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언호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1990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30452> | LG 트윈스 역대 주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0> 1982~1983 | 1984 | 1985~1986 | 1987 | 1988 |
이종도 ☆ | 이해창 | 김재박 | 이광은 | 신언호 | |
1989 | <rowcolor=#fff> 1990~1991 | 1992~1993 | 1994~1995 | 1996 | |
이광은 | 김상훈 ★ | 김동재 | 노찬엽 ★ | 최훈재 | |
<rowcolor=#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노찬엽 ☆ | 김동수 ☆ | 송유석 | 김선진 | 김정민 양준혁 (오프시즌 기간 주장) | |
<rowcolor=#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서용빈 → 유지현 ☆ | 이상훈 | 이병규 | 조인성 | 서용빈 | |
<rowcolor=#fff> 2007~2008 | 2009 | 2010~2011 | 2012~2013 | 2014~2015 | |
이종열 | 조인성 | 박용택 | 이병규 | 이진영 | |
<rowcolor=#fff> 2016~2017 | 2018 | 2019~2021 | 2022~2023 | 2024~ | |
류제국 | 박용택 | 김현수 | 오지환 김민성 (임시 주장) ★ | 오지환 → 김현수 | }}}}}}}}} |
MBC 청룡 / LG 트윈스 등번호 32번 | ||||
팀 창단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신언호 (1982~1990) | → | 소순배 (1991) |
LG 트윈스 등번호 98번 | ||||
결번 | → | 신언호 (1991~1995) | → | 윤진호 (2009) |
{{{#fab93d [[현대 유니콘스|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80번}}} | ||||
결번 | → | 신언호 (1996~2000) | → | 오영일 (2002~2007) |
{{{#ffffff [[SSG 랜더스|SK 와이번스]] 등번호 78번}}} | ||||
윤석환 (2000~2001) | → | 신언호 (2002) | → | 김봉근 (2003~2004) |
사진 맨 왼쪽이 신언호다.[1] | |
신언호 申彦皓 | Sin Eon-Ho | |
출생 | 1955년 12월 18일 ([age(1955-12-18)]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배재고 - 연세대 |
포지션 | 외야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1982년 MBC 청룡 창단멤버 |
소속팀 | 포항제철 야구단 MBC 청룡-LG 트윈스 (1982~1990) |
지도자 | LG 트윈스 2군 타격코치 (1991)[2] LG 트윈스 1군 수비코치 (1991)[3] LG 트윈스 2군 수비코치 (1992~1994)[4] LG 트윈스 1군 배터리코치 (1994)[5] LG 트윈스 1군 수비코치 (1995) 현대 유니콘스 1군 수석코치 (1996~1997) 현대 유니콘스 1군 수석·배터리코치 (1998) 현대 유니콘스 1군 배터리코치 (1999) 현대 유니콘스 2군 감독 (2000) SK 와이번스 1군 작전코치 (2002)[6] SK 와이번스 1군 수석코치 (2002)[7] 배재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
[Clearfix]
1. 개요
전 MBC 청룡-LG 트윈스 소속 야구선수. 역사에 남을 대표적인 강견 외야수로, 프로 출범 이전에는 포항제철 야구단에서 뛰었다. 현역 시절 등번호는 32번.2. 선수 경력
프로 출범 이전에는 포항제철 야구단에서 뛰다가 프로 출범 이후 MBC 청룡의 창단 멤버로 들어가게 되어 프로야구 선수 생활을 시작한다. 아마추어 시절에는 포수로 유명했는데, 프로 입단 이후 외야로 전향했다. 1982년 한국프로야구의 첫 경기에 뛴 원년 개막전 멤버로 앞서 말했듯이 어깨가 매우 좋기로 유명했다. 리그 초창기 그와 비견할 만한 강견으로는 양승관이 있었다.강견 외야수라는 점 때문에 오랜 기간 주전 외야수로 뛰었지만, 타격 능력은 그닥 좋지 못했다. 특히 1985 시즌에 107경기에서 0.226이라는 부진한 성적을 거둔 후부터는 점점 출전 기회가 줄어들게 된다.
1990년 한국시리즈를 끝으로 은퇴했다.
3. 지도자 경력
친정팀 LG 트윈스, 현대 유니콘스, SK 와이번스 등에서 코치 생활을 했고[8] 모교 배재고등학교 야구부의 감독을 맡기도 했다.주로 외야 코치를 맡았지만 타격, 배터리 등 다른 분야도 잘 꿰고 있다고 전해진다.[9] SK시절에는 이진영의 타격폼을 봐줬다고 한다.
4. 여담
- 포수 출신 답게 엄청난 강견으로 잠실구장 워닝트랙에서 홈까지 노바운드로 던졌다는 일화가 있다.
- 마구마구에서의 능력치는 고만고만한 편이지만, 역시 전술한 강견으로 알려진 송구능력으로 인하여 82신언호 선수카드부터 90신언호 선수카드까지 한 시즌을 제외하고도 전부 스로잉이 80을 넘겼다.
- 타석에 들어서면 이종운처럼 배트를 극단적으로 짧게 쥐고 타격을 하였다.
5.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출루율 | 장타율 |
1982 | MBC | 77 | 229 | .240 | 55 | 14 | 1 | 3 | 26 | 30 | 10 | 22 | .314 | .349 |
1983 | 83 | 256 | .270 | 69 | 15 | 2 | 5 | 33 | 28 | 3 | 11 | .296 | .402 | |
1984 | 100 | 336 | .238 | 80 | 12 | 0 | 2 | 29 | 24 | 5 | 28 | .310 | .292 | |
1985 | 107 | 371 | .226 | 84 | 11 | 0 | 1 | 28 | 23 | 6 | 16 | .262 | .264 | |
1986 | 46 | 68 | .294 | 20 | 4 | 2 | 0 | 9 | 7 | 1 | 7 | .351 | .412 | |
1987 | 90 | 232 | .250 | 58 | 6 | 3 | 1 | 15 | 20 | 4 | 15 | .294 | .315 | |
1988 | 96 | 332 | .247 | 82 | 7 | 2 | 4 | 40 | 30 | 7 | 25 | .298 | .316 | |
1989 | 53 | 94 | .202 | 19 | 3 | 0 | 1 | 12 | 9 | 5 | 6 | .243 | .266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장타율 | 출루율 |
1990 | LG | 77 | 96 | .208 | 20 | 4 | 2 | 1 | 19 | 12 | 1 | 9 | .266 | .323 |
KBO 통산 (9시즌) | 729 | 2014 | .242 | 487 | 76 | 12 | 18 | 211 | 183 | 42 | 139 | .292 | .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