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27 16:48:31

신고전학파

경제학사(사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표시는 뒷 시기와의 단절, 색은 주류 학파
<rowcolor=white> (~ 1776년) 경제학의 태동
(1776년 ~ 1860년대)
미시경제학 확립
(1870년대 ~ 1920년대)
거시경제학 발전
(1930년대 ~ 1940년대)
거시정책 논쟁
(1950년대 ~ 1960년대)
합리적 기대 수용
(1970년대 이후)
중농주의
중상주의
고전파 경제학
노동가치설
비교우위론
화폐수량설

스미스 리카도 맬서스
한계학파
일반균형이론
제본스 발라스 멩거
신고전학파
고전적 이분성
세이의 법칙

마셜
케인스학파
유효수요론
시카고학파
통화주의
프리드먼
새고전학파
실물경기변동이론
루카스
신케인스학파
신고전파 종합
새뮤얼슨
새케인스학파
경직성모형
맨큐
맨체스터학파
자유무역
케임브리지학파
케인스
포스트 케인스학파
임금주도성장론
로빈슨 민스키
오스트리아학파
주관적 가치설
하이에크
독일 역사학파 미국 제도학파
베블런
신제도학파
게임 이론 법경제학 거래비용경제학 행동경제학 공공선택론
신경경제학

내시 사이먼 코즈 윌리엄슨
행동경제학
카너먼
마르크스 경제학
마르크스
생태경제학
스라피언 경제학
페미니즘 경제학
}}}}}}}}} ||

1. 개요2. 특징3. 변천

1. 개요

新古典經濟學(신고전경제학) / Neoclassical Economics

애덤 스미스에서 시작한 고전학파를 계승한 경제학파 중 하나. 소스타인 베블런1900년대에 작성한 'Preconceptions of Economic Science'라는 글에서 처음 등장했다고 한다.[1]

2. 특징

정의에 대해 이견이 있지만 대전제들은 대략 다음과 같다.
고전학파와의 가장 큰 차이는 한계 혁명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신고전학파는 개개인의 선호 체계를 종합함으로서 사회 전체를 설명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에 따라 개인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 제도나 문화 등의 중요성은 낮게 평가했다. 다만, 오늘날에는 합리적 선택 신제도주의 학파같이 제도주의 중 일부는 신고전파와 분리하기 어려울 정도로 결합했다. 대표적인 것이 게임이론. 신고전학파로 여겨지는 경제학자로는 윌리엄 제본스, 레옹 발라스, 존 클라크 베이츠, 앨프리드 마셜, 폴 새뮤얼슨 등이 있다.

실상 오늘날의 주류 경제학은 최소 신고전파이거나 원래는 다른 것에서 시작했으나 신고전파와 분리가 어려울 정도로 융합된 것들이다. 비주류 경제학 항목 참조.

3. 변천

신고전적 경향은 완전경쟁 메커니즘이 소득의 ‘완전한’ 분배뿐만 아니라 경제적 자원의 최대 이용[2]을 보장한다는 일반균형이론을 발전시켰다.

이 이론은 자본주의 경제의 내적 안정과, ‘자유기업’의 변명 및 경제에서의 국가 불간섭의 기초로써 기여하였다. 1930년대 초에 신고전파 경향의 지배적인 위치는 국가의 경제규제를 대변하는 케인스주의의 발전에 의하여 심각하게 침식당하였다. 그러나 1950년대에 신고전파 경향은 점차 되살아나 신고전파 성장이론이 발전하기 시작하였다.[3]

이 이론은 가치의 창출과 분배에 관한 통상의 신고전적 정식으로부터 출발하지만. 그것의 주요한 목적은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 요소들의역할을 평가하는 것은 물론 균형성장의 조건들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같은 기간에, “신고전파 종합”으로 잘 알려진 일반적 체계로 케인스 학파와 신고전학파 이론을 결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1960년대에는 케인스 학파에 대한 신고전파의 공세가 힘을 얻게 되었다. 신고전파 개념 자체를 약간 새롭게 개장하여 인플레이션을 부추기는 케인스적 경제규제조치를 날카롭게 비판하였던 것이다. 소위 통화론이 이것의 중요한 형태이다. 통화이론[4]에 의하면 화폐공급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적 무질서를 야기하는 주요 원천이다. 통화론자(=통화주의자)에 따르면, 공황과 인플레이션은 자본주의 경제의 안정을 위한 케인스적 처방을 실시한 결과 화폐공급이 심하게 동요함으로써 발생한 것이라고 한다.

통화론자들은 자본주의 경제는 본래 안정적이고, 경제정책의 과제는 오로지 화폐공급의 증가율을 준칙에 따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일 뿐이어야 한다고 믿는다. 통화론자들은 경제에 대한 국가의 개입을 비판하였는데, 특히 국가의 사회적 지출[5]을 공격하면서 그것의 삭감이나 제한을 요구하였다.


[1] On the Origins of the Term ‘Neoclassical’. Aspromourgos. 1986.[2] ‘완전고용’[3] 「경제성장론」참조[4] 이것의 저자는 시카고 학파의 원조인 밀턴 프리드먼이다[5] 사회보장정책을 수행하기 위한 재정지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