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불산터널 神佛山터널 Sinbulsan Tunnel | ||
창녕 방면 배내골IC ← - km | 함양울산선터널 | 울산 방면 서울주JC - km → |
위치 | ||
기점: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이천리 종점: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읍 가천리 | ||
연장 | ||
[함양 방향] 6,466m [울산 방향] 6,465m | ||
왕복 차로 수 | ||
4차로 | ||
관리기관 | ||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 서울산지사 | ||
시공사 | ||
삼부토건 | ||
개통 | ||
2020년 12월 11일 |
[clearfix]
1. 개요
함양울산고속도로에 위치한 터널로,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과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을 이으며, 길이 7,912m 재약산터널과 서울주JC 사이에 있으며, 신불산을 관통한다.총연장은 함양 방면 6,466m, 울산 방면 6,465m로, 터널 통과 도중 다음과 같은 행정구역을 지난다.
거리표 | 행정구역 | ||
121.1 ~ 125.0 | 울산 울주군 | 상북면 | 이천리 |
125.0 ~ 125.6 | 경남 양산시 | 원동면 | 선리 |
125.6 ~ 127.6 | 울산 울주군 | 삼남읍 | 가천리 |
2. 상세
2014년 착공하여 2020년 12월 11일 함양울산고속도로 밀양~울산 구간이 개통되면서 완공되었다.32개의 대피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중간에 졸음운전을 방지하는 경관조명이 설치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터널 중 5번째로 길었으나[1] 2025년 1월 1일에 세종포천고속도로의 남한산성터널이 개통되면서 6위로 밀려났다.
상행선은 이 터널 다음에 국내 고속도로 터널 중 3번째로 긴 재약산터널이 위치하고 있다.
다른 긴 고속도로 터널인 인제양양터널, 금정산터널과 더불어 함양울산고속도로 특정상 터널이 많이 있어 산외2터널부터 신불산터널까지 점선으로 되어 있어 추월이 가능하며 양 방향 모두 앞뒤로 구간단속을 실시하고 있다.
터널 내에 17.6퍼밀의 구배가 있다.
3. 둘러 보기
대한민국 현재 최장 도로터널 | |||||||||
<rowcolor=#fff> 순위 | 도로명 | 터널명 | 연장 | 비고 | |||||
1 | | 인제양양터널 | 10,965m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이하 순위 보기 ] | <rowcolor=#212529,#e0e0e0> 2 | 서부간선지하도로 | 서부간선지하도로 | 10,330m | 일반도로 최장 | ||||
<rowcolor=#212529,#e0e0e0> 3 | | 남한산성터널 | 8,345m | ||||||
<rowcolor=#212529,#e0e0e0> 4 | | 재약산터널 | 7,982m | ||||||
<rowcolor=#212529,#e0e0e0> 5 | | 문무대왕1터널 | 7,543m | ||||||
<rowcolor=#212529,#e0e0e0> 6 | 신월여의지하도로 | 신월여의지하도로 | 7,530m | ||||||
<rowcolor=#212529,#e0e0e0> 7 | | 금정산터널 | 7,087m | ||||||
<rowcolor=#212529,#e0e0e0> 8 | [[77번 국도| 77 ]] 원산대로 | 보령해저터널 | 6,927m | 해저터널, 국도 최장 | |||||
<rowcolor=#212529,#e0e0e0> 9 | | 신불산터널 | 6,466m | ||||||
<rowcolor=#212529,#e0e0e0> 10 | 진해산업로 | 진해터널 | 6,085m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