 프란시스코 우르쿠요 | |
<rowcolor=#fff> 임시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국가재건위원회 | 다니엘 오르테가 | 비올레타 차모로 | 아르놀도 알레만 | |
<rowcolor=#fff> 제29대 | 제26대2 | 제30대* | ||
엔리케 볼라뇨스 | 다니엘 오르테가 | 로사리오 무리요 | ||
※ 니카라과의 경우 임기가 중간에 단절되었다가 다시 집권해도 처음 집권했을 당시의 대수를 유지한다. * 다니엘 오르테가와의 공동대통령 | }}}}}}}}}}}} |
<colbgcolor=#046dc9><colcolor=#fff> 니카라과 공화국 제28대 대통령 아르놀도 알레만 Arnoldo Alemán | |||
| |||
본명 | 호세 아르놀도 알레만 라카요 José Arnoldo Alemán Lacayo | ||
출생 | 1946년 1월 23일 ([age(1946-01-23)]세) | ||
니카라과 마나과 | |||
재임기간 | 제28대 대통령 | ||
1997년 1월 10일 ~ 2002년 1월 10일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46dc9><colcolor=#fff> 배우자 | 마리아 페르난다 플로레스 란사스 | |
학력 | 니카라과 국립자치대학교 | ||
정당 | [[헌법자유당| 헌법자유당 ]] | }}}}}}}}} |
1. 개요
니카라과의 제28대 대통령.2. 생애
마나과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1967년 니카라과 국립자치대학교 레온 캠퍼스(Universidad Nacional Autónoma de Nicaragua-León)를 졸업했다. 1968~1979년간 상법 및 은행법 부문의 변호사로 일했다. 1979년 니카라과 혁명으로 붕괴된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정권의 공직자로 일했고, 1980년 산디니스타 혁명정권에 체포되어 9개월간 감옥에 살고 가산이 몰수되었다. 복역 중 아버지가 죽었고, 감옥에서 풀리자 잠시 미국으로 이주했다가 다시 니카라과로 귀국했다.귀국 후 재계와 정계, 학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1983~1990년 마나과 커피생산자협회(ASOCAFEMAG) 회장, 1988~1990년 니카라과 전경련(COSEP) 회원, 1986~1990년 니카라과 농업생산자연맹(UPANIC) 부회장, 1986~1990년 니카라과 커피생산자협회(UNCAFENIC) 회장, 1992~1993년 중미지방자치단체연맹(Federación de Municipios de América Central) 회장, 1993~1995년 중미도시자치단체연맹(Federación Municipal de Ciudades de Centroamérica) 회장을 지냈다.
강경한 반 FSLN 기조를 내세우고, 1990년 마나과 시장 선거에서 다니엘 오르테가 후보를 누르고 51.99%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1995년까지 직무를 수행했다. 1972년 마나과 대지진으로 파괴되고 니카라과 내전으로 인해 복구가 미뤄졌던 마나과 시의 재개발 프로젝트로 인기를 얻었다. 1996년 대선 출마를 위해 1995년 9월 1일 시장에서 사퇴했고, 본선에 자유연합(Alianza Liberal)이라는 선거연합[1]의 후보로 출마하여 50.9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알레만 정부는 전임 비올레타 차모로 대통령의 정책 기조를 유지했다. 니카라과는 IMF 및 다른 국제 채권자들과 구조조정 대가로 부채 일부를 탕감하기로 합의했다. 그의 임기 중 인플레이션이 감소하고(2001년 CPI 기준 6%) GDP 성장(연평균 4.3%)이 가속화되었으며, FDI 유입이 늘어나 니카라과의 인프라가 향상되었다. 알레만은 전국의 도로망의 재건을 지도하고 극빈 지역의 학교 설립 프로그램을 작성했다. 그러나 1998년 니카라과에서만 3,800명의 사망자를 낸 허리케인 미치(Mitch)로 당해 니카라과 GDP의 1/5인 10억 달러에 달하는 재산피해를 입었다. 또한 임기 내내 심각한 부패 문제를 빚었기 때문에 같은 당 출신의 부통령 엔리케 볼라뇨스가 자진 사임하기도 했다. 2001년 니카라과 대선에서 볼라뇨스가 승리하자 2002년 1월 10일 그에게 대통령직을 물려주고 퇴임했다.
퇴임 직후 볼라뇨스의 요청에 따라 국회로부터 면책 특권이 박탈되었다. 2003년 12월 7일 징역 20년이 선고되었고 이후 가택연금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알레만은 다니엘 오르테가와 손을 잡고 볼라뇨스에게 반격을 가했다. 이에 따라 PLC는 알레만을 지지하는 잔여 PLC와 볼라뇨스를 지지하는 니카라과 자유연합(ALN)으로 두 쪽이 나버렸다. 대통령 결선투표제를 득표가 35% 이상이고 2위와 격차가 5% 이상이면 당선되는 시스템으로 개헌한 다음 치룬 2006년 대선에서, 오르테가는 37.9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2009년 1월 16일 니카라과 최고재판소 결정으로 알레만에게 내려진 20년형을 번복했다. 이후 야당 정치인으로 복귀하여 2011년 대선에 출마했으나 5.91%만 득표하여 퇴물로 전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