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04 13:12:41

시랑(관직)

侍郎

1. 개요2. 관련글

[clearfix]

1. 개요

전근대 한국사, 중국사의 주요 관부의 차관벼슬 이름.

시랑의 관직은 고대 중국의 한나라부터 연원되었으며 수나라, 당나라 시대 3성 6부제율령제에서 직접적으로 기원하였다.

한국에는 신라 때부터 설치했으며 고려의 경우 중서문하성상서육부의 차관급 벼슬에 해당한다.

중서문하성의 시랑은 평장사로서 재상에 해당했으며, 조선 의정부좌찬성, 우찬성이 되었다.[1] 상서육부의 시랑은 조선 육조참의(參議)가 되었는데, 참의 위에 참판(參判)직이 새로 생겨나면서 실질적으로는 참판으로 이어졌다.

고려 상서육부의 상서(정)-시랑(부) 구조는 조선 육조의 판서(정)-참판(부)에 대응된다. 고려 6부가 원 간섭기 이후 변화를 거치다가 공양왕 때부터 6조로 바뀌어 조선시대 내내 참판이란 이름을 썼기 때문에 현대의 한국인에겐 좀 낯선 관직명이다.
고려 병부상서 ≒ 조선 병조판서대한민국 국방부장관
고려 병부시랑 ≒ 조선 병조참판 ≒ 대한민국 국방부차관
시랑과 참판이 다른 점은, 고려시대 시랑은 정4품 벼슬이었지만 조선시대 참판은 종2품 벼슬이었다. 그리고 고려시대 시랑은 국무위원 취급을 받지 못했지만[2], 조선시대 참판은 정승, 판서만큼은 아니어도 대신 취급을 받았다.

여러 본관의 분파 및 문중의 족보에 나오는 시랑공(侍朗公)이라는 표현은 시랑 벼슬을 지냈던 이라는 뜻이다.

2. 관련글


[1] 그런데 평장사는 조선시대의 좌의정, 우의정의 기능도 일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 단 고려시대 당시 정4품은 조선시대 당시 정4품보다 대접이 엄청 좋았고 핵심 고위직으로 취급을 받았다. 고려시대는 5품이나 6품 이상부터 고위직으로 보는 경우가 많았고 7품도 약간 고위직 취급을 받는 경우가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